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n Impulse Buying by Shopping Style according to Sales Promotion : Focusing on Consumers of Low-Cost Cosmetic Goods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저가화장품의 판매촉진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9.14
  • Accepted : 2021.11.11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a consumer's shopping style on impulse buying mediated by sales promotion, based on low-cost cosmetic goods. For the study, pleasure, economical, and convenience shopping styles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impulse buying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a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two, sales promotions such as price discount event, free giveaway event, and visit-inducing activity were reviewed. Accordingly, the influence relation of shopping style, sales promotion, and impulse buying were review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 rel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employ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230 copies were collected against men and women in their 20s-30s,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low-cost cosmetic goods, and 197 faithful responses were analyzed, and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leasure-style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d impulse buying, while economical-style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and convenience-styl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 Second, as for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ales promotion, price discount event, free giveaway event, and visit-inducing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leasure shopping style on impulse buying, and did not fulfill the economical shopping style mediating effect condition. Also, as convenience shopping styl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owards impulse buying, it was excluded from the mediating effect. Such result is thought to be a useful elementary material for establishing a sales promotion strategy according to shopping styles through the analysis of styles of major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 sales of businesses. The theoretical and pragmatic implications of such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study directions were suggested.

20대 초반의 여성들에게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현실에서 저가화장품의 구매는 필수적일 것이다. 이에 다양한 개성과 빠른 변화에 익숙한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기업에서 행하는 판매촉진행사에 대한 매개효과가 개인적인 소비성향에 따라 충동구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 규명함에 있어 저가화장품 소비자의 충동구매에 판매촉진전략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저가화장품의 가격할인행사와 증정행사, 그리고 내점유도활동 중 어떤 판촉전략이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저가화장품을 구매하는 쾌락적성향의 소비자는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제적성향의 소비자와 편의적 쇼핑성향의 소비자에게는 충동구매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이한 점은 인접한 매장에서 필요제품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시간활용을 꺼리는 편의적 쇼핑성향의 소비자는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염민정(2009)의 연구결과와 같게 나타났지만, 오연주(2009)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판매촉진을 위한 가격할인행사, 증정행사, 내점유도활동의 매개효과에 대해 쾌락적 쇼핑성향만이 판매촉진 활동에 대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쇼핑성향은 충동구매에 대해 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가화장품 브랜드의 매출증대를 위한 판매촉진전략에 있어 소비자의 쇼핑성향을 세분화 하고 유형화하여 차별화된 판매촉진 전략을 세워 충동구매를 후 지속구매로 연결 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1999), "쇼핑성향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연구" 복식문화연구, 7(4), 127-138.
  2. 고선영(1993), 의류 제품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은(2009), 국내 저가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경험과 관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유미(2012), 기능성화장품시장에서 쇼핑성향, 점포속성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희강,윤남희(2009),"패션상품 충동구매 후 긍정적 감정 형성에 관한 연구: 구매후 인지적 효용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0(2), 203-220.
  6. 박민정(2008), 백화점 내 화장품 브랜드의 판매촉진 유형별 효과연구: 소비자 군집별,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은주(2005), "패션제품의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한국의류학연구, 20(10), 1306-1315.
  8. 박은주,강은미(2000), "의류점포 내 상황요인과 제품의 소비가치가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연구, 24(6), 873-883.
  9. 박은주,박정신(2006),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의복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화점과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연구, 30(10), 1333-1343.
  10. 박은주,김보경(2016),"구두시장에서의 e-충동구매에 대한 쇼핑성향, 마케팅 자극과 위험지각의 영향" 한국감성과학회, 19(1), 71-81. https://doi.org/10.14695/KJSOS.2016.19.1.71
  11. 서문솔(2011), 판매촉진이벤트에 대한 감정반응이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수연,이정미(1998), "여성 캐릭터 의류브랜드 구매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연구, 22(7), 833-842.
  13. 연민정(2009), 쇼핑성향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오연주(2009), 성인여성의 의류 쇼핑성향과 판매촉진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종철(2008), 디지털 콘텐츠의 충동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유재(2013), 서비스 마케팅, 제 4판, 학현사.
  17. 이명희,이은실(2003), "화장품 구매성향과 구매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연구, 27(2), 250-260.
  18. 이상은(2016),"저가화장품 시각적 이미지가 소비자 유형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4(1), 30-41.
  19. 이숙희(2004), "인터넷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 성향에 따른 점포 속성 중요도 및 구매 의도" 한국의상디자인학 연구, 6(3), 83-99.
  20. 최영은,박은주(2002), "의류점포 서비스가 의복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연구, 26(11), 1615-1626.
  21. 최정인(2005), 남녀대학생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스노우보드웨어 구매 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지은, 박종철(2013), "판촉의 종류와 제시 형태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인지 욕구와 설득 지식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연구 소비자광고, 14(3), 385-408.
  23. 현정희, 태귀(2005), "쇼핑 성향과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 행동," 한국의류산업학연구, 15(5), 28-42.
  24. 황광연(2015), 판매촉진 유형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황용철,송인암(2009),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행동, 형설출판사
  26. Baron, R. M. and D. A. Kenny(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7. Bernays, E. L.(1923), Crystalling Public Opinion.
  28. Byun, S. E. and B. Sternquist(2008), "The Antecedents of In-Store Hoarding: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Fast Fashion Retail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18(2), 133-147. https://doi.org/10.1080/09593960701868241
  29. Campbell, L., and W. D. Diamond(1990), "Framing and Sales Promotions: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Deal,"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7(4), 25-31.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2586
  30. Diamond, W. D. and A. Sanyal(1990), "The Effect of Framing on the Choice of Super Market Coup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488-493.
  31. Diamond, W. D. and L. Campbell(1989), "The Framing of Sales Promotions: Effects on Reference Price Chang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6(1), 241-247.
  32. Diamond, W. D. and R. R. Johnson(1990), "The Framing of Sales Promotions: An Approach to Classific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1), 494-500.
  33. Fernie, J. and L.Sparks(1998), Logistics and Retail Management, Insights into Current Practice and Trends from Leading Experts, London: Kogan Page.
  34. Kotler, P(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ing and Control, 9 th ed, Prentice-Hall Inc.
  35. Shim, S and A. Kotsiopulus(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I.Shopping Orientation,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8-57.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8
  36. Virvilaite R., V. Saladiene and J. Zuinklyte(2011), "The Impact of External and Internal Stimuli on Impulsive Purchasing," Economics and Management, 16, 1329-1336.
  37. Westbrook, R. and W. C. Black(1985), "A Motivational-Based Shopper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1), 78-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