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uted tomography investig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of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ith Openwork Lotus Scroll Design and Eight Trigram Design in Cobalt-blue Underglaze

CT 조사를 통한 청화백자투각연당 초팔괘문연적의 3차원적 구조와 제작방법에 대한 고찰

  • Na, Ah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Hwang, Hyuns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나아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1.03.03
  • Accepted : 2021.04.28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ith Openwork Lotus Scroll Design and Eight Trigram Design in Cobalt-blue Underglaze (hereinafter, the "water dropper")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A replica was produced to examine both the structure and its original production method. The CT scanning identified no joint lines or pores in the clay, which suggests that the body (the lower part of the water dropper) was shaped in a single piece using a mold and was then matched with a mold-formed lid (the upper part of the water dropper). The inner container of the body portion was roughly trimmed with a bamboo knife so that its upper surface could be secur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id and prevent any leakage in the joined surface. It appears that the inner container for storing water was made first in a cylindrical shape that met the unit of quantity used at the time and could be easily formed by molding. It was transformed into a trapezoid shape during the process of combining it with the lid. A cylindrical inner container was reproduced using silicon 3D printing to compare its capacity with that of the original inner container.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reproduced container had a capacity of 152.5㎖, whereas the original container holds approximately 168.6㎖, a figure similar to three hop (around 174㎖) in Joseon-period units of quantity. Since the capacity of the cylindrical inner container corresponds to a known measur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likely that the water dropper was originally produced to contain a cylindrical inner container.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청화백자투각연당초팔괘문연적(수정147)을 대상으로 CT 조사를 실시하고 복제품을 제작하여 구조와 제작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CT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접합선이나 기공이 없는 것으로 보아 하부 동체부 틀을 사용하여 한 번에 찍어 빼낸 후 상부 틀로 찍어 뽑아낸 상부 뚜껑을 서로 접합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하부 동체부의 내기 상면과 연접한 뚜껑 하단면이 서로 접합이 잘 되도록 내면 가운데를 대나무 칼로 거칠게 돌려 깎아 접합면이 누수 되지 않도록 처리하였다. 처음 제작할 당시 물을 담는 연적의 내기(內器)는 도량형 규격에 맞고 틀을 뽑아내기에도 용이한 원통형(圓筒形)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상부면과 동체부를 붙이는 과정에서 형태가 사다리꼴로 변형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리콘 복제를 이용하여 원통형 내기로 다시 제작한 후 내기의 용량을 비교 측정한 결과, 3D프린팅을 이용해 복제한 유물 내기의 용량이 152.5㎖인데 반해 원통형 내기의 용량은 대략 168.6㎖로 조선시대 도량형 기준인 '량(量)'의 단위로 3홉(약 174㎖)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통형 내기의 용량이 조선 후기 도량형 기준과 부합하므로 실제 도공이 팔괘문연적을 제작할 당시 원통형내기를 가진 연적으로 제작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에서 CT 조사를 촬영해주신 국립중앙박물관 양석진선생에게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최정민, 조선후기 백자연적의 유행과 조형 특징, 미술사와 문화유산 8,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p27-45, (2019).
  2. 권현미, 조선후기 산형(山形)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1-6, (2016).
  3. 김선영, 황현성, 분향실험을 통한 백제금동대향로 내부 대류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5 No. 5, p470-479, (2019). https://doi.org/10.12654/JCS.2019.35.5.08
  4. 한국도량형박물관, 조선의 길이.들이.무게를 말하다, p278-326, 한국도량형박물관출판부, 당진, (2017).
  5. 황현성, 이민희, X-선 단층 촬영기를 이용한 백자 연적의 3차원적 구조 및 제작기법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1, p127-135, (2018).
  6. 황현성,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p122-123,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