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on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Park, Jong-won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Suwon Women's Univeristy)
  • 박종원 (수원여자대학교 보건행정과)
  • Received : 2021.04.08
  • Accepted : 2021.06.20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was empirical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service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The participants were 180 employe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cs19.0 program. The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ge, marriage status, career, and position affected performanc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performance was 91.25 (±12.46) points, emotional labor was 41.25 (±4.21) points, Resilience was 52.89 (±6.37), and the service environment was 78.93(±15.3) points. The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r=.326, p<.001) service environment (r=.384, p=.005) and Resilience (r=.417, p<.001)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Service environment was the biggest factor affecting performance, and the second was resili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48.2%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8.249, p<.001).

본 연구는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근무환경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80부가 최종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분석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에는 나이, 결혼유무, 경력, 직위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성과의 정도는 평균 91.25(±12.46)점, 감정노동은 평균 41.25(±4.21)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52.89(±6.37)점, 근무환경은 평균 78.93(±15.3)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근로자의 업무성과는 감정노동(r=.326, p<.001), 근무환경(r=.384,p=.005), 회복탄력성 .417(p<.001)의 변수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업무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근무환경이었으며 두 번째로는 회복탄력성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48.2%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8.249, p<.001).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상의 결과에서 요양병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을 좀 더 세심하게 개선하고 근로자들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 수원여자대학교 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수정(2014),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몰입 및 이직의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2. 고유경, 이태화, 임지영(2007),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 37(3), 286-294.
  3. 김민주(1998),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1(2), 129-141.
  4. 김주이, 이태화(2016), "간호근무환경,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2(2),109-117.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2.109
  5. 문인오, 박숙경, 정정미(2013),"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 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연구, 19(4), 525-535.
  6. 류경, 김종경(2016),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연구, 16(7), 439-450.
  7. 박소희, 박민정(2018),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 근무환경이 간호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4),175-184. https://doi.org/10.14400/JDC.2018.16.4.175
  8. 박정화, 정수경 (2016),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 능력,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연구, 17(10), 236-244.
  9. 박희서,임병춘(2001), "지방공무원들의 효율적 지식관리를 위한 인과모형검증," 한국정책학회보, 10(2), 111-133.
  10. 이수인, 이은주 (2016),"임상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 감정노동 및 자아 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4), 267-276.
  11. 장미경, 김현영(2018),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2), 51-59. https://doi.org/10.15207/JKCS.2018.9.2.051
  12. 정인옥, 한종희 (2020),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간호 정보역량 및 간호 근무환경이 간호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0), 334-344.
  13. 조은희, 최모나, 김은영, 유일영, 이남주(2011), "한국어판 간호 근무환경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간호학과학, 41(3), 325-332.
  14. Baek, H. S., K. U. Lee, E. J. Joo, M. Y. Lee, and K. S. Choi(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7(2), 109-115. https://doi.org/10.4306/pi.2010.7.2.109
  15. Connor, K. M., J. R. T. Davidson(2003), "Development of an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https://doi.org/10.1002/da.10113
  16. Lake, E. T.(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17. Morris J. A., D. C. Feldman(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