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여성의 물질주의 가치가 의복쇼핑성향과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materialism value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impulse buying behaviors of chinese female consumers - Focused on millennials -

  • Lee, Mi-sook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2.16
  • 심사 : 2021.05.11
  • 발행 : 2021.06.30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ialism value o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impulse buying behaviors of Chinese female consumers. The subjects were 417 female millennials in Gillim-province, China.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to ascertain materialism valu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impulse buying behaviors, and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ialism value was derived with 3 factors (happiness pursuit, possession-oriented, and success judgement). Second,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derived with 5 factors (trend pursuit, pleasure pursuit, brand pursuit, economic pursuit, and convenience pursuit). Third, the impulse buying behavior was derived with 4 factors (pure, planned, reminder, and implicit impulse buying). Forth, materialism valu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higher the value of materialism, the more the brand pursuit, pleasure pursuit, and trend pursuit shopping orientation increased, while the economic pursuit and convenience pursuit shopping orientation decreased. Fifth, materialism value had significant effect on pure and planned impulse buying behaviors. As the value of materialism increased, pure and planned impulsive buying behaviors increased. This study suggested that materialism value is an effective variable to understand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impulse buying behavior.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공주대학교 연구년 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강은미. (1999). 의복충동구매행동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상황변수. 제품소비가치 및 소비자 변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희, 박세연. (2014). 밀레니얼 세대와 캐릭터 디자인의 상관관계 감성 소비로서의 캐릭터 디자인. 한국디자인포럼, 45, 377-386.
  3. 김미선. (1996). 물질주의 성향과 충동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희. (1998).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상희. (1995). 충동구매의 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소비자의 심리.내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소영. (1994).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세희, 이은영. (2004). 의복쇼핑성향의 개념 규명을 위한 문헌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4), 472-482.
  8. 김정숙, 권정원. (2003). 한.일 여자대학생들의 물질주의 성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27-32.
  9. 김희숙. (2007). 여대생의 물질주의 성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철. (1993). 청소년의 광고수용과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4, 45-63.
  11. 박혜선. (2007). 물질주의와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과 복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03-110. https://doi.org/10.5934/KJHE.2007.16.1.103
  12. 배지연. (2009). 패션 소비자의 쇼핑성향, 온라인 이벤트 선호도, e-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백경미. (1995). 도시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백소라. (2008). 충동구매성향과 의류제품의 가격, 희소성 메시지가 인터넷 공동구매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민애. (2000). 수입여성의류 구매유무에 따른 의복행동:쇼핑성향, 물질주의,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정희, 허은정. (2004). 대학생 소비자의 물질주의와 쾌락적.효용적 쇼핑가치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765-774.
  17. 서지윤. (2020). 중국 여성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수연, 이정미. (1998). 여성 캐릭터 의류브랜드 구매자의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7), 833-842.
  19. 유지혜. (2017). 한국판 물질주의 척도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선혜. (2008). 청소년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소정. (1999).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평가기준과 자민족중심주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옥희, 강영의. (2014). 중국 중서부 지역(운남성) 대학생들의 소비행동 연구(제 1보):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소비자태도와 의복구매행동분석. 패션비즈니스, 18(1), 50-65. https://doi.org/10.12940/jfb.2014.18.1.50
  23. 이진석, 조현영, 전승우. (2019). 다양한 얼굴의 물질주의: 물질주의, 변화기대, 과시적 소비. 마케팅연구, 34(2), 45-66.
  24. 인샤오롱. (2019). 중국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의 소비동기와 해외 명품 브랜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장암. (2011).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의류구매행동과 구매성향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현철. (2001). 의류제품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전미영, 김난도. (2014). 물질주의 성향과 명품브랜드태도의 관계에 대한 체면의 조절효과 연구: 중국 2선 도시, 주링허우와 바링허우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69-373.
  28. 정미실. (2015). 물질주의, 의류쇼핑성향, 의류충동구매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4(6), 829-846. https://doi.org/10.5934/kjhe.2015.24.6.829
  29. 정수진. (1997). 여대생의 의복쇼핑성향과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지원. (2003).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갑. (2010). 한.중 소비자의 충동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대학생의 의류제품 소비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조총. (2013). 물질주의 성향과 충동성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주원경. (2014). 쇼핑성향, 패션 혁신성, 모바일 편의지각이 의복구매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지동진. (2006).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점내 상품기획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수퍼-수퍼마켓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미영. (2015). 중국 여성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소비행동 특징.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2), 109-127.
  36. Barbin, B. J., Darden, W. R., & Grif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March), 644-654. https://doi.org/10.1086/209376
  37. Bayley, G., & Nancarrow, C. (1998). Impulse purchasing: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phenomenon. Qualitative Market Research, 1(2), 99-114. https://doi.org/10.1108/13522759810214271
  38. Belk, R. W. (1985). Materialism: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65-277. https://doi.org/10.1086/208515
  39. Belk, R. W. (1984). Three scales to measure constructs related to materialism: Reliab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s to measures of happi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291-297.
  40. Cohen, P., & Cohen, J. (1996). Life values and adloscent mental health. Mahwah, NJ: Erlbaum.
  41. Engel, J. F., & Blackwell, R. D. (1990). Consumer behavior (4th eds). NY: The Dryden Press.
  42. Ger, G., & Belk, R. W. (1996).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materialism.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7(1), 55-77. https://doi.org/10.1016/0167-4870(95)00035-6
  43.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44. Kasser, T. (2016). Materialistic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7, 489-514.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122414-033344
  45. Kasser, T. E. & Kanner, A. D. (2004). Psychology and consumer culture: the struggle for a good life in a materialistic worl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Kasser, T., & Ryan, R. M.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 280-287. https://doi.org/10.1177/0146167296223006
  47. Richins, M. L. (2004). The material values scale: measurement properties and development of a short form.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1), 209-219. https://doi.org/10.1086/383436
  48. Richins M. L., & Dawson. S. (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3), 303-314. https://doi.org/10.1086/209304
  49. Rock, D. W., & Hoch, S. (1985). Consuming impuls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 23-27.
  50.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iv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2), 59-62. https://doi.org/10.2307/1248439
  51. Ward, S., & Warkman, D. (1971). Family and media influences on adolescent learning.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4, 2-7.
  52. Weinberg, P., & Gottwald, W. (1982). Impuls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 43-57. https://doi.org/10.1016/0148-2963(82)900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