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Youth Attraction Types by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유형별 특성 분석: 청년유인력 종합지수를 중심으로

  • Sa, Hoseok (Industrial Loc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
  • Woo, Hansoun (Industrial Loc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 사호석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 우한성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Received : 2021.06.21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henomenon that young people avoid employment in industrial complexes, which is one of the biggest issues at social and economic dimens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ttraction types by industrial complexes by making Youth Attraction Index. First, as the correlation between youth distribution of each industrial complex and youth attraction index of each industrial complex is analyzed, it show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is als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th distribution of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specific sectors except for accessibility. In addition, industrial complexes with superior working environment, innovation environment and amenities of surrounded areas are included in type I(type with superior youth attracti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shown by each type. In consideration of these, policy priorities of each type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customized package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for each type of youth attraction.

청년들의 산업단지 기피 현상은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로 인해 국가적, 지역적인 차원에서 산업단지에 청년을 유입하기 위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종합지수를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유형을 4개로 구분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산업단지별 청년 분포와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지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설명력을 보였으며, 근무환경, 혁신환경, 어메니티, 일자리 부문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 모두 유형별로 상이한 특성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근무환경, 혁신환경, 배후지역 어메니티가 우수한 산업단지가 청년유인력이 양호한 유형 1에 포함되었다. 이를 토대로 유형별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유형1은 교통 접근성, 일자리 부문이 우선과제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산업단지에 청년을 유입하기 위해서는 산업단지 청년유인력 유형별로 맞춤형 패키지 프로그램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지, 2018, 대구지역 청년인구 유출 배경 및 시사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2. 김군수.신기동, 2014, 청년일자리 거점: 복합지식산업센터, 이슈 & 진단 No.149, 경기연구원.
  3. 김기승.정민수, 2013, "청년층의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1(2), pp.103-130.
  4. 김영근.김민정, 2015, 권역별 노동수급 미스매치 현황 및 시사점, BOK 이슈노트 제2015-7호, 한국은행.
  5. 김유빈, 2015, "청년층 노동시장의 실태와 청년고용정책," 월간노동리뷰 2015년 7월호, pp.5-14.
  6. 김주훈.변병설, 2018,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92-211.
  7. 김찬준.송하율.김홍석.변창욱.김민수, 2015, 지식기반산업 발전을 위한 제주 인적자본 제고 방안, 한국은행 제주본부.
  8.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pp.581-593.
  9. 문영만.홍장표, 2017,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2), pp.165-187.
  10. 보건복지부, 2018,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최종열람일: 2020년 12월 6일).
  11. 사호석, 2020,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2), pp.125-146.
  12. 사호석.우한성, 2020a,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5(5), pp.501-519.
  13. 사호석.우한성, 2020b, 산업단지별 청년유인력 특성 분석, 한국산업단지공단.
  14. 산업통상자원부, 2020.09.17., 스마트그린산단 실행 전략 -디지털.친환경 기반 지역경제의 신성장 거점 -.
  15. 아주경제, 2021.04.01., "[균형발전 17년] ②청년인재 유출심각...지역 유턴 활성화 방안 과제로...," https://www.ajunews.com/view/20210331224504103(최종열람일: 2021년 5월 21일)
  16. 안은경.이희연, 2015,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68-189.
  17. 양원탁, 2019, "노후산업단지의 경쟁력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18-35.
  18. 윤윤규.최형재, 2020, 청년유인형 일자리 특성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9. 이규용.윤윤규.금재호.최강식.문병기, 2010, 일자리지원사업 평가와 과제-일자리대책사업 평가 연구시리즈 총괄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20. 이은미.김정균, 2015, 구인-구직 미스매치 유발요인 분석 및 대응방안, Trade Brief No. 15,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1. 이정찬.송위진.채윤식, 2015,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2. 이정현.이희연, 2015, "광역경제권별 구인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지역연구 31(2), pp.79-100.
  23.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9.11.19., 일자리창출과 제조업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24. 장재홍.송하율.김홍석.허문구.김찬준.변창욱, 2014, 창조산업의 공간 분포와 집적 형성 요인 분석, 산업연구원.
  25. 장철순.김주훈, 2017, "경쟁력 지표를 통한 노후산업단지 진단과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재생사업지구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45-258.
  26. 정연순.이향규.송미란.이자연, 2018, 청년고용정책 해외사례 연구-청년고용서비스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7. 조성철, 2020, "산업단지 혁신과 청년일자리 창출: 정주환경을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2020년 6월호, pp.9-22.
  28. 조혜영.박종배.공보경, 2014, 산업단지내 수요자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 한국산업단지공단.
  29. 통계청, 2018, 기업활동조사(최종열람일: 2020년 10월 22일)
  30.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2018, 전국사업체조사(최종열람일: 2020년 12월 3일)
  31. 한국토지주택공사, 2018, 도시계획현황(최종열람일: 2020년 12월 11일)
  32. 한원미.공보경.이경아, 2018, 산업단지 일자리 실태와 정책적 지원 방안, 한국산업단지공단.
  33. 행정안전부, 2018, 주민등록인구현황(최종열람일: 2020년 11월 10일)
  34. 허문구.김동수.홍진기.최윤기.임종인, 2012, '산업단지 활력지수' 산출을 통한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 - 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를 중심으로 -, 산업연구원.
  35. 허문구.이상림.정윤선.김은정.이소영.박형진, 2014, 지역의 인구경쟁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36. 허문구, 2015, 지역별 인재유인력의 공간분포와 특성분석인재유인력잠재력지수(TMPI) 산출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37. 홍정만, 2011, "AHP 기법을 적용한 민간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 10(1), pp 115-142.
  38. 황승진.홍진기.장철순.표한형.도기현, 2020, "스마트산단의 고용효과," KED Quarterly Brief 제 2호(2020년 2분기), pp.41-59.
  39. Andersson, M., Asplund, C., Bystrom, M. and Ekman, P., 2014, Tools and Strategies for Innovative Talent Attraction and Retention, Tendensor.
  40. Faggian, A. and McCann, P., 2009, "Human Capital, Graduate Migration and Innovation in British Regions,"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33(2), pp.317-333
  41. Haynes, C. and Langley, V., 2014, Magnet Cities, KPMG
  42. Muro, M. and Perry, A., 2020, Regional Divergence Is More Than An Economic Dilemma - It's a Civil Rights Issue, Brookings,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