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Number of Urban Park User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ime Series Big Data Analysis

COVID-19 확산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자 수의 변화 - 시계열 빅데이터 분석 -

  •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정이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오다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정예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21.06.03
  • Accepted : 2021.06.14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on the number of park user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time series data on the number of users and the COVID-19 outbreak at Olympic Park, a large-scale comprehensive urban park located in Songpa-gu, Seoul, and four neighborhood parks in the same municipality. And this was compared with the effect 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users around Jamsil Lotte World, a representative indoor complex leisure space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mall neighborhood park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by 3 to 6% on averag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park use were sensitive to the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social distancing.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users around Jamsil Lotte World decreased by 38% on average, and in the case of Olympic Park, the number of users decreased by 1.9% on averag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the vehicle users representing remote users of Olympic Park has decreased by 23% on average,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number of users in the surrounding areas. This suggests that urban parks, especially neighborhood parks in residential areas, play a role as a major refuge and leisure space for urban people in the event of a pandemic disaster such as COVID-19, and therefore need to be properly supplied and maintained.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COVID-19) 확산 및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이 공원 이용자 수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대규모 종합도시공원인 올림픽공원과 동일 자치구 내 근린공원 4 곳의 이용자 수와 COVID-19 발생에 관한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서울의 대표적 실내 복합여가공간인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 변화 효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지역 내 위치한 소규모 근린공원은 COVID-19 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발생 이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3~6% 정도 이용자 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 상향에 따라 공원 이용변화가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잠실 롯데월드 일대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38%가량 감소하였고, 올림픽공원의 경우에는 COVID-19 확산에 따라 평균적으로 1.9% 정도 이용자 수가 감소하였다. 올림픽공원의 원거리 이용자를 나타내는 차량 이용자 수가 평균적으로 23%가량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주변지역 이용자 수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COVID-19와 같은 전염병 재난 시 도시공원, 특히 주거지역 내 근린공원은 도시인들에게 주요한 피난처이자 여가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의 적절한 공급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0R1A2C110293411).

References

  1. 강수진.김영호, 2011,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변인이 노인들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2(3), pp.113-124.
  2. 강태경.길유미, 2020, 모바일 빅데이터로 본 코로나19 발생 후 인구 이동과 개인 소비 변화, 「통계프리즘」, 2020 여름호, pp.37-45.
  3. 김동준.신희철.박준식.임형준, 2012, 날씨가 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양시 공공자전거를 대상으로, 「교통연구」, 19(3), pp.77-88. https://doi.org/10.34143/JTR.2012.19.3.77
  4. 김문겸, 2002, 자본주의와 여가, 「사회연구」, 4, pp.11-42.
  5. 김용국, 2019,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7(5), pp.28-40. https://doi.org/10.9715/kila.2019.47.5.028
  6. 김진옥.김남조.김분한, 2014, 노인 여가 제약에 관한 주관성 연구: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 28(0), pp.75-92.
  7. 문화체육관광부, 2020, 코로나19가 바꾼 일상, '집 안 문화생활.집 근처 야외활동',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79790
  8. 박정은.이훈, 2013, 취업준비 중인 대학생의 여가 경험 분석: 자기계발 강박 현상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10), pp.205-229.
  9. 백수경.박경훈, 2014,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3), pp.1-12. https://doi.org/10.9715/KILA.2014.42.3.001
  10. 손영미.박정열, 2014,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pp.161-190.
  11. 엄영숙.오형나, 2019, 미세먼지 건강위험과 회피행동: 야외여가활동수요 감소를 사례로, 「경제학연구」, 67(2), pp.39-70. https://doi.org/10.22841/KJES.2019.67.2.002
  12. 유승현, 2016, 주관적 환경인식에 대한 도시건강 연구와 질적연구.조사방법의 다중적용: 건조환경과 신체활동, 「서울도시연구」, 17(1), pp.147-161.
  13. 윤소영, 2010,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과 여가생활주기 단계별 모형 개발, 「가정과삶의질연구」, 28(4), pp. 103-115.
  14. 윤인진.김상운, 2005, 여가활동의 사회집단별 차이와 불평등, 「사회과학연구」, 13(2), pp.162-202.
  15. 이장호.정경옥.신희철, 2016, 기상조건과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34(5), pp.394-408. https://doi.org/10.7470/jkst.2016.34.5.394
  16. 이정희.유리화.장윤선, 2018, 「연령별 산림여가활동 실태분석」, 국립산림과학원.
  17. 이진오, 2008, 날씨 기반 신체활동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0(3), pp.107-118. https://doi.org/10.21797/KSME.2008.10.3.007
  18. 이향숙.신원우, 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pp.157-165.
  19. 장윤정, 2015, 가구생애주기별 여가관광이동 행태 특성분석: 거주지에서 여가관광목적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9(8), pp.111-123.
  20. 장윤정.이승일, 2010, 거주지의 여가환경이 여가통행거리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시 내부통행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5(6), pp.85-100.
  21. 장재협.권혁진.강지현.이충훈, 2019, 미세먼지에 따른 여가활동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ush-PullMooring(PPM)이론과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의 적용, 한국관광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집, 86, pp.165-171.
  22. 장펑린.최막중, 2018, 미세먼지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3(3), pp.133-143.
  23. 전희진.이경미, 2006, 기후가 국립공원 관광객 수에 미치는 영향, 「기후연구」, 1(1), pp.49-59.
  24. 조경진, 2007, 공원문화의 현실과 지평: 서구와 한국의 공원이용 변천과 비교를 중심으로, 「환경논총」, 45, pp.33-54.
  25. 조정형.김영재.차은주, 2015, 여가활동과 기상.기후간의 관계분석: 등산활동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3(4), pp.25-38. https://doi.org/10.22879/SLOS.2015.13.4.25
  26. 조정형.차은주.김영재, 2018, 여가활동 참여자의 미세먼지 문제인식이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6(3), pp.1-19. https://doi.org/10.22879/SLOS.2018.16.3.1
  27. 채진해.김원주, 2020,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8(4), pp.29-40.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29
  28. 최종인.김영철, 2005, 스포츠현장에 있어서 기상학의 활용에 관한 고찰, 「코칭능력개발지」, 7(4), pp.95-103.
  29. 한수정.조용준, 2010, 여가활동 변화에 따른 여가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12(1), pp.213-232.
  30. 허지정.최막중, 2017, 가구특성에 따른 여가시간 배분 및 여가장소 선택, 「국토계획」, 52(6), pp.57-72. https://doi.org/10.17208/jkpa.2017.10.52.6.57
  31. 황남희, 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pp.37-69.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37
  32. Aloi, A., Alonso, B., Benavente, J., Cordera, R., Echaniz, E., Gonzalez, F., ... & Sanudo, R., 2020, Effects of the COVID-19 lockdown on urban mobility: Empirical evidence from the City of Santander (Spain), 「Sustainability」, 12(9), pp.3870. https://doi.org/10.3390/su12093870
  33. Fatmi, M. R., 2020, COVID-19 impact on urban mobility, 「Journal of Urban Management」, 9(3), pp.270-275. https://doi.org/10.1016/j.jum.2020.08.002
  34. Geng, D. C., Innes, J., Wu, W., & Wang, G., 2021, Impacts of COVID-19 pandemic on urban park visitation: a global analysis,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2, pp.1-15. https://doi.org/10.1007/BF02856790
  35. Godbey, G., Graefe, A. R., & James, S. W., 1992, 「The benefits of local recreation and park services: a nationwid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the American public」, Arlington, VA: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36. Jasinski, A., 2020, Public space or safe space: Remar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echnical Transactions」, e2020020, https://doi.org/10.37705/TechTrans/e202002.
  37. Kagermeier, A., 1998, The impact of land use patterns on mobility structures, in Breuste, J., H. Feldmann, O. Uhlmann (Hrsg.): 「Urban Ecology」, pp.541-546, Springer, Berlin, Heidelberg.
  38. Kelly, J. R., Steinkamp, M. W., & Lelly, J. R., 1987, Laterlife satisfactions: Does leisure contribute? 「Journal of Leisure Science」, 9(3), pp.190-200.
  39. Low, S., Taplin, D., Scheld, S., 2009, 「Rethinking urban parks: Public space and cultural diversity」,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40. Martin, M., Deas, I., & Hincks, S., 2020, Temporary urban solutions help us deal with crisis - and can lead to radical shifts in city space, The Conversation, Retrieved March 11, 2021 from https://theconversation.com/temporary-urbansolutions-help-us-deal-with-crisis-and-can-lead-toradical-shifts-in-city-space-135248.
  41. Salama, A. M., 2020, Coronavirus questions that will not go away: interrogating urban and socio-spatial implications of COVID-19 measures, 「Emerald Open Research」, 2(14).
  42. Ugolini, F., Massetti, L., Calaza-Martinez, P., Carinanos, P., Dobbs, C., Ostoic, S. K., ... & Sanesi, G., 2020,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use and perceptions of urban green space: An international exploratory stud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56, 126888. https://doi.org/10.1016/j.ufug.2020.126888
  43. Weagley, R. O., & Huh, E., 2004, The impact of retirement on household leisure expenditur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8(2), pp.262-281.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4.tb00868.x
  44. Yuen, H. J., & Jenkins, G. R.,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immediately after urban park visi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30(2), pp.134-145. https://doi.org/10.1080/09603123.2019.1577368
  45. 기상청, 2020, 송파구 지점 최고기온 및 일강수량 방재기상관측자료(AWS).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wsRltmList.do?pgmNo=56
  46. 문화빅데이터플랫폼, 2020a, 올림픽공원 차량 이용현황 데이터. https://www.bigdata-culture.kr/bigdata/user/data_market/detail.do?id=a2d6393d-246e439b-8bfb-c25204e808fb
  47. 문화빅데이터플랫폼, 2020b, 올림픽공원 대관 데이터. https://www.bigdata-culture.kr/bigdata/user/data_market/detail.do?id=42fa1e06-1767-4a96-84d3-dc1dd591bb41
  48. 서울의 공원, 2020, 서울의 공원 현황 통계자료. http://parks.seoul.go.kr/story/data/list.do
  4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20, 사회적 거리두기 관련 보도자료. http://ncov.mohw.go.kr/tcmBoardList.do?brdId=3&brdGubun=
  50. 토지이음, 2020, 토지이용계획열람(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 동 40-1번지) 롯데월드 대지면적. http://www.eum.go.kr/web/ar/lu/luLandDet.jsp
  51. 통계청, 2020, 전국 일별 확진자 수. https://kosis.kr/covid/covid_index.do
  52. AirKorea, 2020, 송파구 측정소 미세먼지(PM10) 최종확정자료(도시대기 측정망). https://www.airkorea.or.kr/web/pastSearch
  53. Vworld 공간정보오픈플랫폼, 2020, WMTS(Web Map Tile Service) API, https://www.vworld.kr/dev/v4dv_wmtsguide_s00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