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isk Assessment Based on Highway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Scenario Using GIS

GIS를 활용한 고속도로 염화수소 가스 누출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평가

  • Kim, Kuyo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Jaejoon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risis,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ungkyunkwan University) ;
  • Yun, Hongsik (School of Civil,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김구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 이재준 (성균관대학교 방재안전공학협동과정)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21.06.11
  • Accepted : 2021.06.2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As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continues to develop,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chemicals increases every year. Road freight in Korea accounts for more than 90%, and most of the chemical transportation is done through roads. These chemical vehicles can lead to major accidents if accidents occur. Transportation vehicles are likely to cause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which are factors of environmental damage, as well as traffic accidents that are the primary damage. In this work, we write a scenario for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by setting Banpo IC and Seocho IC sections as research areas, and use the ALOHA program to measure the predicted distance and analyze the time when hydrogen chloride gas reach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addition, risk assessment using population density was carried out for areas of damage caused by time using GI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in areas of damage.

국내의 화학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학물질의 취급량과 운송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로 화물운송은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운송도 대부분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 운송차량들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운송차량은 1차 피해인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2차 피해인 환경 피해 요인들인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반포IC와 서초IC 구간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염화수소 가스 누출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ALOH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측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라 염화수소 가스가 도달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해 시간별로 발생한 피해 영역에 대해서 인구밀도를 이용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피해 영역에 대해서 예방·대응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1. 서론

급속한 산업과 과학기술 발달 등으로 인해 다양한 화학물질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종류와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화학물질은 한 번의 사고로 수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뿐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지역주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 여건상 도로를 이용한 화물수송이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위험물질 수송 역시 대부분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실정이다(National Transportation DB Center, 2019). 화물 운송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위험물질 운송차량은 대부분 대형트레일러나 탱크로리 차량이라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유해화학물질을 운송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상대적으로 관리·감독이 소홀한 실정이다.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에서 조사된 위험물질로 인한 운송사고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사고는 염화수소로 인한 사고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10여종의 차량으로 인한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위험물질 운송사고 사망률은 일반 승용차 사고에 비해 약 5배 정도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5). 위험물질 운송차량 사고는 1차적 피해인 차량 추돌 및 전복 등과 2차 피해인 누출·화재·폭발 등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위험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 대형 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위험물질 운송사고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피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위험물질 운송차량에 대해서 사고 예방을 위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화학물질 운송사고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는 미진한 부분이 있다. 화학물질 운송과정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도로에서 화재·폭발·누출 등으로 인한 화학물질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관해서 연구가 지속적으로 GIS를 이용한 정량적 리스크 평가를 수행한다면, 사고예방 및 사고 발생 시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응이 가능하다.

국내·외 화학물질 사고와 관련해서 GIS를 활용한 리스크 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가 일부 있다. Zhang and Laijun (2007)은 확산 모델을 활용하여 화학물질 운송사고 확률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운송사고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액화석유 가스를 이용한 누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고, 정규 확산 모델을 사용해서 사고 확률에 대해 분석했다. 기상정보 등을 정보를 활용하여 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주변 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GIS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Jiang et al. (2012)은 송하강 유역에서 발생한 과거 화학물질 유출 사례를 기반으로 화학물질 누출에 대응하기 위한 GIS 기반의 실시간 리스크 평가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하천 유역에 대한 GIS 기반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4개의 프로세스와 3개의 모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벤젠 유출 시나리오 작성하기 위해 화학물질 확산 모델, 사고에 대한 위험 평가 모델 등을 포함한 시각 멀티미디어를 활용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농도, 리스크, 경고 영역, 취약 지역 등이 포함된 경고 정보를 활용하여 GIS 기반의 프레임 워크를 구현하였다. Fatemi et al. (2017)는 이란의 염소창고인 Ray Shourabad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누출에 대해서 계절별로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이를 위해 ALOH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ALOHA 결과를 GIS와 연동하여 누출거리별 주변지역의 사상자를 고려하여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초IC~반포IC 구간을 대상으로 염화수소 가스 누출 사고 시나리오 기반시간별 피해 영향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GI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대한 예방·대응에 대한 재난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서울도시고속도로 교통정보에서는 구간별 사고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사고 정보는 지도에서 3개 항목으로 표출하 는 데 빨간색으로 표출되는 경우는 73건 이상 발생했을 경우 표출된다. 서초IC와 반포 IC 구간은 사고 건수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서초IC와 반포IC 구간은 사고가 한 번 발생하게 될 경우 정체가 심해져 서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하게 될 경우 차량 정체와 인명 피해가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 시나리오 기반 ALOHA 모델링

화학물질 사고는 다양한 형태의 사고가 발생하며, 피해유형도 다르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나리오를 작성해서 다양한 형태의 피해영향 범위를 예측할 수 있다.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와 「화학물질 관리법」 시 행규칙 제19조 규정에 따르면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서를 작성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장외영향평가는 화학 사고로 인해 미치는 영향범위가 사업장 외부의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장외영향평가서 작성 과정에서는 폭발·누출 등 화학물질 사고에 의해 도출된 시나리오별로 영향범위를 평가를 해야 한다. 이러한 피해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 다양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서초IC~반포IC 구간에 대해서 염화수소가스 누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ALOHA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를 사용하여 영향 범위를 산출하였다.

ALOHA 프로그램은 미국 해양대기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에서 개발하였고, 미국 환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과 공동으로 운영하여 무료로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다. ALOH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영향범위를 예측한 이후, 영향범위를 지도에 표출하여 예방 및 비상대응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화학물질 사고 영향범위 산출시 ALOHA 프로그램 외에 PHAST, TRACE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 ALOHA 프로그램을 사용한 이유는 분석한 결과를 GIS와 Google Earth 프로그램과 호환되어 피해영향 범위를 지도상에 직접 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Lee, 2016).

화학물질 누출 사고 시나리오는 산업안전공단에서 제공하는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통해 작성하였다. 미국 환경보호청(EPA)과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는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통해 시나리오 선정할 때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기술지침에서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화학물질을 많은 양으로 보유한 저장용기 또는 배관 등 누출·화재·폭발이 발생되어 사람 및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범위가 최대인 경우를 말한다(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6). 각각의 시나리오는 기술지침을 통해 시나리오 선정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될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Table 1은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에서 명시하고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정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될 인자들이다.

Table 1.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worst-case scenarios

OGCSBN_2021_v37n3_591_t0001.png 이미지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동탱크에서 염화수소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가정하고 작성하였다. ALOHA 프로그램에 적용된 입력데이터는 화학물질 종류, 기상데이터, 탱크로리 조건, 독성위험 기준이다. 화학물질 종류는 화 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2008년 부터 2017년까지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 기반으로 화학물질별 누출 순위를 분석하였다. 화학물질 사고 중 염화수소로 인한 사고가 6번으로 가장 높게 나왔다. Table 2는 화학물질 종류별 누출 순위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2. Leakage Rank by Highway Chemical Type

OGCSBN_2021_v37n3_591_t0002.png 이미지

ALOHA 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기상데이터는 풍속, 온도, 습도, 구름의 양, 대기안정도가 있다. 기상데이터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탈에서 방재기상관측장 비(AWS)로부터 관측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서초지점(401)에 대해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3년간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대한 기술지침에서는 온도는 3년간 최대 온도를 사용하고, 습도는 3년간 평균값으로 사용해야 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3년간 가장 높은 온도는 37.6°C, 3년간 발생한 평균 습도는 54%로 분석 결과로 확인되었다. 구름의 양은 구름으로 덮인 하늘의 비율을 의미하며, 구름의 양은 0~10까지 설정이 가능하다(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4). 풍속과 일사량은 대기안정도 등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기안정도는 대기 중 더운 공기는 위로 가고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가며, 하층의 공기가 위에 보다 차가울 때 상하간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안 정도는 대표적으로 Pasquill 등급을 사용하며, 이러한 등급은 ALOHA 프로그램 내에서 인자들을 입력할 시 자동으로 등급을 선택한다(ALOHA Technical Document, 2013). Table 3은 ALOHA 프로그램에서 Pasquill 등급이 적용되고 있는 대기안정도 정보이다.

Table 3. Atmospheric stability information applied in the ALOHA program

OGCSBN_2021_v37n3_591_t0003.png 이미지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 기술지침에서 시나리오 선정 시 대기안정도는 F를 설정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풍속은 1.5 m/s를 설정하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ALOHA 프로그램 내에서 구름의 양은 자동적으로 구름의 양은 5로 지정이 된다. 대기안정도 F를 설정하려면 구름의 양은 5로 설정해야 됩니다.

탱크로리 조건을 ALOHA 프로그램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탱크 규격 및 지름, 화학물질 누출 상태, 누출원 의 지름을 고려해야 한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4조에 의해 탱크로리 차량내부에 4000 L 이하마다 철제판을 설치해야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Park and Hong, 2018). 자동차관리법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시행규칙에 따르면 탱크로리는 길이 13 m, 지름 2.5 m, 용량 40 ton을 초과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다(Jeon and Hyun, 2021). ALOHA 프로 그램에서는 탱크 규격 조건으로 용량, 길이, 지름 중 2가지 조건을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나머지 하나의 값을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탱크로리 업체 규격을 확인하여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규격을 고려하여 용량과 길이를 적용하여 지름을 산출하였다.

미국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OT)에 서는 위험물 운송에 관한 규칙을 통해서 탱크 내부압력에 대해서 명시하고 있다. 염화수소 탱크의 내부압력은 최소 6.8 atm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서 본 논문에서는 내부 압력을 10 atm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ALOHA 프로그램 Help 기능에서는 누출공의 지름은 최소 0.4 inch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기술지침에서는 누출공 지름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조건으로 누출지름을 1inch로 선정하였다. Table 4는 ALOHA 프로그램에 입력되어야 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이다.

Table 4. Inputdata to apply worst-case scenario toALOHA program

OGCSBN_2021_v37n3_591_t0004.png 이미지

ALOHA 프로그램에 입력값을 입력하게 되면 가스 용량, 누출율, 누출량에 대해서 자동적 계산된다. 또한 독성기준 단계별로 확산 범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화학물질 사고는 여러 형태의 독성기준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독성기준을 선정할 때 ERPG, AEGL, TEEL 이라는 기준을 사용하며, 독성기준은 3단계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AEGL 독성 기준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AEGL(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은 미국 환 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 화학물질 관련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인한 일반 시민의 노출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다.

이러한 기준은 시나리오 조건들이 선정이 완료되었을 때 화학물질 종류에 따라 농도별 거리 산출이 달라진다. Table 5는 데이터를 입력하였을 때 나오는 결과이다.

Table 5. Inputdata to apply worst-case scenario toALOHA program

OGCSBN_2021_v37n3_591_t0005.png 이미지

ALOHA 프로그램은 누출된 거리는 Threat Zone Analysis를 통해 영향 범위에 대한 결과를 이미지 형태로 나타낸다. Fig. 1은 Threat Zone Analysis를 이용하여 AGEL 단계별로 누출거리를 나타낸 결과이다.

OGCSBN_2021_v37n3_591_f0001.png 이미지

Fig. 1. Leakage Impact Range with Threat Zone Analysis.

3. GIS를 이용한 리스크 평가

Threat Zone Analysis를 통해 얻은 독성기준별 누출거리를 나타낸 결과는 Export Threat Zone 기능을 통해 KML 파일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변환된 KML 파일을 GIS에 적용하여 사고 지점에서 누출 범위에 포함되는 지역의 피해를 표현하였다. Fig. 2은 독성기준별 누출거리를 GIS를 활용하여 표현한 결과이다.

OGCSBN_2021_v37n3_591_f0002.png 이미지

Fig. 2. Results of expressing leakage distance by toxicity criteria using GIS.

화학물질 사고 발생 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고지점까지 최대 30분 이내로 도착해야 한다. 화학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화학물질 누출 시 화학물질 종류에 따라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확산 범위도 달라질 것이다. 염화수소 누출 시나리오를 통해 얻은 결과 기반으로 누출거리를 독성 기준 단계별 거리에 대해서 염화수소가스 농도의 도착 시간을 확인하였다. ALOHA 프로그램은 Threat At Point라는 기능을 활용 하여 화학물질 농도가 시간별로 얼마만큼 거리에 도달했는지를 그래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Fig. 3은 독성 기준 단계별 염화수소 농도가 도달한 시간을 나타내는 결과이며, Table 6은 독성기준 단계별 거리에 농도가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낸 결과이다.

OGCSBN_2021_v37n3_591_f0003.png 이미지

Fig. 3. Time for concentration to reach step-by-step distance.

Table 6. Time to reach concentration at toxic level step distance

OGCSBN_2021_v37n3_591_t0006.png 이미지

Yun et al. (2014)은 리스크 평가 계산 시 발생 빈도, 취약성, 리스크 요인의 양 3가지 항목에 대해서 곱으로 표현이 된다고 명시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취약성은 ALOHA 프로그램에서 적용된 염화수소가스 누출 시나리오 결과로 표현된 영향범위(V)를 사용하였고, 리스크 요인의 양은 인구밀도(A)로 선정하였다. 발생확률 (P)은 전체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한 건수를 발생된 연도로 나눠준 값들을 이용하였다. 다음 식 1은 리스크 평가 시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식이다.

\(\begin{aligned} \text { Risk }=& \text { Frequncy }(P) \times \operatorname{Vulnerability}(V) \times \\ & \text { Amount of risk factor }(A) \end{aligned}\)       (1)

인구밀도는 통계지리서비스(SGIS)에서 Text 파일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독성 위험 기준별로 사고지점으로부터 피해를 받은 인구에 대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각 시간별로 피해 영향을 받은 인구밀도를 알기 위해서 9분, 16분, 55분에 해당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해 Buffer 분석 기능과 Multiple-Ring Buffer 기능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9분 영역에 해당하는 인구밀도는 사고지점으로부터 449 m 내에 포함된 인구밀도를 의미한다. 16분에 해당되는 인구밀도는 449 m와 1.1 km 내에 포함된 인구 밀도를 의미한다. 52분에 해당되는 인구밀도는 1.1 km 와 4.7 km 내에 포함된 인구밀도이다. 즉, 16분 영역에 해당되는 인구밀도는 9분에 해당 거리의 원형과 16분 사이에 해당되는 거리의 원형을 뺀 영역이며, 52분에 해당되는 인구밀도는 16분 사이에 해당되는 거리의 원형과 52분 사이에 해당되는 거리의 원형을 뺀 영역이다. Fig. 4는 시간별 영향 범위에 포함되는 인구밀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OGCSBN_2021_v37n3_591_f0004.png 이미지

Fig. 4. Population Density Covering Hourly Impact Ranges.

취약성은 염화수소가스 누출 시간별 피해 영향 범위를 의미하며, 사고 지점으로부터 염화수소가 누출되었을 때 가까운 영역일수록 위험하다. Table 7은 누출 시간에 대한 등급을 의미하며, Fig. 5는 등급별로 누출 시간 별 피해영향 범위 결과이다.

Table 7. Classification for Leak Time

OGCSBN_2021_v37n3_591_t0007.png 이미지OGCSBN_2021_v37n3_591_f0005.png 이미지

Fig. 5. Damage impact range results by leakage time by grade.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간별로 해당되는 영역에 있는 인구밀도와 누출 시간별 해당되는 등급, 발생확률을 곱해줘야 한다. 인구밀도를 표현한 결과와 시간별 피해영향 범위 결과의 해당 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계산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벡터형태로 되어 있는 인구밀도 및 누출시간별 등급을 계산하기 위해서 해당 영역들에 대해서 래스터 파일로 변환하였다. 시간별 피해영향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하기 위해서 GIS에서 Raster calculator를 이용하여 발생 확률(P), 취약성(V), 리스크 요인의 양(A)을 계산하였다.

발생확률(P)은 고속도로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발생한 사고 건수를 발생한 기간으로 나눠준 값이다. 2008 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발생한 사고 건 수는 101건 이며, 10년 동안 매년 12개월 동안 발생한 사고의 확률로 가정하고 계산하였다. 여기서 나온 결과는 0.84이며, 결과값은 리스크 값을 도출할 때 Raster Calculator 기능을 사용할 때 인구밀도와 취약성의 값을 곱할 때에 적용하였다.

인구밀도(A)는 피해 영향범위 내에서 가장 높은 Maximum Value값인 149,445 값을 기준으로 총 10단계로 등급을 분류하였다. Table 8은 등급별 인구밀도를 나타낸 결과이며, Fig. 6은 인구밀도를 래스터로 변환한 결과이다.

Table 8. Population Density by Grade

OGCSBN_2021_v37n3_591_t0008.png 이미지

OGCSBN_2021_v37n3_591_f0006.png 이미지

Fig. 6. Conversion of population density to raster.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벡터 형태로 되어 있는 취약성을 래스터로 변환하였다. Fig. 7은 취약성 영향범위를 래스터로 변환한 결과이다.

OGCSBN_2021_v37n3_591_f0007.png 이미지

Fig. 7. Conversion of population density to raster.

래스터로 변환된 인구밀도와 취약성 결과를 Raster Calculator를 이용하여 발생확률과 곱해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Table 9는 9분 영역에 대해서 인구밀도 등급, 취약성 등급, 발생 빈도의 값을 곱해서 리스크 결과 값에 대한 예시이다. Fig. 8은 래스터로 변환한 각 시간별 피해영향에 대한 리스크 평가 결과이다.

Table 9. Examples of risk assessment results for 9 minute areas

OGCSBN_2021_v37n3_591_t0009.png 이미지OGCSBN_2021_v37n3_591_f0008.png 이미지

Fig. 8. Risk assessment result for damage impact by time.

4. 결론

본 논문에서는 서초IC~반포IC 대상으로 염화수소 누출 시나리오 결과에서 산출된 누출거리를 이용하여 독성기준 단계별 거리에 도달하는 농도의 시간을 분석하여 GIS를 활용하여 시간별로 발생한 피해 규모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간별 피해영역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분석한 결과 9분에 포함된 영역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를 리스크 요인으로 가정하고 사용하였지만, 화학물질 사고 발생 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할 때 상세 인구 정보와 건물 정보 등을 고려하면 정확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노약자, 어린 이 등 취약인구가 영향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일반 사람들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을 확률이 높다. 또한 병원, 유치원, 요양원 등 취약 인구가 많은 건물 정보를 활용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화학물질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고지점까지 골든타임인 30분 이내로 도착해야 한다. 화학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규모는 증가할 것이다. 담당기관들은 화학물질별 농도 도달 거리 시간을 분석하여 예방·대응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해당 담당기관들은 사전에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해서 피해 영향이 발생하는 곳을 사전에 파악하여 평소에는 예방 차원에서 지역 주민들과 대피 훈련을 하여 사고 발생 시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대응 차원에서는 사고 발생 시 사고 피해 영향범위에 포함되는 사람들에게 사고 현황과 대피유도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해야 한다. 사고 발생 전후로 인근 지역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예방·대응 방면에서 여러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References

  1. Bae, M.S., 2016. Consequence Analysis and Safety Measures on Ammonia Release from Tank Contain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g, H.S. and H.P. Jai, 2016. Improvement on Spill Risk of a Hazardous Chemical Transporting Vehicl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12(8): 3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8.33
  3. Choi, Y.H., 2018. A Study on Frequency of Accidents in Hazardous Material Transporter and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Inha University, Inch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Fatemi, F., A. Ardalan, B. Aguirre, N. Mansouri, and I. Mohammadfam, 2017.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simulation on toxic chemical release: A scenario-based case study from Ray, Iran, Electron Physician, 9(10): 5638-5645. https://doi.org/10.19082/5638
  5. Jeon, B.H. and H.S, Kim, 202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k Hole Size, Leak Rate, and the Influence Range for Hydrochloric Acid Transport Vehicl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7(2), 175-181. https://doi.org/10.5668/JEHS.2021.47.2.175
  6. Jiang, J., P. Wang, W. Lung, L. Guo, and M. Li, 2012. A GIS-based generic real-time risk assessment framework and decision tools for chemical spills in the river basi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27: 280-291. https://doi.org/10.1016/j.jhazmat.2012.05.051
  7. Kim J.G. and H.S. Byun, 2014. Hazard Assessment on Chlorine Distribution Use of Chemical Transportation Risk Index,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2(6): 755-7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9713/kcer.2014.52.6.755
  8. Kim, K.Y., 2019. A GIS-based Risk Assessment of Time-Varying Effects on Highway Chemical Releas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https://data.kma.go.kr/, Accessed on May, 2020.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6. Technical Guidelines for Selection of Worst and Alternative Accident Scenarios, Ulsa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https://sgis.kostat.go.kr/, Accessed on May, 2020.
  12.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5.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ontrol center, Gimche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J., 2016.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hemical Release accident Using Spatial Information in terms of Human, Sunkyunkwan University, Suwon, KR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4.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20. https://icis.me.go.kr/, Accessed on May, 2020.
  15.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 ALOHA Technical Document, Seattle, WA, USA.
  16.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0. https://response.restoration.noaa.gov/, Accessed on June, 2020.
  17. National Transportation DB Center, 2019. National Traffic Statistics, Sejong, KR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8. Oak, J.M., Y.M. Kwag, M.S. Hong, and S.H. Jung, 2017.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8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S.W. and S.C Hong, 2018. A Study on Leakage Accident of Hydrochloric Acid Tank Lorry on the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1): 157-163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1.157
  2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4. ALOHA Computer Code Application Guidance for Documented Safety Analysis Final Report, Washington, D.C., USA.
  2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Risk Management Program Guidance for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United Washington, D.C., USA.
  2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20. https://www.epa.gov/, Accessed on May, 2020.
  23. Yun, H.Y., J.J. Cho, H.J. Choi., and J.S. Hwang, 2014. Disaster Risk Assessment Theory, Moonundang, Seoul,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ZHANG, J. and L. ZHAO, 2007. Risk Analysis of Dangerous Chemicals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 Theory & Practice, 27(12): 117-122. https://doi.org/10.3321/j.issn:1000-6788.2007.1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