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Korean Naval Forces by Examining How Japan built their Maritime Self-Defense Force: Focusing on the 'eight (艦)-eight (機) fleet system'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건설 재조명을 통한 한국 해군력 건설논리 발전방향 연구: '8함(艦) 8기(機) 체제'를 중심으로

  • 류재학 (합동참모본부 해상작전분석담당)
  • Received : 2021.03.22
  • Accepted : 2021.06.07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started from questioning our general view that the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 (JMSDF) is a natural result of Japan being a prosperous and island country. Japan's naval power collapsed after World War II. The initial power of the JMSDF, founded in 1954, was very small and not different from the Republic of Korea Navy (ROKN), mostly consisting of ships given by or borrowed from the US. Although growing into the world's second-largest economy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n island nation acted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naval forces,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the early stage, such as a temporary severance with the Japanese Navy, strategic thinking centered on land forces, and an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oil crisis. As a result, the JMSDF has become a world-class naval power and is developing into a four helicopter carrier operating system, which may change the basic concept of exclusive defense. There are various factors behind the growth of Japan's naval power, but this study explores how to develop Korean naval forces by analyzing how Japan developed their escort fleet, the core of the JMSDF, focusing on the eight (艦)-eight (機) fleet system, which was the basic logic behind building the JMSDF.

이 연구는 일본은 부국(富國)이고 섬나라이기 때문에 해상자위대의 강력한 해상전력건설은 당연한 결과로 인식하고 있는 일반적인 우리의 시각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일본은 2차 대전 후 해군력이 완전히 와해되었다. 1954년 해군을 대신하여 탄생한 해상자위대 초기전력은 대부분 함정을 미국으로부터 공·대여로 획득하는 등 한국해군 창설기의 전력과 별반 차이가 없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물론,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성장과 도서국가의 지리적 특성은 해군력 신장에 기회 요인임에 분명하지만, 창설 초 일본해군과의 일시적 단절, 육상병력 중심의 전략적 사고, 석유파동에 따른 경제위기 등의 난관이 있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해상자위대는 세계 정상급의 해군력을 구축하였고 전수방위라는 기본방위 개념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4개 헬기호위형 항모운용 체제로 발전하려고 하고 있다. 일본 해군력의 성장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는 해상자위대가 해군력 건설을 위해 창출한 대표적인 건설논리인 '8함(艦) 8기(機) 체제'를 중심으로 해상자위대의 핵심전력인 호위함대 전력건설 과정을 분석하여, 한국해군력 건설논리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군사문제연구소, 「일본 자위대」 (서울 : 국방부, 1995).
  2. 국방정보본부, 「2011년 일본방위백서」 (서울 : 국방정보본부. 2011).
  3. 류재학.배준형, 「일본 해상자위대, 과거의 영광 재현을 꿈꾸는가-키워드로 이해하는 세계 최정상 해군력, 해상자위대의 실체」, (서울 : 플래닛미디어, 2016).
  4. 신경식, 「일본의 군사력 증강정책 연구」 (서울 : 한국국학술정보, 2007).
  5. 임한규, 「미래 지향적인 한.일 해군협력」 (서울 : 내일을 여는 지식, 2011).
  6. 「해군비전(NAVY VISION) 2045」,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2018.10.).
  7. 해군본부, 「일본.영국해군사 연구」(대전 : 해군본부, 1997).
  8. 赤城政一,「日本の防衛産業」(東京:三一書, 1981).
  9. 佐道明広,「戦後日本の防衛と政治」(東京:吉川弘文館, 2003).
  10. 海上自衛隊50年史編さん委員会,「海上自衛隊50年史」(東京:防衛庁海上幕僚監部, 2003).
  11. 「防衛ハンドブック2020」,(東京:朝雲新聞社, 2020).
  12. 「防衛シミュレーション 自衛隊 vs 統一朝鮮」(東京:宝島社, 2020).
  13. 防衛省防衛研究所編,「佐久間-オラール.ヒストリー上巻」(東京:防衛研究所, 2007).
  14. 「東アジア戦略概観 2020 」, (東京:防衛研究所, 2020)
  15. 공방표, "미래 안보환경 변화와 해군의 '2+2 함대' 구상," 「해양전략」 제186호(2000. 6.).
  16. 권태환, "일본의 군사전력과 우리의 대응," 「새로운 안보환경과 한국의 생존전략」 한국군사학회 특별논문집(2020).
  17. 김종기, "일본 해상자위대의 전력증강과 한국안보," 「해양전략」 제5호(1981. 8.).
  18. 방금철, 「한.중.일 3국 해군경비경쟁에 관한 실태와 영향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6).
  19. 안재현, 「일본의 해군력 강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방대 안전보장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20. 오순근, "전환기 전략사고와 해군력," 「해군전평단전투발전연구」 통권 제25호(2018).
  21. 이동영, 「일본의 군사력 증강과 한국안보에 관한 연구」, 경희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2. 정호섭, 「일본 해상자위대의 발전전망」해군대학 특별과정 3기 졸업논문(1996).
  23. 한준희.이정근, "일본의 방위정책 및 해상자위대 전력변화와 한국 해군의 발전방향," 「해양전략」제164호(2014. 12).
  24. Yoji Koda, "A New Carrier Race? Strategy, Force Planning, and JS Hyuga," War College Review, Vol.64. No.3. Summer(2011).
  25. 相澤輝昭, "ポスト四次防における海上自衛隊の防衛力整備構想に関する研究 : 海上防 衛力近代化と8艦8機体制」,"「戦史研究年報」(2015. 3).
  26. 斎藤聡, "新大綱と今後の海上自衛隊," 「海幹校戦略研究」(2019. 7).
  27. 香田洋二, "海自護衛艦部隊の現況と将来," 「世界の艦船」(2017년 1월).
  28. 野村実, "対米開戦と海軍の対米七割思想," 「軍事史学」, 제9권 2호(1973. 9월).
  29. 香田洋二, "新鋭DD「あさひ」の運用構想," 「世界の艦船」 (2018년 9월).
  30. 長田博, "8艦8機の4個群体制ついに完成," 「世界の艦船」(1995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