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항만부잔교시설의 전략적 운영 개선 방안

Strategic Improvement of Harbor Floating Pier Facilities

  • 박두진 (동명대학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 김정이 (동명대학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 김우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투고 : 2021.09.06
  • 심사 : 2021.10.14
  • 발행 : 2021.09.30

초록

항만부잔교는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한 곳에서 조위에 관계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부유식 함체를 1개 혹은 여러 개 연결하여 부두 기능을 갖도록 한 구조물이다. 국내 항만부잔교는 233개가 설치되어 있고, 30년 이상 경과된 부잔교는 27.5%에 달한다. 30년 이상 경과된 항만부잔교는 잠재적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높지만 노후화된 항만부잔교에 대한 명확한 폐기, 매각 등의 처리기준이 없고, 유지점검 및 보수시기 등에 관한 관리규정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별 담당자 인터뷰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항만부잔교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요인을 분류하여 AHP 모형 설계하였다. AHP 분석결과 상위계층 평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법제도 개선, 운영관리 개선, 기술적 개선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항만부잔교시설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Harbor floating pier i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several floating vessels are connected to have a port function so that ships can be bordered regardless of tide level in places where differences between tidal rocks are severe. There are 233 harbor floating piers in Korea, and 27.5% of harbor floating pier are over 30 years old. Harbor floating piers older than 30 years are potentially at high risk of accidents. However, there is no clear standard for disposal or sale of aging harbor floating pier, and the management regulations on the timing of maintenance inspection and repair are ambiguous. In this study, the AHP model was designed by classify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factors of harbor floating pier facility oper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port managers and existing literature studies. The AHP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higher class was in the order of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of operational management and technical improvemen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Korea harbor floating pier fac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 김수훈.박수용(2016). 부잔교의 정기적 계측을 통한 손상 위치 및 강성 추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6.2, 772-773.
  3. 박두진(2014), AHP 기법을 활용한 항만물류기업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0.1, 159-173.
  4. 박미연외3(2020). 항만시설 유지관리 전략수립을 위한 비용모델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6(2), 276-290. https://doi.org/10.15683/KOSDI.2020.06.30.276
  5. 서광철.오정모.박주신(2018), 폰툰형 플랫폼 설계 및 구조안전성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4.5, 604-610. https://doi.org/10.7837/kosomes.2018.24.5.604
  6. 원덕희외3(2014), 국내 항만부잔교 현황 분석, 한국연안방재학회, 제2회 연례학술대회, 57-58
  7. 이언경.이수영(2019), 4차 산업혁명시대 국내 스마트항만 수준 측정과 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5권 제2호, 한국해운물류학회, 323-348. https://doi.org/10.37059/TJOSAL.2019.35.2.323
  8. 이충배(2002), 경기화주들의 평택항에 대한 인식도와 발전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8집 제1호, 135-157.
  9. 이태휘(2020), 스마트항만의 해외사례 분석과 정책 시사점; 유럽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집 제1호, 77-90. https://doi.org/10.38121/kpea.2020.03.36.1.77
  10. 채기영.이철용(2020), SWOT.AHP를 이용한 부산항 경쟁력 평가요인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6.1, 105-128. https://doi.org/10.38121/kpea.2020.03.36.1.105
  11. 천세용.박수용.최상현(2016). 콘크리트 부잔교의 잔존수명 평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6.5, 31-39.
  12. 최은석외3(2016), 고성능 콘크리트를 이용한 부잔교 성능평가,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65-66.
  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20), 항만시설장비 및 부잔교 운영개선방안, 연구보고서.
  14. 해양수산부(2005), 항만하역장비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15. 해양수산부(2002, 2007, 2012), 항만부잔교시설 정밀안전진단 용역 보고서
  16. Choi Sang-hyun and Stubbs Norris(1997), Nondestructive damage detection algorithms for 2D plates.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Smart Structures and Materials' 97, pp.193-204.
  17. Stubb Norris and Osegueda Roberto(1990), Global non-destructive damage evaluation in solids, International Journal of Analytical and Experimental Modal Analysis,Vol. 5, No. 2, pp.6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