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ntal hygienist's leisure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 Choi, Mi-Suk (Dept. of Dental Hygiene, Chodang University)
  • Received : 2020.09.28
  • Accepted : 2021.05.19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to suggest the ne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he will to leisure activity.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3.84 points, and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was analyzed to prioritize exchange with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all three items show a strong correlation. If job satisfaction is high, then the willingness to leisure activity is high and the intention to turn over is low, and if the will to leisure activity is high, then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o establish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β=-0.551), leisure use (β=0.368), health status (β=0.139), current working years at work (β=0.069),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during the day (β=-0.056) were analyzed in order of effect.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plan to provide an optimal work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 to turnover, leisure activity, health status, working years at work, and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during the day.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여가활용 의지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여가활용 의지에 대한 기회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직무만족 정도는 3.84점이며 여가활용의 의지는 공동체와 교류를 우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활용 의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세 항목 모두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직무만족이 높으면 여가활용 의지가 높고 이직의도가 낮으며 여가활용 의지가 높으면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수립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직의도(β=-0.551), 여가활용(β=0.368), 건강상태(β=0.139), 현재 직장에서의 근무년수(β=0.069), 하루 동안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수(β=-0.056)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직의도를 낮추고 여가활용 기회의 확대 및 개인의 건강상태와 현재 근무하는 직장의 근무년수를 고려하고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수를 고려하여 치과위생사가 처리하는 건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최적의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현대사회는 삶의 질 향상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국민 소득이 증가하고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비지출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의료서비스산업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도 더욱 향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과병원의 경우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치과의료 서비스 요구 수준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치과위생사는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로부터 요구받는 서비스 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현재 치과병원의 경쟁력 확보 및 양질의 치과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질의 치과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치과위생사는 정신적 갈등과 육체적 피로, 직무 스트레스 등을 경험하게 되며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하면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1].

최근에는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 여가시간을 통하여 자기발전의 기회로 활용하거나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경험하게 되는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려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적절한 여가시간 활용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2-4]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5],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며[6, 7, 8],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증가 및 이직의도 및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여가활동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치아 우식 예방 활동을 하며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상담, 치과 진료보조 및 지원 등을 주역할로 하는 치과 위생사들에게도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해소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의 다양한 여가활동은 정신적, 육체적 피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에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며[9] 양질의 치과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치과병원 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여가활동 의지에 따른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여가활동 의지에 대한 기회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Ⅱ. Related work

여가활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간호사와 객실승무원과 항공사 직원의 여가활동 유형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2-6][10]와 호텔종사자 및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여가활동과 직무 만족 등에 대한 연구[9,11]가 진행되어왔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의 경우는 치과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12,15], 직무만족 측정도구 개발[13], 감정노동이 직무 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14] 등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를 여가활동과 관련하여 실시한 연구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Ⅲ. The Proposed Scheme

1. Research design

치과위생사의 여가활동 의지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와 M시에 소재한 치과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0일부터 2020년 7 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경우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무 만족, 여가활용 의지 및 이직의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여 여가활용 의지에 따른 직무만족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6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이 부적절한 17부를 제외한 150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설문항목에 대한 신뢰도 값은 Table 1에 제시하였으며 Cronbach - α 값이 0.976(직무만족), 0.941(여가활동 의지), 0.985(이직의도)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Table 1. Cronbach - α

CPTSCQ_2021_v26n5_87_t0001.png 이미지

2. Statistical analysis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Ver. 22.0)를 이용하였으며 t 검정 (t-test)과 분산분석(one-way ANOVA analysis)을 통하여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 활용의 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이직의도, 여가 활용 의지, 개인적 상태, 근무환경 등에 관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Analysis result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Table 1에 제시 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두 여성이며 근무하는 곳은 종합병원 26.7%(40명), 치과병원43.3%(65명), 치과의원30.0%(45 명)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이의 경우 가장 어린 경우가 24세이고 최고령자는 53세이며 평균나이는 32.7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CPTSCQ_2021_v26n5_87_t0002.png 이미지

경력의 경우 가장 적은 경우가 1년이며 가장 많은 경우는 28년 이었으며 평균 경력은 9.04년 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재 근무하는 곳에서의 근무기간은 적게는 1 년부터 많게는 22년, 평균 근무기간은 6.5년,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수는 50명∼210명, 평균 환자수는 107.6명 이었으며, 하루 평균근무 시간은 7.5시간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2. Respondent's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응답자의 직무만족정도를 Table 3에 제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직무만족 정도는 3.84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근무지 원에 대한 만족도가 4.4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근무 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3.72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3.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CPTSCQ_2021_v26n5_87_t0003.png 이미지

여가활동 의지에 대한 수준은 3.96점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여가활동을 공동체와의 교류를 목적으로 보내려는 경우는 4.09점, 개인발전을 위하여 보내려는 경우는 3.48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 활용에 대한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으며 직무만족 및 여가활용의 경우 나이가 많고, 현재 근무하는 직장에서의 경력 및 하루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가 많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경우에 직무만족도 및 여가활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4.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PTSCQ_2021_v26n5_87_t0004.png 이미지

직무만족의 경우 본인의 건강상태(F=25.57, p<0.000) 항목에서 여가활용의 경우에서도 본인의 건강상태 (F=16.81, p<0.000)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의 경우 나이가 29세에서 30세이며, 현재 근무하는 직장에서의 경력이 적고 하루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가 많으며 건강상태가 보통이며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F=4.16, p<0.01), 건강상태(F=15.00, p<0.000), 근무 장소(F=6.145, p<0.01)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 activity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활용 의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5에 제시하였다.

직무만족과 여가활용은 0.910으로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는 –0.923, 여가 활용과 이직의도는 –0.862로 강력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activity

CPTSCQ_2021_v26n5_87_t0006.png 이미지

5.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 activity

이직의도와 여가활용 의지가 높고 낮은 경우에 따른 직무 만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t검증 결과를 Table 6에 제시하였다.

Table 6.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due to turnover intention and leisure activity

CPTSCQ_2021_v26n5_87_t0005.png 이미지

이직의도가 낮으면(Low) 직무만족도가 높으며 (4.4±0.3), 여가활용이 높으면(High) 직무만족도가 높은 (4.3±0.3)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6. Comparison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leisure activity and job satisfaction

여가활용 의지와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고 낮은 경우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t검증 결과를 Table 7에 제시하였다.

여가활용 의지가 낮으면(Low) 이직의도가 높으며 (3.3±1.2), 직무만족도가 낮으면(Low) 이직의도가 높은 (3.3±1.2)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able 7. Comparison of turnover intention due to leisure activity and job satisfaction

CPTSCQ_2021_v26n5_87_t0007.png 이미지

7. Comparison of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고 낮은 경우에 따른 여가 활용 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t검증 결과를 Table 8에 제시하였다.

이직의도가 낮으면(Low) 여가활용이 높으며(4.4±0.3), 직무만족도가 높으면(High) 여가활용 의지가 높은 (4.4±0.3)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able 8. Comparison of leisure activity due to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CPTSCQ_2021_v26n5_87_t0008.png 이미지

8.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이직의도, 여가활용 의지, 개인적 상태, 근무환경 등에 관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Table 9에 제시하였다.

회귀모형에서 F 통계값이 p=0.000에서 328.692의 수치를 보이며 회귀식에 대한 R2=0.919으로 91.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Durbin-Watson은 2.056으로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어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여가활용 의지 및 개인적 특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직의도(t=-11.355, p<0.000), 여가활용 의지(t=7.532, p<0.000), 건강상태 (t=5.113, p<0.000), 현재 직장에서의 근무한 연수 (t=2.713, p<0.000),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수 (t=-2.217, p<0.000) 항목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의 β값을 비교한 결과 이직 의도(β=-0.551), 여가활용 의지(β=0.368), 건강상태(β =0.139), 현재 직장에서의 근무한 년수(β=0.069),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수(β=-0.056)로 나타나 이직 의도가 가장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직의도가 낮고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가 적으며 여가활용 의지가 높고 현직장에서의 근무한 연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Table 9.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CPTSCQ_2021_v26n5_87_t0009.png 이미지

Ⅴ. Discussion

치과위생사의 여가활용 의지에 따른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직무 만족 정도는 3.84점으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7]에서 측정된 3.02점 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안전시설, 탈의시설 등 근무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병원 내에서 업무수행 중 구성원들과의 관계 등 근무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가활용의 경우 여가를 개인발전의 계기보다는 공동체와 교류를 우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 활용 의지에 대한 수준을 분석한 결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무만족도 및 여가활용 의지가 높으며 이직 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상태 유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직의도의 경우 건강상태 외에 하루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가 많고 소규모 병원(치과의원)에 근무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환자수를 고려한 근무인원 조정 및 종합병원과 동일한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여가활용 의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항목 모두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16]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직무만족도, 여가활용 의지 및 이직의도 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른 각 항목들 사이의 차이에 대한 t 검증결과 직무만족도가 낮으면(Low) 이직의도가 높고 직무만족도가 높으면(High) 여가활용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직의도의 경우 이직의도가 낮으면(Low) 직무만족도가 높고[17] 이직의도가 낮으면(Low) 여가활용의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여가활용의 경우 여가활용 의지가 높으면(High) 직무만족도가 높으며[11,18] 여가 활용의 지가 낮으면(Low)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9,20].

여가활용 의지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이직 의도를 낮아지게 하는 등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어 여가 활용에 대한 관심과 기회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이직의도, 여가활용 의지, 개인적 상태, 근무환경 등에 관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직의도(β=-0.551), 여가활용(β =0.368), 건강상태(β=0.139), 현재 직장에서의 근무년수 (β=0.069), 하루 동안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수(β=-0.056)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직의도를 낮추고 여가 활용 기회를 확대하고 개인의 건강상태와 현재 근무하는 직장의 근무연수 및 하루 동안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수를 고려하여 치과위생사가 처리하는 건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최적의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가활용 의지가 높고 이직 의도가 낮아지며 여가활동에 대한 의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고 이직의도는 낮아지고 직무만족에 이직 의도 및 여가활동 의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치과위생사에게 여가활용에 대한 기회의 확대는 병원 경쟁력 향상 및 최상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Chodang University Research Grant of 2020.

References

  1. M.J. Kim, "Affecting Factors for Job Stress and Client Service of Estheticians in the Medical Beauty Industry," Asian J Beauty Cosmetol, Vol. 17, No. 2, pp. 157-168, Jun. 2019. URL: https://dx.doi.org/10.20402/ajbc.2019.0272.
  2. Y.H. Jeon, Y.S. So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isure Satisfaction in the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Shift 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5, No, 3, pp. 208-215, Aug. 2015. DO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86444.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208
  3. M.J. Moon, I.K. Koh, "Do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and Leisure affect Job Satisfaction?: Exploratory trial for Typology of Airline Employee's Emotional Labor and Leisure,"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Vol. 19, No. 3, pp. 17-39, July. 2015. UCI: G704-SER000009812.2015.19.3.002.
  4. H.J. Yoo, K.Y. Chung,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hotel F&B departments : Focused on leisure activity at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34, No. 6, pp. 161-173, Apr. 2020. DOI: https://doi.org/10.21298/IJTHR.2020.6.34.6.161.
  5. Y.S. Choi, Y.R. Chae.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the Perceived Leisure Satisfaction in the Leisure Facilities User,"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Vol. 8, No. 1, pp. 23-41, Feb. 2012. https://www.earticle.net/Article/A169020.
  6. H.W. Yang, J.K.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aholism Conceived by Hotel Employees on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Tourism Research, Vol. 43, No. 3, pp. 115-139, Sep. 2018. DOI: 10.32780/ktidoi.2018.43.3.115
  7. S.J. Kim, S.H. Ahn "Job Satisfaction,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011, No. 10, pp. 336-336, Oct. 2011. DO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34742.
  8. U.S. Cha, Y.S. Yoon, D.S. An,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Vol. 42, No. 3, pp. 27-42, Sep. 2018. DOI: http://dx.doi.org/10.26446/kjlrp.2018.9.42.3.27.
  9. J.Y. Kim, S.K. Kang, K.R. Doh, "The Effects of Serious Leisure Activity on Leisure Satisfac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Vol. 10, No. 1, pp. 339-420, Jan. 2021. DOI: https://doi.org/10.30974/kaice.2021.10.1.16.
  10. J.R. Noh, E.A. Cho,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Types of Nurses'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6, No. 1, pp. 207-215, Jan. 2018. DOI: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07.
  11. Y.H. Jun, Y.S. So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isure Satisfaction in the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Shift 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5, No. 3, pp. 208-215, Aug. 2016.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6.25.3.208.
  12. S.G. Yo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motional Labor of Dental Workers Impact of Convergence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0, No. 1, pp. 187-194, Jan. 2020.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187.
  13. J.H. Park, Y.S Cho,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intention to stay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20, No. 1, pp. 95-106, Jan. 2020.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200010.
  14. S.Y. Bae, J.Y. Kim,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Vol. 8, No. 4, pp. 93-106, Oct. 2020. DOI : https://doi.org/10.15268/ksim.2020.8.4.093.
  15. J.H. Sung, G.B. Choi,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1, No. 2, pp.146-152, Feb. 2021.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2.146.
  16. S.Y. Park,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Vol. 24, No. 2, pp. 331-353, May. 2011. DOI: https:// 10.24230/ksiop.24.2.201105.331.
  17. I.K. Cho, J.W. Lee, "An Analysis of the Leisure Life and Effects of Leisure Constraints and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of Daycare Center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 6, No. 2, pp. 109-128, Dec. 2012. UCI: G704-SER000002260.2012.6.2.002.
  18. Y.J. Nam, S.J. Oh, E.H. Kim, S.K Nam, "The Effects of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mployees," AJMAHS(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8, No. 4, pp. 883-891, Apr. 2018. DOI: http://doi.org/10.35873/ajmahs.2018.8.4.080.
  19. C.I. Eun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WLB)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Members of the Design Compan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5, No. 2, pp. 421-432, June. 2019. DOI: https://doi.org/ 10.18208/ksdc.2019.25.2.421.
  20. K.C. Song, S.G. Oh, J.J. Le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Management & Economics, Vol. 41, No. 2, pp. 173-196, May. 2019.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1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