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전통 화훼장식의 디자인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Analysis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on Expression Technique

  • 이경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관리학과 화훼장식전공) ;
  • 오욱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Lee, Kyeong Suk (Department of Flower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
  • Oh, Wook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 투고 : 2021.08.10
  • 심사 : 2021.08.23
  • 발행 : 2021.08.31

초록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기술 체계는 과거로부터 현대로 그 맥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인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 형태의 유형을 추출하여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현대의 전통 화훼장식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화훼장식 작품들은 대부분 중앙 출발점에 1개 초점(1점 출발)을 주로 표현하였다. 중심가지선은 주로 1개 사용하였고, 밑받침 소재로는 주로 절엽을 사용하였다. 현대 화훼장식에서도 1개의 중앙 출발점, 잎 소재의 밑받침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조선시대와 흡사하다. 표현기법별 사용 빈도를 보면, 줄기를 그대로 노출시킨 줄기 노출 기법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모든 기법에서 절화와 절지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다. 사용된 식물성 소재로는 꽃을 이용하는 절화와 선의 표현할 수 있는 절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깃털, 부채, 붓 등의 비식물성 소재도 장식에 이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은 표현기법 측면에서 이미 조선시대에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높은 수준의 화훼장식품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우리 화훼장식의 역사를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고 역사적 전통을 살려가면서 현대의 화훼장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technological system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Korea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e extracted the type of design form from the flower deco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alyzed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traditional flower decoration in this study. As a result, most of the flower desig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mainly expressed one focal point at the central starting point. One central branch line was mainly used, and cut leaves were mainly used as the base material.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 one central starting point and a base made of leaves are mainly used In modern flower design. In the frequency of use by expression technique, the stem exposure technique was used the most, and cut flowers and cut stems were used at a similar frequency in all techniques. As plant materials, cut flowers and cut stems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non-plant materials such as feathers, fans, and brushes were also used for decor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al flower decorations in Korea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and high-level flower design works were mad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history of our flower designs in more diverse ways and to develop modern flower designs while preserving historical traditi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는 2014학년도 영남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한 것이며, 이경숙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임.

참고문헌

  1. 고하수, 「한국의 꽃藝術史 I, II」, 하수출판사, 1993.
  2. 고하수, 「傳統을 이어가는 한국화예」, 하수출판사, 2002.
  3. 고하수, 「한국 꽃꽂이 역사」, 민속원, 2011.
  4. 고하수, 「전통을 이은 한국 꽃꽂이」, 민속원, 2012.
  5. 고하수, 이정민, 「한국 전통화예: 사상과 역사」, 하수출판사, 2006.
  6. 김양희, 「한국 전통 꽃꽂이의 역사적 고찰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7. 김정희, 「조선시대와 현대의 화훼장식 양식의 동질성과 차이점 비교」, 「영남대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김혜자, 「<甁花三說>에 나타난 甁花에 관한 硏究」, 「한국꽃예술」, 9, 2006, pp.36-51.
  9. 김혜자, 「한국의 器皿折枝 梅花圖 연구」, 「한국꽃예술학회지」, 13(3), 2009, pp.1-21.
  10. 김혜자, 「<병화사(甁花史)>를 통해 본 화예적(花藝的) 의미(意味)」,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3, 2010, pp.69-91.
  11. 문영란, 「강희안의 <양화소록>을 통해 본 화예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5, 2011, pp.35-53.
  12. 박윤점 외, 「화훼장식학」, 위즈벨리, 2005.
  13. 박혜숙, 「조선의 梅花詩」, 「한국한문학연구」, 26, 2000, pp.419-449.
  14. 서인화 외,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15. 윤영신, 「사상적 배경에 의해 형성된 한국 전통화예 화형의 형태에 관한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6. 장영순,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화예의 구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7. 정연순, 「꽃예술 이론과 실제」, 아름나무, 2008.
  18. 한상숙, 이부영, 「다화 양식과 그 형성에 미친 조선 전통화예의 영향」,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4, 2011, pp.3-23.
  19. 한상숙, 이부영, 「조선시대 궁중 행사도의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31, 2014, pp.63-90.
  20. 한상숙, 이부영,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1, 2019, pp.61-92.
  21. 허균,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부록 한정록(閑情錄)」, 고전국역총서 229, 민족문화추진회, 1981.
  22. 홍훈기, 「한국전통꽃예술의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