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안 성거산 위례성 출토 목어의 적외선 조사 및 보존처리

Infrared Irradi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en Fish Excavated from Wiryeseong Fortress on Seonggeosan Mountain in Cheonan

  • 조상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 Jo, Sangyoon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ochu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1.09.29
  • 심사 : 2021.10.28
  • 발행 : 2021.11.30

초록

천안 성거산 위례성에서 출토된 목어 2점은 장기간 매장환경에서 열화되어 재질이 매우 취약하였다. 따라서 목재 재질 강화 및 치수 안정화를 통해 변형을 방지하고자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목어의 수종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또한, 목어에 남아있는 문양 확인으로 어종을 확인하기 위해 적외선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적외선 조사 결과 목어에 남아있는 문양을 통해 잉어로 확인되었다. 보존처리는 PEG#3,350 수용액에 40% 농도까지 함침 처리 후 진공동결건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wo wooden fish excavated from Wiryeseong Fortress on Seonggeosan Mountain in Cheonan-si, Chungcheongnam-do Province were frail due to their deterioration within the burial environment. To prevent further deformation,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on them to strengthen the wooden materials and stabilize the dimensions. Prior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species of wood was determined to be pine and infrared Irradiation on the patterns remaining on the wooden fish revealed that they were depictions of carp.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wooden fish were impregnated with PEG #3, 350 in a water solution with a 40% concentration, followed by freeze-dry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천안 성거산 위례성 내 용샘 유적 1.2차 합본 보고서, p53-71,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천안, (2018).
  2. 이용희, 저습지 출토 목재유물의 보존과 현황, 보존과학회지 6, p126-127, (1997).
  3. 김수철, 이용희, 광주 신창동 출토 칠기칼집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5, p37-38, (2004).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04.5.0037
  4.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적외선을 이용한 문화재 조사, p4-9,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대전, (2014).
  5. 김병호, 정형균, 안압지 출토목선의 보존처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 5, p1-10, (1984).
  6. 강애경, 박상진, 수침출토목재의 PEG4000과 Sucrose처리에 따른 변화, 보존과학회지 5, p3-14, (1997).
  7. 이효선, 강애경, 박상진, 수침목재의 PEG, 락티톨, 슈크로오스 처리에 의한 치수안정화 효과, 보존과학회지 8, p31, (1999).
  8. 이광희, PEG 처리 수침고목재의 조습건조, 충북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과 목재공학 보존과학전공, 석사학위논문, p11-12, (2009).
  9. 김경수, 이용희, 수침목재의 동결 건조 시험보고, 박물관보존과학 1, p30-31, (1999).
  10. 김수철, 수침고목재의 동결건조를 위한 PEG 전처리 농도 및 용매 설정, 충북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과 목재공학전공, 석사학위논문, p21-69, p75-78, (2003).
  11. 박상진 등, 목재조직과 식별, p285-288, 향문사, 서울, (1987).
  12.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구조, p20, 정민사, 파주, (1994).
  13.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 I, p28-44,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1997).
  14. 오정은, 3D 스캔을 이용한 대형 수침고목재 PEG 처리 비교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2-36, (2019).
  15. 이경철, 수침고목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침투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과 목재공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p28-39, (2013).
  1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 목기자료집 III 무기.의례구.기타, p15, p79-10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4).
  17.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목제유물 수종분석,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8).
  18. 한양대학교.하남시, 이성산성 4차 발굴조사 보고서, p145-175, 한양대학교 박물관, 서울, (1992).
  19. 조원창, 고대 한일 위세품에 보이는 물고기 문양의 계통과 전파, 지방사와 지방문화 17, p8-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