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s using Mugunghwa

무궁화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연구

  • Ra, Sun-Jung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라선정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Received : 2020.12.16
  • Accepted : 2021.02.11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apply Mugunghwa, which is the official flower that symbolizes the country,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promote the identity and enhance the cultural value of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tradition. As for study methods, first, the range of uses for Mugunghwa were examined from diverse angles, second, images associated with modern senses that reflect trends were developed to create more value. Third, the role of a cultural ambassador was proposed by adding the image of Mugunghwa to fashion accessories and miscellaneous goods applicable to real life. This was carried out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such as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y analysis, and as a result, 13 textile designs and 26 fashio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It is hoped that the foregoing will enable the pursuit of new values of the image symbolizing the country and the forming a bon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oregoing can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diverse national symbols, thereby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박물관 뮤지엄샵. (2020). 자료검색일 2020. 4. 23, 자료출처 http://www.khmall.or.kr/shop/main/Index.php
  2. 김미현. (2012). 국가 상징 이미지로 무궁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62(1). 29-40. https://doi.org/10.7233/jksc.2012.62.1.029
  3. 김여경, 김정민, 홍나영. (2013). 무궁화무늬를 활용한 박물관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 복식, 63(7). 49-64. https://doi.org/10.7233/jksc.2013.63.7.049
  4. 김하연. (2008). 한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목수현. (2008).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상징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범서희, 김현정. (2010). 국가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골프웨어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국화인 무궁화 꽃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2). 263-273.
  7. 염도의. (1982). 나라꽃 무궁화.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8. 장세정. (2007).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정경희. (2009). 문화관광 축제 활성화를 위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조윤경. (2008). 소비자특성과 점포요인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태도와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한국고전종합DB. 자료검색일 2020. 4. 23, 자료출처 http://db.itkc.or.kr
  12. 한국문화재재단 전통문화테마숍. (2020). 자료검색일 2020. 4. 23, 자료출처 https://www.museumshop.or.kr/kor /main.do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8, 145-146.
  14. 행정자치부 의정담당관. (2016). 대한민국 국가상징. (주)범신사.
  15. 舊唐書, 東國李相國集, 山海經, 養花小錄, 倭記 국가상징개요. 자료검색일 2020. 2. 3, 자료출처 https://mo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