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o Heon-yeong's Buinbyeongchiryobeob (婦人病治療法) - Focused on Medical Ideology and Prescription

조헌영의 『부인병치료법(婦人病治療法)』 연구: 의학사상과 처방을 중심으로

  • Dowon Kim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d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Wung-Seok Cha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도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Received : 2021.04.24
  • Accepted : 2021.05.07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 Cho Heon-yeong's medical theory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by looking at the contents and prescriptions of 『Buinbyeongchiryobeob (婦人病治療法)』. This book is a clinical text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written in the 1940's. This book consists of an Introduction, Jeungchi (證治), Yangjinhanchi (洋診漢治), Cheobangnonhae (處方論解) and refers to 『Donguibogam(東醫寶鑑)』, 『Keongakjeonseo (景岳全書)』, 『Junguihaksajeon (中醫學辭典)』, 『Jejungsinpyeon (濟衆新編)』, 『Uihakipmun (醫學入門)』 and 『UijongKeumkam (醫宗金鑑)』. Cho Heon-yeong's theory in this book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is medical eclecticism is centered on Korean Medicine, with incidental use of Western medicine. Second, he regarded weakness (虛證) as a vital factor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Third, he added "mental state" to the list of basic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Fourth, he presented a new diagnostic standard based on a spectrum of fire (火) and cold (冷). There are 363 prescriptions in this book, and 171 of them are from 『Donguibogam (東醫寶鑑)』. The books frequently used prescriptions are all designed to supplement (補藥). There are 48 prescriptions that original to Cho Heon-yeong. Additionally, this book contains eopsaeng (攝生) and pretended stimulation therapies and exercise methods.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서울:들녘. 2011.
  2.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韓醫學通史」. 고양:대성의학사. 2006.
  3. 김남일. 「韓國韓醫學의 學術流派에 關한 試論」. 韓國醫史學會誌. 2004;17(2):3-25.
  4. 박윤재. 「1930~1940년대 조헌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한국근현대사연구. 2007;40:118-139.
  5. 신창건. 「趙憲泳의 정치적 의학사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42.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1. 과천:국사편찬위원회. 2005:117-154.
  6. 김훈, 이해웅. 「通俗漢醫學原論 陰陽篇에 관한 考察」. 한국의사학회지. 2011;24(2):17-24. https://doi.org/10.15521/JKMH.2011.24.2.017
  7. 전혜리. 「1934년 한의학 부흥 논쟁」. 한국과학사회지. 2011;33(1):41-89.
  8. 백유상. 「조헌영(趙憲泳)의 생애와 의학사상(醫學思想)」.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32(3):103-130. https://doi.org/10.14369/JKMC.2019.32.3.103
  9.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정책」: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1. 서울:아카넷. 2008:58-78.
  10. 조헌영. 「通俗漢醫學原論」. 서울:醫林社. 1990.
  11. 조헌영. 「東洋醫學叢書.婦人病治療法」. 서울:醫林社. 1971.
  12. 張介賓. 「景岳全書(下)」. 서울:大星文化社. 1992.
  13. 차웅석. 「중국의 「醫學入門」이 한국의 「東醫寶鑑」에 미친 영향」. 韓國醫史學會誌. 2000;13(1):111-127.
  14. 許浚. 동의보감국역위원회 역. 「原本 東醫寶鑑 <新增版>」. 서울:南山堂. 2009.
  15. 李梴. 「編註醫學入門(婦人.小兒.外科)」. 서울:大星文化社. 1990.
  16. <동아일보> 1935.1.12. 「겨울의 가정의학-여자의 냉증은 왜 생기나? 여학생도 솜바지를 입으라 (上)」.
  17. <동아일보> 1935.1.15. 「겨울의 가정의학-여자의 냉증은 왜 생기나? 여학생도 솜바지를 입으라 (下) -完-」.
  18. <동아일보> 1939.11.16. 「환절기 위생 (3) 부인병에 제일 많은 화와 냉의 증세 (上)-홧병이란 단순한 것이 아닙니다 만성위장병도 홧병이라고 합니다」.
  19. <동아일보> 1939.11.18. 「(3) 부인병에 제일 많은 화와 냉의 증세 (下) -完- 화와 열은 전혀 성질이 다른 것이오 화와 냉은 같은 병의 발표입니다」.
  20. 조헌영, 장기무, 정근양, 이을호, 신길구, 강필모. 「漢醫學의 批判과 解說」. 서울:소나무.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