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Family Resilience, Marital Communic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New Middle-aged in Rural Areas

농촌 지역 신중년의 건강증진행위, 가족탄력성, 부부의사소통 및 성공적노화의 관계

  • Received : 2021.11.05
  • Accepted : 2021.12.18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 family resilience, marital communic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new middle-aged living in rural area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20, 2021, participants were 119 adults aged 50~69 living in rural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3.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s a result,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for the new middle-aged were avocation (β=-.27, p=.002.), family resilience (β=.24, p=.045), marital communication (β=.22, p=.023), gender (β=.19, p=.02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31.0%.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strengthen personal avocation, family resilience, and marital commun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9 주요 인구지표(성비,인구성장률,인구구조, 부양비 등)/전국[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21[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vw_cd=MT_TM1_TITLE&list_id=101_A0502&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TM1_TITLE&path=%252FeasyViewStatis%252FcustomStatisIndex.do
  2. 이주희, 이선화. 중년기의 부부친밀감이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지. 2017;6(2):35-54. https://doi.org/10.20497/jwce.2017.6.2.35
  3. Cavanagh JC, Blanchard-Fields 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8th ed. Boston: Cengage learning; 2019. 496 p.
  4. 고용노동부. 정부 최초의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계획 마련[Internet]. 세종: 고용노동부. 2017[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7918
  5. 통계청. 성 및 연령별 추계인구[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21[cited 2021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entrType=#content-group
  6. 이수화. 중년기 부부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021;51:95-131. https://doi.org/10.18625/jsc.2021..51.95
  7. Rowe JW, Kahn RL.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997; 37(4):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8. 한송이, 윤순녕.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5;26(4):372-379.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4.372
  9.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014;34(4):781-797.
  10. 이은정, 성미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7;23(3):181-190. https://doi.org/10.4069/kjwhn.2017.23.3.181
  11. 천경인, 신윤희. 중년 성인의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 기본간호학회지. 2020;27(3):259-267. https://doi.org/10.7739/jkafn.2020.27.3.259
  12. 이예슬, 전혜정, 박하영, 주수산나. 노년기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2020;4(6):1287-130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287
  13. 남기민, 이정은.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2;57:85-112. https://doi.org/10.21194/kjgsw..57.201209.85
  14. McCubbin HI, McCubbin MA.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1988;37(3):247-254. https://doi.org/10.2307/584557
  15. 양남영, 송민선.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가족탄력성이 성공적 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019;26(3):278-287.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3.278
  16. 강정실. 부부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상담학 연구. 2015;16(5):385-397.
  17. 정여진, 안정신.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010;30(2):535-550.
  18. 김정희. 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9;23(4):57-73.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4.004
  19. 정혜윤, 정혜민.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18(4):2167-2181.
  20. 최영미, 최성희, 안옥희.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019;26(3):175-183. https://doi.org/10.5953/JMJH.2019.26.3.175
  21. Walker SN, Sech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22. 고인순. 노인 만성질환자의 무력감, 건강증진행위, 가족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제주]: 탐라대학교;2008. 76 p.
  23. 박혜란. 한국 중년기 가족 레질리언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생활과학회지. 2014;23(6):1013-1033.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013
  24. Olson DH, Russel CS, Sprenkle D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VI.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1983;22(1):69-83. https://doi.org/10.1111/1467-6427.00144
  25. 김윤희.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989. 111 p.
  26.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08;60(1):211-231. https://doi.org/10.20970/kasw.2008.60.1.009
  27. 김태호.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2015. 150 p.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255
  28. 하은호, 이영미. 중년기 성인의 건강상태와 성공적 노화인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20;32(5):472-481. https://doi.org/10.7475/kjan.2020.32.5.472
  29. 문현주, 김준희. 중년기의 여가인지가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014;38(2):74-85.
  30. 최해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과 예측 요인. 사회과학연구. 2013;24(1):193-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