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holds in Cholla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향토문화유산 중 충청지역 민가정원의 역사정원으로서의 가치와 보존 방향

  • Jin, Hye-young (Garden and Rese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Park, So-Hyun (Dept. of Chinese Litera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n-S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진혜영 (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
  • 박소현 (전북대학교 중어중문과) ;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1.11.10
  • Accepted : 2021.12.1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value of private house garden as a historical garden among local cultural heritages remaining in Chungcheong-do Province. To this e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framework of value analysis in which the contents of Ji Cheng's Yuanye of China, Tachibana Toshitsuna's Sakuteiki in Japan, and HISTORIC GARDENS THE FLORENCE CHARTER 1981 were applied to target sites. First, local cultural heritage belong to un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nd a total of 616 local cultural heritages in Chungcheong-do Province were identified, and Cheongju City possesses the largest number of local cultural heritages. Most of the local cultural heritages are distributed in ancient capital or adjacent to it, and five of the local heritages are related to historical garden. Second, the target sites were old houses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long history, and although there were few changes in spatial division, the scale of some gardens and outer yard spaces was reduced due to urban planning, etc. Third, the target site is Sangjihapui(相地合宜) and Inchacheui(因借體宜) in location and space division, so the spac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landscape is naturally drawn to construct a garden. Fourth, the garden of the target site has a structural value of a garden that is Jeongihapui(精而合宜) and Gyoideukche(巧而得體) as it is subtle and naturally constructed with the garden by grasping the surrounding terrain. Fifth, for the continuous preservation of historical garde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lready enacted local cultural heritage ordinance, and to establish a documentary project for each spatial component and a plan for climate change.

본 논문은 충청도 지역에 유존하고 있는 향토문화유산 중 민가정원의 역사정원으로서의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계성의 원야와 일본 귤준망의 작정기 및 유네스코 플로렌스 헌장의 내용을 대상지의 가치 분석의 틀로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향토문화유산은 비지정 문화재에 속하며 충청도지역 내 총 616개소가 확인되었고 청주시가 가장 많은 향토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고도(古都)이거나 고도에 인접한 곳에 대부분의 향토문화유산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향토문화유산 중 역사정원과 관련한 정원은 5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들은 조선시대에 조영된 고택들로서 유구한 역사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공간구획에는 변화가 적었으나 도시계획 등에 의해 일부 정원 및 바깥마당 공간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셋째, 대상지들은 상지합의(相地合宜)하고 인차체의(因借體宜)한 입지와 공간구획을 나타내고 있어 주변의 지형에 순응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자연스럽게 경관을 끌어들여 정원을 조영하였다. 넷째, 대상지의 역사정원은 주위의 지형을 파악하여 정원과 교묘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조영되어 정이합의(精而合宜)하고 교이득체(巧而得體)한 정원 구성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섯째, 역사정원의 지속적 보존을 위해서는 이미 제정된 향토문화유산 조례의 강화가 필요하며 각 공간별 구성요소의 기록화 사업과 기후 변화에 따른 방안이 구축되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자치법규정보시스템, https://www.elis.go.kr/2022.01.09
  2. 신현실(2020). 한국전통정원 재발견을 위한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발굴-전라도-. 국립수목원.
  3.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도서출판 조경.
  4. 신영훈(1991).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5. 신영훈(2006).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한옥. 현암사.
  6. 김영모(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도서출판 동녘.
  7. 조선총독부(1927). 조선총독부 대외비 문서. 조선총독부.
  8. G.W. Gilmore 저, 신복룡 역(1999). 서울 풍물지(Korea from its Capital). 집문당.
  9. 이상희(1999).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
  10. 풍산김씨 오록문중(2006). 전통문화체험마을 오록. 풍산김씨 오록문중.
  11. 향토문화 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2020/07/11/
  12. 고창군 홈페이지, http://www.gochang.go.kr/index.gochang, 2020/07/11
  13. 「지명지」(충청북도 문화공보담당실, 1987).
  14. 「소하천 현황」(충청북도, 1995).
  15. 허영범(1999), 제천 마을지 -금성.청풍.수산.덕산.한수면편. 제천문화원.
  16. 김현길(2001). 충주댐 수몰 마을사 -제천편. 충주댐 수몰마을사 편찬위원회.
  17. 제천시(2004). 시정백서(2000~2003).
  18. 제천시지편찬위원회(2004). 제천시지.
  19. 새한항업(2005). 제천시 군도.농어촌 도로망도
  20. 신림(2007). 1:25,000 지형도.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1. 대양지도(2009). 제천시 행정지도.
  22. 신현실(2020). 한국전통정원 재발견을 위한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발굴-충청도-. 국립수목원.
  23. 신현실(2019), 한국전통정원 재발견을 위한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발굴-경상도-. 국립수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