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iew Characteristics of the Pavilion around Gyeongpo Lake

경포호 누정의 조망특성에 관한 연구

  • Han, Gab-Soo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21.10.28
  • Accepted : 2021.12.13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nsition process of Gyeongpo lake and to analyze the viewing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the pavilion. The view characteristics at pavilion were analyzed by overlapping classification maps of landscape types by period with the view range map from pavilion. The circumference and area of Gyeongpo lake have been reduced to 15.2km and 3.9km2 in the 1750s, 9.0km and 1.7km2 in the 1933, and now 4.41km and 1.0km2. By period, the largest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Gyeongpo lake viewed from Pavilion was Hwanseonjeong, which decreased by 48.0% from the 1750 to 2017. Hwallaejeong, Haeunjeong, and Hohaejeong were found to be impossible to view Gyeongpo lake as some of the adjacent lakes were changed to agricultural land. Pavilion has great significance as a space for traditional culture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humanities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Pavilion culture, it is necessary to use it as a cultural resource, to continuously manage the building, and to partially restore Gyeongpo lake considering the function of each pavilion.

본 연구의 목적은 경포호의 변천과정과 각 누정에서의 조망범위를 분석하여, 시기별로 누정에서의 조망특성이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선행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누정의 조영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시기별 경포호 경관유형분류도를 작성하고, 각 누정별 조망범위를 설정하여 중첩을 통해 조망변천 특성을 파악하였다. 경포호의 둘레와 면적은 1750년 15.2km, 3.9km2에서 1933년에 9.0km, 1.7km2로, 2017년에는 4.4km, 1.0km2로 축소되었다. 시기에 따라 누정에서의 경포호 조망비율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곳은 환선정으로서 1750년대에 비해 2017년에는 48.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래정과 해운정은 인접 호수가 농경지로, 호해정은 농경지, 주거지 및 상업지로 변화되면서 경포호의 조망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환경이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전통문화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갖는 누정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서는 건축물로서의 보전 및 관리뿐만이 아니라, 조영목적 및 기능을 고려하여 누정에서 조망되는 경관의 복원이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강릉원주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김창현(2019). 누정산책. 민속원.
  2. 문화재청(1999). 강릉 해운정 실측조사보고서.
  3. 김병수(2001). 사찰, 누정 그리고 한시. 태학사.
  4. 우응순(2016). 누정, 선비문화의 산실. 경기: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5. 지역문화연구소(2003). 경기누정문화. 전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
  6. 박언곤(1989). 한국의 정자. 서울:대원사.
  7. 박언곤(1991). 한국의 누. 서울:대원사.
  8. 이현우, 김재식(2017). 누정편액(누정편액)에 반영된 자연인식과 서정-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8(3): 1-13.
  9. 임호민(2009). 경포호수 주변 누정의 인문환경적 가치. 인문학연구. 13(-): 41-66.
  10. 이재현, 이창업(2011). 울산지역 누정의 공간구성과 형태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82-49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482
  11. 김태경(2004). 경포호의 옛모습 추정 -기록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4): 83-93.
  12. 강릉문화원(1997). 강릉의 누정자료집. 강릉문화원.
  13. 박경립(1999). 한국의 건축문화재 3. 강원편. 기문당.
  14. 한국전통조경학회(2016). 최신동양조경문화사. 도서출판 대가.
  15. 篠原修(1998) 景觀用語事典. 彰國社.
  16. 환경부(2017). 환경공간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atlas/list.do)
  17. 안대회, 박진욱, 김세호(2017). 18세기 한강(漢江)의 누정(樓亭) 조사 연구 -엄경수(嚴慶遂)의 연강정사기(沿江亭榭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35(3): 76-93. https://doi.org/10.14700/KITLA.2017.35.3.076
  18. 박상덕(2002). 경포호의 변천. 대한토목학회지. 50(4): 52-56.
  19. 이상수(2013). 하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1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경포천과 경포호-. 하천과문화. 9(3): 10-21.
  20. 이기서(2004). 강릉 선교장. 열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