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ool Characters in a Culture of Laughter

웃음문화의 '바보' 캐릭터에 대하여

  • 김경섭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
  • 한승진 (을지대학교 스포츠아웃도어학과)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0.16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In the postmodern world, it is widely believed that being a fool or looking foolish can be more profound and unique than being smart and serious. Comic characters, or fool characters in comedy, have been used as basic tools to make people laugh i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As such, this study will summarize the types of fool characters that have been depicted in plays and organize how they can be categorized in a culture of laughter as well as revealing their characteristics in performing arts. The ridiculous actions and words of fool characters fall outside the common dichotomy of wisdom and foolishness. This is significant and it is because the ways in which they act overturn the values that we consider to be truthful in the world of experience and contain wit and ridicule beyond the general knowledge. Also, it's worth pointing out that many comic characters that appear on TV shows are not all the same. To put it simply, each and every funny character has unique traits and these characters predictably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In performing arts, a fool character's personality is displayed through his or her interactions with the audience. That is, on one hand, the character may or may not recognize himself as a fool, while on the other hand, the audience may regard the character as a fool or otherwise.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comic characters that appear in performing art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nd their features are discussed.

근대화 이후 부정적으로 낙인이 찍힌 바보와 어리석음이 똑똑함과 진지함보다 더 심오하고 대안적일 수 있다는 지적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코미디나 개그에서 바보 캐릭터는 세계 여러 문화에서 웃음을 낳는 기본 도구로 이용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우리를 스쳐갔던 바보 캐릭터의 유형을 정리하여 그것이 웃음문화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형화될 수 있는지를 정리하고 연행예술로서의 특징도 밝히고자 한다. 바보들의 우스운 행동과 말이 일반적인 이분법인 지혜와 어리석음의 밖에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바보들이 드러내는 인식과 행동은 경험세계에서 진리라고 여기는 가치들을 뒤집으며, 일반적인 지식을 뛰어넘는 재치와 조롱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TV쇼에 등장한 수많은 바보들이 다 같은 바보가 아니었다는 점도 지적할 필요가 있다. 바보도 바보 나름인 것이다. 바보 역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리라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연행예술에서 바보는 등장인물과 관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성격이 드러난다. 등장인물 스스로가 자신을 바보라고 인정하는 경우와 바보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있고, 관객들이 등장인물을 바보로 여기거나 바보로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토대로 연행예술에 나타나는 바보 캐릭터를 4가지로 유형화하여 각각의 특징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K Jeong, Narrheit und philosophisches, Buechner und Moderne Literatur, 53;137-159, 2019.
  2. BS Kim, The Foolish Son-in-law Folk Tale's Meaning on the Basis of Laughter, Studies in Humanities 17, 1-28, 2007.
  3. KY Lee, The View of Foolishness in a Fool Falktales and the Problem of Symbiosis, Journal of Korean Oral Literature 51, 37-74, 2018. https://doi.org/10.22274/koralit.2018.51.002
  4. HY Cho,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ntentization for Folk-type Idiot Characters through the Case of Keloglan in Turkey, Story & Image Telling, 20, 327-364, 2020.
  5. KS Kim, JL Kim, The Behavior Economics in StoryTelling,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4);329-338, 2019.
  6. KY Lee, The Level of Laughter in Idiot folktales,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36, 153-180, 2011.
  7. YJ YI,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Folk Tale "The Stupid Brother"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Journal of Literary Therapy 41, 207-239,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