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toward Autonomy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

  • 이은지 (성결대학교부속유치원) ;
  • 배지현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1.07.12
  • Accepted : 2021.08.09
  • Published : 2021.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toward autonom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eachers' perception of autonomy, the majority of th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that "I am very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autonomy and have tried to practice it." In terms of areas for which they expect to be given autonomy, "autonomy in developing and operating education plans" was most answered. Second, as for teachers' practice of autonomy, teacher autonomy was answered most for "work and operation"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lans among "institutional autonomy." In term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website" and "operation of teachers' personal e-mail" were most answered.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was most answer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and "interaction with infants" for "autonomy in educational activity." Lastly, it is expected for follow-up research to perform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autonomy.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치원교사에게 강조된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사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식과 실천의 양상을 파악하여 교사 자율성이 반영되는 교육과정 운영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1명의 공·사립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과 경력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에서는 '자율성의 개념에 대해 관심이 많고, 실천하고자 시도해보았다', 자율성을 기대하는 분야로는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의 자율성'이 가장 높았다. 고경력 교사들은 자율성이 대체로 잘 부여된다고 인식하는 반면, 저경력 교사들은 부여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인식하였다.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로는 '기관에서의 자율적 의사결정 제한'이 가장 많았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현황'은 기관운영 자율성 중 '교육계획 및 수립', 운영에서는 '일과 운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에서는 '홈페이지 운영'이,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는 '교사연수 참여', 교육활동 자율성에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는 '활동 결과, 작품 등의 평가 유형, 방법 계획'과 '평가 결과에 기초한 상담 및 유아지도'에서 자율성 확보가 가장 높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율성 실천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장기적 사례 연구 등이 수반되어야할 것이다.

Keywords

I. 서론

교육의 주체인 교사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살아있는 지식을 창출하며,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을 융통성 있게 실현해 나간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교사의 자율성이라 할 수 있다[1]. 자율성은 철학적 입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어떠한 대상이나 사태에 대하여 타인에 의해 좌우되지 않고 개인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며, 선택하는 능력 및 태도를 지칭한다 [2]. 특히 유아교사의 자율성이란 교사가 유아, 가정, 유치원의 요구와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주체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자 권한을 말한다[3]. 교육과정 운영, 부모와 지역사회와의 교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전반에서 실천되는 교사의 지속적인 자기 성장의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4]. 이러한 의미에서 자율성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인정되고 실제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5]. 자율성이 확보된 교사는 유아의 의견을 존중하며 역동적인 수업을 창안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행중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도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6]. 여기서 강조하는 교사의 자율성이란 학급의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도록 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7]. 즉 교사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수행할 때, 유아의 놀이뿐 아니라 모든 일상생활까지도 교육과정으로 포함하여 진정한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도록 하고 있는데[8], 이를 위해서는 유아 주도적인 놀이와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교사의 자율성과 융통성이 꼭 필요하다. 이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그대로 전달하는 교육과정 전수자의 관점을 넘어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직접 개발하고 실천하는 교육과정의 주체가 될 수 있어야 가능하다[9]. 즉 교사가 교실 공간을 자유롭게 변형하고[10], 유아의 놀이가 미리 계획한 생활주제에 맞지 않더라도, 유아의 관심과 생각을 지원하여 수업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교육관에 따라 유아를 이해하고 가르치며 평가할 수 있는 교사로, 전문적 판단과 능력에 기초한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자율성을 가진 유아교사란 유아를 위한 보호와 교육 관련 모든 역할에 책임감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교사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11].

그렇다면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은 왜 이전보다 더 강조되는 것일까? 교사의 자율성은 교사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요건으로 인식되지만[12]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에게 부여되어야 하는 자율성의 실현이 비교적 어려운 실정이 있기 때문이다[13]. 이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369개의 세부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사의 자율적 운영이 쉽지 않았다. 또한 연령별로 구분된 내용으로 인해 자율적인 수업 운영이 어려웠다는 비판이 있었다[14]. 실제 교육과정 실행에서 자율성이 부족하다면 교사는 외부에서 받는 교육과 아이디어에만 의존하게 되고 교육과정 운영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3]. 자율성이란 교사 스스로가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자 권한이지만, 최근 연구[15]에서도 여전히 교사들은 자율성에 대한 지원 요구를 하고 있다. 각 유치원의 관리자의 선호와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해야 하는 현실적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의 자율성은 더 존중되어야 한다. 유아와 놀이를 최우선으로 존중하는 ‘자율적 판단과 지원’으로써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지침을 최소화하고 교사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존중한다면 다양한 활동에서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먼저 정해진 형식의 계획안에서 형식, 분량, 내용 등에서 자율화가 생기고, 교수학습방법과 놀이공간에도 변화가 생긴다. 과도한 문서작성에서도 자료수집 및 평가 방식이 간략화 된다. 이러한 교사의 자율성 확대는 교사의 책임감과 전문적 신장이 동시에 필요하다[16]. 따라서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은 유아교사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덕목으로 이는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증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전문성을 가진 유치원 교사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서는 유아교육과정에 따른 자율성 인식과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유치원 교사의 자율성은 교육활동의 질을 향상시키며 유아의 발달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17].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과 ‘실천’으로 구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 관련 연구로 [13]의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45.2%가 ‘교사 자율성 개념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동료 교사들과 언급한 적이 있다’고 하였으나 반면 자율성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고 있지 않는 교사의 비율도 5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직 유치원 교사가 교수과정에 전문성을 발휘할 기회 부족과 더불어 전문성 인식이 부족함을 반증하는 것이다. [2]의 연구에서 나타난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이란 교과수업의 운영 및 교육내용의 결정권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며, 자율화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교사가스스로의 판단과 기준에 의해 책무를 확인해나갈 수 있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13]은 유치원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자율성은 자신의 교육관을 갖는 것, 주도적으로 학급 운영하는 것,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는 것 등으로 교사가 한 개인의 주체로서 존중받으며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는 상태에서 교육권 행사를 희망함을 강조하였다. 교사 자율성의 범위는 교사 주도의 학급운영과 외부의 영향력을 받지 않는 자율적인 의사 결정권 등으로 보고 있었다. [14]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을 해석하면서 교사가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비판적 사유와 윤리적 실천 역량이동 시에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18]은 유치원 교사들이 교사 자율성이 유아를 지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이지만, 정작 현장에서 자율성을 보장받는 것이 원활하지 않아 교육활동에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15]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고는 있으나 각 유치원의 관리자에 따라 교사 자율성을 인정하는 정도가 다르며 학부모의 요구에 따른 교육과정을 수용해야 하는 현실적 한계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여전히 일부에서는 교사의 주체적인 자율성보다는 유치원의 관리자 등에 의해 그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9]의 연구에서도 유아교사들이 부여된 자율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이후 점차 원장의 입장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부여’하던 것이 자율성을 ‘지원’하거나 교사의 당연한 권리로 인식이 변화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 더불어 유아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한 자율성의 의미를 질적 연구로 탐구한 연구[15][19][20], 자율성을 위한 핵심역량 관련 연구[21] 등도 있다.

이상의 ‘자율성 인식’ 관련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자율성 인식은 매우 중요하나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기관과 원장, 교사의 인식변화와 교사의 자율적 의사결정, 교육과정 실천역량과의 연계가 안정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다수의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인식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데,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통해 현장 교사의 자율성 인식을 파악하고 지원할 기초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전 연구에서 [23]은 누리과정 CD와 지도서의 활용으로 인해 교육과정이 획일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교사들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24]는 형식적으로 작성되는 교육계획안, 숙제같은 누리과정 실천 등 교사 자율성에 제한이 되는 현장 상황을 언급하면서 유아교육 과정 대강화를 통해 교사의 자율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연구를 살펴보면, [24]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교실에 적용하는 교사는 자율적인 공간구성으로 유아의 놀이가 풍부해짐을 인식하며, 융통성 있는 수업운영에 있어 자율성을 발현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교사의 자율성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25]는 교사도 유아들의 놀이에 동참하면서 반성적 사고와 통찰을 위한 자율적 노력 속에서 자기 성장을 하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26]은 교사들은 달라진 공간 활용에 있어 안전과 자율성의 균형을 고민하고 있었고, 안전한 공간 활용이 적응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상의 ‘자율성 실천’ 관련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자율성 실천은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의 계획 및 전개’, ‘유아와의 상호작용’, ‘생활지도’ 활동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사의 자율성 실천은 기관에서의 분위기 요인에 따라 지원되기도 혹은 방해받기도 한다[13]. 따라서 교사 개인의 수업운영에서의 자율성 뿐 아니라 기관 운영에서의 교사 자율성이 제한되고 있는지 현황을 조사하여 자율성 실천의 어려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교사 다수의 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유치원 교사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 정착을 위해 필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교사의 자율성 인식과 실천은 제도적 변화만으로는 반영되기 어렵다. 단위 유치원의 각 교사가 의도적이고 꾸준한 노력으로 자기반성과 자기수정을 위해 노력하는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모습을 추구해야한다. 이를 위해 유치원교사를 위한 ‘자기장학’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여 교수역량이 향상되도록 하고, ‘동료장학’을 통해 유아 놀이와 의미있는 배움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치원과 유아들의 특성을 반영한 자율적인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해질 수 있다[27]. 동료장학에서는 교사의 경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교사의 경력과 자율성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28-30]에서는 고경력 교사의 자율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을 좀 더 강조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에는 경력에 따른 자율성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여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교사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현실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31].

이에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유치원 교사에게 강조된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사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식과 실천의 세부적 양상을 파악하여 교사 자율성이 반영되는 교육과정 운영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현황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공·사립 유치원 원장, 원감, 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은 경기도의 교원을 대상으로 무선표집을 하였고, 공립과 사립의 비율은 4 대 6이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은 다음 [표 1] 과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 %(N)

CCTHCV_2021_v21n11_389_t0001.png 이미지

2. 연구절차

본 연구절차는 선행연구 고찰 및 자료수집, 설문지작성, 온라인 설문지 조사 및 통계, 설문지 분석 및 글쓰기를 거쳐 진행되었다. 연구 기간은 2020년 7월 5일부터 2021년 06월 20일까지이다.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연구절차

CCTHCV_2021_v21n11_389_t0002.png 이미지

3. 설문지와 자료분석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 자율성 인식 관련된 [13][17]의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의 자율성 인식 설문지와 면담 가이드를 수정 ・보완하였다. 보완된 설문지로 현장교사 4인, 원장 1인에게 교사 자율성 관련 사전질문을 하였고 문항 내 선택지에 의견을 반영하였다. 전체 설문지는 총 4개의 영역,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 영역에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 교사인식 관련 자율성, 기관운영 자율성, 교육활동 관련 자율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으로는 교사의 성별, 연령, 경력, 직위, 담당학급 연령, 유치원 기관 유형, 2019 개정 누리과정 연수 이수 여부 총 7문항이다. 둘째, ‘교사 인식 관련 자율성’으로는 ‘자율성’ 용어에 대한 인식 수준과 기대하고 있는 활동, 어느 정도 부여되고 있는지의 정도, 현장에서 자율성이 부여되지 못하는 이유로 구성되어있다. 자율성은 외부개입 없는 주체성이어야 하나,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교사는 다양한 협의와 행정절차를 따르고 있으므로, ‘부여된 교사 자율성’로 표기한 선행연구[19]를 참고하여 이 표현을 사용하였다. 셋째, ‘기관운영 자율성’에서는 공통의 교육계획 수립과 운영,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 기관차원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자율성이 가장 많이 확보되고 있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활동 자율성’에서는 교사가 유아와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자율성, 즉 교수-학습 수행 및 지원, 유아 관찰 및 평가, 자율성 실현을 위해 필요한 요소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의 신뢰도(Cronbach Alpa)는 ‘기관운영’ 내용이 .911, ‘교육활동’ 내용이 .862였다. 최종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교수 3인, 유치원 원장 2인, 공사립 교사 7 인의 검토를 받았다. 수집된 설문지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항목의 빈도 분석과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

1.1 교사 인식 관련 자율성

1) 교사의 자율성 용어에 대한 인식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율성’ 용어에 대해 어느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자율성 용어 인식 수준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개념에 대해 관심이 많고, 실천하고자 시도해보았다’는 응답이 50.8%(61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개념에 대해 생각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25.8%(31명),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현장에서 자주 실천하고 있다’가 18.3%(22명), ‘들어보았으나, 그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이 3.3%(4명) ‘개념을 전혀 들어보지 못했다’가 1.7%(2명) 순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답변이 69.1%(83명)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자율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천적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자율성 용어 인식 수준에 대한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3.png 이미지

교사 자율성이란 용어 인식 수준을 교사 경력에 따라 카이검증을 하였다. 결과는 x2=11.576 (d=-4)으로 교사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21<.05). 이는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자율성의 개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천을 시도하고 있고, 고경력의 교사들은 현장에서 자율성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좀 더 자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교사 경력에 따른 자율성 용어 인식 수준에 대한 카이검증 (N = 120)

CCTHCV_2021_v21n11_389_t0004.png 이미지

* p < .05

2) 교사의 자율성에 대하여 기대하는 분야

교사가 자율성에 대하여 기대하는 분야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의 자율성’이 44.6%(54명)로 가장 높았고, ‘교육과정 수행 및 지원’이 41.3%(50명)으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그에 이어 ‘교사 전문성’과 ‘유아평가’가 각각 9.1%(11명), 4.1%(1명) 이다. 즉 대다수의 교사(85.9%)가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 교육과정 수행 및 지원에 대해 자율성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표 5. 교사의 자율성에 대하여 크게 기대하는 활동에 대한 빈도 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5.png 이미지

자율성을 크게 기대하는 분야에 대해 교사 경력에 따라 카이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X2=8.842(df = 4)으로 교사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0.065 >.05)으로 나타났다.

3) 현재 교육현장에서 부여된 교사 자율성

현재 교육현장에서 부여되는 교사 자율성 정도를 알아본 결과, ‘보통’이 43.8%(53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체로 부여됨’이 27.3%(33명)으로 높았다. 이어 ‘대체로 부여되지 않음’이 20.7%(25명), ‘전혀 부여되지 않음’이 5.0%(6명), ‘매우 잘 부여됨’이 3.3%(4명) 순으로 나타났다. ‘보통’, ‘대체로 부여되지 않음’, ‘전혀 부여되지 않음’이 해당되는 비율을 합하면 전체의 69.7%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우 잘 부여되고 있다는 답변은 3.3%에 불과하여 교사가 자율성의 주체로 적극적 인식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표 6. 현재 교육현장에서 부여되는 교사 자율성 정도에 대한 빈도 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6.png 이미지

현재 교육현장에서 부여되는 교사 자율성 정도를 교사 경력에 따라 살펴본 결과, X2=13.517 (df = 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9<.01). 고경력 교사들은 부여되는 자율성의 정도가 보통이거나 대체로 잘 부여된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상대적으로 저경력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부여되는 자율성의 정도가 대체로 부여되지 않거나 보통이라는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표 7. 교사 경력에 따른 부여되는 교사의 자율성 정도에 대한 카이검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7.png 이미지

* p < .01

4)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로는 ‘기관에서의 자율적 의사결정 제한’이 59.5%(72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문적인 교사 연수, 교육 등 실질적인 도움 부족’이 18.2%(22명), ‘사회적 전문성 인식미정립’이 9.9%(12명),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및 능력 부족’, ‘기관의 의사결정 상황에 교사의 자발적 비참여가 각각 5.8%(7명), 3.3%(4명)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자율성 실천은 기관의 분위기 요인에 영향을 받고, 그동안의 기관운영 체계 등의 상황변인 등으로 자율성 실천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점과 연결되는 것이다. 위의 [표 6]의 결과와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에 대한 빈도 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8.png 이미지

교사 경력에 따라 교사의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를 살펴본 결과 X2=3.148(df = 5)로 교사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677>.05)으로 나타났다.

2.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현황

2.1 기관 운영 관련 자율성

‘기관운영 자율성’이란 유아교육기관 내 공통의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 부모 및 지역사회 교류 등에서 기관 차원의 교육목적을 함께 성취하는 과정에서의 교사 자율성을 말한다. 응답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계획 수립, 운영에서의 교사 자율성

교육계획 수립, 운영에서 교사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과 운영’이 69.4%(84명)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연간, 월간) 계획’이 22.3%(27명), ‘유치원 교육목표 및 교육방향 계획’과 ‘유치원 자체 행사 계획 및 진행’이 2.5%(3명), ‘교사회의 개최 및 역할 분장’이 1.7%(2명)로 나타났다. 일과 운영에 있어 교사는 유아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융통성 있게 시간과 공간을 운영해야 하므로(김희영, 엄정애, 2020) 대다수의 교사가 자율성 확보에서 중요시 여기는 공통적 의견으로 도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표 9. 교육계획 수립, 운영에서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에 대한 빈도 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09.png 이미지

교사 경력에 따라 교육계획 수립, 운영에서 교사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알아본 결과, 교육계획 수립/운영에 있어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은 X2=3.494(df = 5)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624>.05)으로 나타났다.

2) 부모 및 지역사회 교류에서의 교사의 자율성

부모 및 지역사회 교류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을 알아본 결과, ‘유치원 홈페이지 운영’이 49.6%(59명)로 가장 높았고, ‘교사 개인 메일 운영’이 24.4%(29명), ‘정기적인 부모교육 실시’가 12.6%(15명)로 나타났다. 유치원 홈페이지는 정보전달 기능을 넘어 교육과 상담 및 지역사회와의 연대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기반 홈페이지와 메일 운영 등의 자율적 운영은 부모와의 소통과 교육과정 연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부모가 가진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압박, 민원발생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교사가 자유롭게 교육과정을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자율성이 확보되기를 바란다는 의도로 사료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10]과 같다.

표 10.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의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10.png 이미지

교사 경력에 따라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을 카이검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은 X2=1.808(df = 3)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613>.05)으로 나타났다.

3)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알아본 결과, ‘교사 연수 참여’가 55.5%(66명)로 가장 높았으며, ‘동료와의 장학’이 21.0%(25명), 전문적 학습 공동체 운영이 16.0%(19명), ‘자기 장학 인정받기’가 5.9%(2명)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운영 자율성’은 기관 차원의 교육목적을 함께 성취하는 과정에서의 교사 자율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함께 진행하는 교사 연수나 동료장학,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을 통한 자율성 확보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에 대한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11.png 이미지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경력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X2=7.756(df = 4)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101>.05)으로 나타났다.

2.2 교육활동 관련 자율성

‘교육활동 자율성’에서는 교사가 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자율성을 내용으로 하였다.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수-학습 수행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

교수-학습 수행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된 활동을 알아본 결과,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47.9%(57명) 로 가장 높았으며, ‘교수학습 방법의 계획 및 전개’가 24.4%(29명), ‘유아 생활지도’가 20.20%(24명), 전문적 학습 공동체 운영이 16.0%(19명), ‘자기 장학 인정받기’ 가 5.9%(2명) 순으로 나타났고 ‘교수 학습 내용 선정 및 조직’이 7.6%(9명)으로 가장 낮았다. 교사와 유아와의 상호작용은 교육적 효과를 좌우하는 결정적 변인이 되므로 이러한 높은 관심과 이해는 자율성 실천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교수-학습 수행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된 활동에 대한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12.png 이미지

교수-학습 수행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교사 경력에 따라 카이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X2=7.848(df = 4)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49<.05). 교수 -학습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되는 활동 중 특히 유아 생활지도에서 고경력 교사와 저경력 교사 간 응답 수의 차이를 보였다. 고경력 교사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 [표 13]과 같다.

표 13. 교수-학습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에 대한 카이검증 (N = 110)

CCTHCV_2021_v21n11_389_t0013.png 이미지

* p < .05

2) 교수-학습 지원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

교수-학습 지원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살펴보면, ‘교실 환경구성’이 45.4%(54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재 교구 및 자료 준비’가 25.2%(30명)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급 운영 방안 모색’이 18.5%(22명), ‘교구 및 비품 사용 및 관리’가 3.4%(4명), ‘유치원 시설 설비의 사용 및 안전한 관리’가 7.6%(9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교수-학습 지원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에 대한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14.png 이미지

교수-학습 지원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교사 경력에 따라 카이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는 X2=.858(df = 4)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 (p = .930>.05)으로 나타났다.

3)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살펴보면 ‘활동 결과, 작품 등의 평가 유형, 방법 계획’과 ‘평가 결과에 기초한 상담 및 유아지도’가 동일하게 26.9%(32명)로 가장 높다. 이에 이어 ‘교수학습 활동의 평가’와 ‘발달상태 파악’은 각각 23.5%(28명), 22.7%(27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 15.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에 대한 빈도분석 (N = 121)

CCTHCV_2021_v21n11_389_t0015.png 이미지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교사 경력에 따라 카이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은 X2=4.434(df = 3)로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 = .218>.05)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보다 강조된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사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식과 실천의 세부적 양상을 파악하여 교사 자율성이 반영되는 교육과정 운영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과 ‘자율성 실천’ 현황에 대해 공·사립유치원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자율성에 대한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교사의 비율이 전체 94.2%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13]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45.2%로 나타났던 교사의 자율성 인식 비율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전보다 많은 교사들이 자율성의 개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천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의 경력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저경력 교사들이 자율성의 개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천을 시도하고 있는 반면, 고경력의 교사들은 실제 현장에서 이미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2]의 연구에서 교사들의 경력이 많아질수록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교사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일정 기간의 경험과 시간을 바탕으로 높아지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율성에 대하여 크게 기대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의 자율성’의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육과정 수행 및 지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자율성이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육계획과 내용의 결정권과 관련이 있음을 이야기한 연구인 [12][17]과 맥을 같이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부여되는 자율성의 정도를 살펴보면, 현재 교육현장에서 부여되는 교사 자율성 정도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85.9%)가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 교육과정 수행 및 지원에 대해 자율성을 기대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실제 교육 현장에서 부여되는 교사의 자율성은 아직까지 충분하게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15]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교사 자율성은 아직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강조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유치원의 관리자에 따라 교사 자율성을 인정하는 정도가 다르고 학부모의 요구에 따른 교육과정 수용이라는 현실적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거나 그대로 전달하는 교육과정 전수자의 관점을 넘어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직접 개발하고 실천하는 교육과정의 주체가 되려면[9] 초임교사를 포함한 저경력 교사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서적, 사회적 지지 및 존중, 수평적 교직 문화로의 변화 등의 실천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로는 ‘기관에서의 자율적 의사결정 제한’이 가장 높았고, ‘전문적인 교사 연수, 교육 등 실질적인 도움 부족’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13][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아직 현장에서는 기존 교육과정 방식을 고수하거나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수업내용으로 인해 자율성 확보의 제한이 있고, 연령별로 비슷한 수준의 수업을 맞추어야 하는 등 자율성 발현에 어려움을 있음과 연결되는 결과로, 교직문화 전반에 실질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인식변화와 관련 수업 사례의 자율적인 공유 등이 요구된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은 누가 누구에게 ‘부여’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닌 독자적인 주체적 성격을 지녀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관에서의 자율적 의사결정 제한이 가장 큰 걸림돌이므로, 교사의 자율성을 부여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마땅히 존중되어야 할 교사의 권리이자 전문성이라는 인식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 현황에 대한 결과는 ‘기관 운영 자율성’과 ‘교육활동 자율성’으로 나뉘며 이를 구분하여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운영 자율성’ 중 교육계획 및 수립 운영에서 교사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살펴본 결과, ‘일과 운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과 운영은 경력과 관계없이 교사가 유아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융통성있게 시간과 공간을 운영하게 되므로[33] 대다수의 교사가 자율성 확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통적 의견으로 도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 활동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홈페이지 운영’, ‘교사 개인 메일 운영’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기반 홈페이지와 메일 운영은 부모교육과 상담 등 포괄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교육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교사들이 부모가 가진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압박, 민원 발생에 대한 우려 등으로 교사가 자유롭게 교육과정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14]의 연구와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교사 개인 메일이나 SNS에 대한 사생활 보호에 대한 요구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교사의 근무 외 시간까지도 부모나 기관의 업무요청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 메일 등의 노출은 전체적으로 통일하여 결정하기보다는 교사 개인의 자율적 선택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알아본 결과 ‘교사 연수 참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료와의 장학’이 다음으로 높았다. 기관차원의 교육목적을 함께 성취하는 교사 자율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함께 진행하는 교사 연수나 동료장학,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을 통한 전문성과 자율성 향상에 관심을 보인 것이다. [25]의 견해처럼 이 과정에서 교사도 반성적 사고와 통찰을 위한 자율적 노력 속에서 자기성장을 하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활동 관련 자율성 중 교수-학습 수행에서 자율성이 가장 확보된 활동을 알아본 결과,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방법의 계획 및 전개’, ‘유아 생활지도’, ‘전문적 학습 공동체 운영’ 순으로 이어졌다. 이는 [2]가 이야기한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과 동일한 결과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교수-학습 수행 중 ‘유아생활지도’에서 고경력 교사와 저경력 교사 간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아 생활지도 활동에서 고경력 교사에 비해 저경력 교사가 자율성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임 교사가 문제행동지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34]의 결과와 유사한 맥락을 보이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교수-학습 지원 중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으로 ‘교실 환경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재교구 및 자료 준비’가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26]의 연구와 동일한 관점을 가진다. 교사들이 교실 환경구성에 있어 안전과 다양성을 모두 고려하려면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자율성이 충분히 발현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창의성과 책임감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을 개발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숙고의 시간과 기회, 지원 등이 함께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단위 유아교육기관의 노력 뿐 아니라 정책적 지원도 병행되어 안정적인 환경에서 교사가 자신의 교수-학습에서의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 교사의 자율성이 가장 확보되는 활동을 살펴본 결과, ‘활동 결과, 작품 등의 평가 유형, 방법 계획’과 ‘평가 결과에 기초한 상담 및 유아 지도’가 동일하게 가장 높았다. 기존의 평가 유형, 방법, 계획에서 벗어나 교사가 자율성을 가지고 유아 놀이를 지원하면서 교육과정과 평가를 분리하지 않고, 이 결과를 기초로 상담과 유아지도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이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인정되고 실현되기 위해 요구되는 점을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자율적인 문화가 필요하다. 자율적인 문화란 수평적인 동료관계, 신뢰하는 유치원 문화, 서로 인정해주고 격려해주는 분위기 등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저경력 교사의 장학지도 등에 있어 오히려 교사 개인의 자율성을 저해하고 있지는 않는지 반성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근본적인 근무환경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적절한 교사 대 유아의 비율 조정, 수시로 교수학습에 지원 가능한 재정확보 및 절차 간소화, 충분한 보조인력 지원, 교사의 실질적인 업무시간 확보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유아교육기관의 당면한 상황이 다르므로 상황에 적합한 교사의 역할수행과 책무성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자율성 실현을 위한 장기적이고 양방향적인 연수나 장학이 반드시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교사가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반성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수업 나눔의 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실질적 운영이 요구된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사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맥락에는 각자의 업무분장 한도 안에서의 제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있어 최소 적정선의 혼란 등도 포함되어 있다[20]. 이러한 어려움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장기적으로 탐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으로는 본 연구는 경기도 중심의 공사립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유아교육 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자율성 연구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또한 온라인 설문지 조사의 특성상 응답자들이 본 연구에서 강조된 자율성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응답하였다고 보기 힘들다. 추후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와의 심층면담, 또는 장기적인 사례연구나 교사가 주체적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도출한 실행연구, 자문화 기술지 등의 수행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자율성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 유아교육기관의 상황에 가장 이상적인 정착에 대한 심도있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본 연구는 이은지의 석사학위논문을 요약 및 보완한 내용임

References

  1. Z. S. Genc, "Teacher autonomy through reflective journals among teach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Turkey," Teacher Development, Vol.14, No.3, pp.1366-4530, 2010.
  2. 김선영, 소경희,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 탐색," 아시아 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55-79, 2014.
  3. 이연선, 연희정,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1481-1507, 2021.
  4. L. C. Pearson and W. Moomaw,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and stress, work satisfaction, empowerment, professionalism,"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Vol.29, No,1, pp.38-54, 2005.
  5. 오채선,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제38권, 제4호, pp.415-443, 2018.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4.017
  6. 이양숙, 하양승, 전홍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23호, pp.49-78, 2020.
  7.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 실행자료, 교육부, 2019.
  8. 김영옥,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75-103, 2020.
  9. 신은미, "협력적 컨설팅을 통한 초록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367-393, 2020.
  10. 장혜진, "만 5세 유아의 교실 내 흥미영역 재구성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6호, pp.979-1002, 2019.
  11.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유아교사론, 양서원, 2001.
  12. 문수영, 조영주, "어린이집 원장의 개정 누리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유아반 교사의 자율성 지원하기," 유아교육연구, 제40권, 제6호, pp.61-83, 2020.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6.003
  13. 이현경, "유아 교사의 자율성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2권, 제5호, pp.179-204, 2008.
  14. 이경화, "부모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제4권, 제3호, pp.179-199, 2001.
  15. 이성희, 이미영,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467-496, 2021.
  16.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교육부, 2019.
  17. 최두례,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8. 유재경, 황지영, 박은미,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모델 개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제24권, 제1호, pp.93-124, 2020.
  19. 이소정, 양지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39권, 제2호, pp.565-592,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23
  20. 서윤희,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및 경험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4호, pp.275-299, 2020.
  21.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비평연구, 제9권, 제2호, pp.7-32, 2019.
  22. 박창현, 양미선.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직원의 누리 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 분석: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다양화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209-237, 2017. https://doi.org/10.5718/KCEP.2017.11.1.209
  23. 허정민, 이진희, "누리과정 실천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교사들의 도전과 딜레마," 유아교육연구, 제39권, 제2호, pp.181-211, 2019.
  24. 임승렬, 전방실,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21-47, 2020.
  25. 유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24권, 제6호, pp.75-100, 2020.
  26. 김대욱,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공간 관련 교사의 어려움 및 공간 활용 방안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279-307, 2021.
  27. 진다정,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놀이중심 교육의 이해와 실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8. 엄정애, "놀이와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현황,"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145-164, 2004.
  29. 최기영, 이학선, 우수경, "유아의 자율성 신장 교수학습활동 실태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4호, pp.299-316, 2004.
  30. 최민수, 황수연, 조승현, "수준별 교육내용 적용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33-56, 2002.
  31. 황재웅, 교사 자율성의 현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황보영란, 이해영,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제6권, 제2호, pp.29-52, 2011.
  33. 김희영, 엄정애,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pp.119-152, 2020.
  34. 채영문, 이성주, "초임영유아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8호, pp.1051-1071,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