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vel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Seoul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Period: Differences in Destination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

COVID-19 대유행기에 나타난 서울시 고령층의 통행격차 - 사회경제적 요인과 공간적 요인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이재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손정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및 국토문제연구소)
  • Received : 2021.10.28
  • Accepted : 2021.12.21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By defining a travel disparity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ravelers diversify their destinations, this paper examines how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affect the travel disparity among the elderly in Seoul. This paper uses the COVID-19 pandemic as a natural experiment which can bring about different behavioral responses among the older travelers. Using the smart card data, we compare the destination diversification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In the early morning(4:30-9:00), the degree of destination diversification varies between the core and the periphery and this trend persists through the pandemic. In the late morning(9:00-12:00), a new trend of disparity appeared after the pandemic. Although those who hol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and live closer to the core have a larger range of choices for destinations, the difference of range did not lead to differences in diversification before the pandemic, due to the discretionary nature of the elderly's trip. In contrast, as the elderly were forced to search alternative destinations right after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the range of choices became an important factor causing observable differences in destination diversific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vel disparity observed during the pandemic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ange of choices by socioeconomic and spatial factors.

본 연구는 목적지 다변화 정도를 기준으로 통행격차를 정의하고, 사회경제적 요인과 공간적 요인이 고령층의 통행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한 동시간대에서의 통행격차를 분석하기 위해 통행집단 간 반응의 차이를 유도할 수 있는 COVID-19를 자연실험의 사례로 활용했다. 본 연구에서 서울시 지하철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COVID-19 이전의 통행격차(2018~2019)와 이후의 통행격차(2019~2020)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침시간대(4:30-9:00)의 경우, 거주지의 중심성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COVID-19 전후로 변함없이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기능이 도심에 집중되어있는 불균등한 도시공간구조로 인해 COVID-19 이전부터 서울의 중심부와 주변부 간에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한편 오전시간대(9:00-12:00)의 경우, COVID-19 이전에는 별다른 격차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이후에는 교육수준과 거주지의 접근성에 따른 목적지 다변화 격차가 새롭게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과 거주지의 중심성이 높을수록 이용할 수 있는 도시 어메니티가 다양하고 목적지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지만, COVID-19 이전에는 목적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여가통행의 특성상 선택의 폭 차이가 목적지 다변화 격차로 이어지지 않았다. 반면 COVID-19 이후 제약환경 하에 새로운 목적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선택의 폭이 목적지 다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기에 나타난 동시간대에서의 통행격차가 COVID-19 이전부터 사회경제구조와 도시공간구조에 의해 형성되어온 선택의 폭 차이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원, 2008, 서울의 실태분석과 도심 발전 방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규식.권규상, 2020,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 통행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2), pp.109-124.
  3. 김복순, 2016, 고령층 고용구조 변화와 소득불평등 추이. 「월간 노동리뷰」, 9월호.
  4. 김영롱, 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 측정과 도시공간 유형 분류, 경기연구원.
  5. 문형주.송재민, 2021, 미세먼지가 도시민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종로구를 대상으로, 「지역연구」, 37(1), pp.29-44. https://doi.org/10.22669/KRSA.2021.37.1.029
  6. 박삼옥.진종헌.구양미, 2008,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3), pp.337-357.
  7. 윤영원.장수은, 2015, 취약계층의 통행 특성 및 행태 분석을 통한 사회적 배제 분석. 「국토연구」, 86, pp.121-138. https://doi.org/10.15793/KSPR.2015.86..008
  8. 이금숙.박소현.함유희, 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동안 나타나는 서울시 지하철 통행 변화와 역 배후지역의 지리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2) , pp.127-142. https://doi.org/10.23841/EGSK.2021.24.2.127
  9. 이정의, 2010, 한국노인의 교육수준별 생활만족 결정요인: 사회적 관계 및 참여, 건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3) pp.709-726.
  10. 전명숙.태명옥, 2016,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pp.323-33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323
  11. 정수열, 2015,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16.
  12. 정수열, 2018, 강남의 경계 긋기: 사회지역분석 및 요인생태학적 접근, 「대한지리학회지」, 53(2), pp.173-191.
  13. 조성아.이건학, 2017, 공간 통계를 활용한 서울시 노년 인구 거주지와 노인 수요 시설 분포의 공간적 불일치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99-112.
  14. 추상호.이향숙.신현준, 2013,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를 이용한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연구」, 76, pp.31-45.
  15. 한수경.이희연, 2015,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유인 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6(2), pp.183-201.
  16. 허우긍.손정렬.박배균, 2015, 「네트워크의 지리학」, 서울: 푸른길.
  17. Chowdhury, S., Paix, L. La, & Geurs, K., 2020, Inter- and Intrapersonal variation in destination choice. 「European Journal of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Research」, 20(4), pp.194-213.
  18. Horner, M. W., 2004, Exploring metropolitan accessibility and urban structure. 「Urban Geography」, 25(3), pp.264-284. https://doi.org/10.2747/0272-3638.25.3.264
  19. Huff, J. O., & Hanson, S., 1986. Repetition and Variability in Urban Travel. 「Geographical Analysis」, 18(2), pp.97-114. https://doi.org/10.1111/j.1538-4632.1986.tb00085.x
  20. Kim, J., & Kwan, MP., 2021,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eople's mo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the US from March to September of 2020,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93, 103039. https://doi.org/10.1016/j.jtrangeo.2021.103039
  21. Kwon, K., 2021, Polycentricity and the role of government-led development: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2000-2015, 「Cities」, 111, 103107. https://doi.org/10.1016/j.cities.2021.103107
  22. Liu, K., Murayama, Y., & Ichinose, T., 2021,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urban polycentricity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mobility: A multi-view analysi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ities」, 111, 103109. https://doi.org/10.1016/j.cities.2021.103109
  23. Lu, Y., Zhao, J., Wu, X., & Lo, S. M., 2021, Escaping to nature during a pandemic: A natural experiment in Asian c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big social media dat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77, 146092.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21.146092
  24. Roth, C., Kang, S., Batty, M., & Barthelemy, M., 2011, Structure of urban movements: polycentric activity and entangled hierarchical flows, 「PloS one」, 6(1), e1592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15923
  25. Shen, Q., 2000, Spatial and Social Dimensions of Commut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6, pp.68-82. https://doi.org/10.1080/01944360008976085
  26. Simma, A., Schlich, R. & Axhausen, K. W., 2001, Destination choice modelling for different leisure activities, 「Arbeitsberichte Verkehrs- und Raumplanung」, 99, Working Paper.
  27. Su, R., Xiao, J., McBride, E. C., & Goulias, K. G., 2021, Understanding senior's daily mobility patterns in California using human mobility motif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94, 103117. https://doi.org/10.1016/j.jtrangeo.2021.103117
  28. Thill, J.-C., 1992, Choice set formation for destination choice modelling,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6, pp.361-382. https://doi.org/10.1177/030913259201600303
  29. Van Wee, B., 2011, Transport and ethics: ethics and the evaluation of transport policies and projects,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30. Wang, F., 2000, Modeling commuting patterns in Chicago in a GIS environment: A job accessibility perspective, 「The Professional Geographer」, 52(1), pp.120-133. https://doi.org/10.1111/0033-0124.00210
  31. Zhong, C., Batty, M., Manley, E., Wang, J., Wang, Z., Chen, F., & Schmitt, G., 2016, Variability in regularity: Mining temporal mobility patterns in London, Singapore and Beijing using smart-card data. 「PLoS ONE」, 11(2), 149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