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undamental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Properties by Detail Type of Archival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Heritage of Korea

건조물 문화재 기록정보의 유형 구분 기준과 세부유형별 속성에 관한 기초 연구

  • Received : 2020.02.14
  • Accepted : 2020.05.1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istinguish categories of archival information and identify properties by their detail types, so that the various forms of architectural heritage information generated can be managed based on their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First, the specific uses of terms in the legal system were reviewed and their associated concepts specifically defined. "Architectural heritage" was defined as architecture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designated by law, and "architectural heritage archival information" was defined as all kinds of material expressed by electronic processing of the actual statu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Next, the production status of architectural heritage archival information was reviewed in relation to the legal system. This confirmed that relevant legal systems were organized hierarchically and that various types of archival information were generated in a single projec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even archival information produced in the same form contained differing contents depending on the specific purpose and method, and that there was no classification by which to cover all archival information.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detailed drawing types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oduction and the target of the reco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the type and properties of archival information were presented as the primary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archival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6 general types and 27 detailed types. Specifically, the linguistic form, dimension, temporal property, and graphic form of archival information were applied as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general types, and the target, production purpose, production method of archival information,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archival information properties of archival information by type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본 논문은 건조물 문화재를 대상으로 생산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그 속성을 토대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정보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기본 속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건조물 문화재와 기록정보라는 용어의 구체적인 사용 현황을 법제도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 건조물 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의 기본 정의를 준용하여 '법적으로 지정된 유형문화재 중의 건조물'로 정의하였고, 건조물 문화재의 기록정보는 '문화재 보존·관리를 위하여 건조물 문화재의 실증적 현황을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하여 표현한 모든 종류의 자료'로 정의하여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물 문화재 기록정보의 생산 현황을 법제도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관련된 법제도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과 단일 사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록정보가 복합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현황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동일한 형태로 생산되는 기록정보일지라도 생산 목적과 방법에 따라 상이한 내용과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과 모든 기록정보를 포괄할 수 있는 분류가 부재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정보 중 도면은 생산 목적 및 구체적 대상에 따라 세부유형이 구분되고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기록정보의 형식과 속성을 일차적인 기준으로 적용하여, 건조물 문화재의 기록정보를 6개의 유형과 27개의 세부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정보의 언어적 형태, 차원, 시간적 속성, 그래픽 형식을 유형 구분을 위한 기준으로 적용하고, 유형별로 기록정보의 속성으로서 기록정보의 대상, 기록정보의 생산 목적, 기록정보의 생산 방식, 기록정보에 포함된 내용의 성격 및 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3. 공공기록물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4.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5. 국가정보화 기본법
  6. 문화재보호법
  7.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8.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
  9.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10.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11.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12. 전자정부법
  13. 형법
  14.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 (문화재청예규 제159호)
  15. 국가지정문화재 관리단체 업무지침 (문화재청훈령 제514호)
  16.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정기조사 운영 지침 (문화재청훈령 제453호)
  17. 국내외 소재 중요 문화재의 긴급매입에 관한 예규 (문화재청예규 제197호)
  18.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의 보존.관리 규정 (문화재청훈령 제478호)
  19. 궁.능 건조물 보존.관리 규정 (궁능유적본부훈령 제4호)
  20. 문화유산 아카이브 수집 및 활용 규정 (문화재청훈령 제467호)
  21. 문화재 기록화사업 관리 및 활용에 관한 규정 (문화재청훈령 제291호)
  22. 문화재보호구역 등의 적정성검토에 관한 지침 (문화재청훈령 제423호)
  23. 문화재 비상주감리 업무수행지침 (문화재청고시 제2019-25호)
  24. 문화재 상주감리 업무수행지침 (문화재청고시 제2019-24호)
  25.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업무지침 (문화재청고시 제2016-8호)
  26. 문화재수리 설계도서 작성기준 (문화재청고시 제2016-116호)
  27. 문화재 책임감리 업무수행지침 (문화재청고시 제2019-15호)
  28. 문화재청 간행물 관리 지침 (문화재청훈령 제440호)
  29. 문화재청 기록물관리 및 기록관 운영규정 (문화재청훈령 제446호)
  30. 중요민속문화재(건조물) 지정명칭 부여 지침 (문화재청예규 제171호)
  31.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공공건축의 정의와 유형 연구
  3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석조문화재 실측조사 기술연구-석탑
  33. 문화재청, 2008, 궁.능문화재수리 업무 매뉴얼
  34. 문화재청, 2016, 문화재 3차원 스캔데이터 표준 제작 매뉴얼
  35. 문화재청, 2018, 2018 문화재연감
  36. 문화재청, 2018, 문화유산 3차원 스캔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
  37. 문화재청, 2018, 문화재관계법령집
  38. 문화재청, 2019, 2019 문화재연감, pp.330-348
  39. (사)호연문화재연구원, 2014,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정밀실측 지침, 문화재청
  40. (사)호연문화재연구원, 2017, 문화재수리 보고서 유형별 작성 예시, 문화재청
  41. (재)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16, 문화재 지정.분류체계 개선 기초연구, 문화재청
  42. (재)한헤리티지센터, 2019, 건조물 문화재 데이터세트 구성 연구, 문화재청, pp.39-51, 55-64, 128-141
  43. (재)한헤리티지센터, 2019, 문화유산 기록자원 DB구축; 문화재기록물의 관리.활용체계 개선방안 연구, 문화재청
  44. 김일태 외, 2008, 만화애니메이션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4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한글글꼴용어사전
  46.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 2011, 컴퓨터인터넷IT용어사전, 일진사
  47. 현암사 편집부, 2016, 법률용어사전, 현암사
  48. 강현, 2016.02, 건축문화재의 원형 개념과 보존의 관계, 문화재, 제49권제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49. 전봉희.우동선.이우종, 2004.03,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0권제3호, 대한건축학회
  50. 주상훈, 2018.10, 건축 문화재 용어의 법제도적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7권제5호, 건축역사학회
  51. 경상북도 청도군, 2019, 청도 운문사 국가지정문화재 (3개소) 정밀실측사업 과업지시서
  52.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2018.03., 2018년 경희궁 흥화문 등 4개소 정밀실측조사 및 보고서 발간 용역 과업지시서
  53. 합천군 문화예술과, 2019. 05., 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정밀실측조사 용역 과업지시서
  54.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55.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56. 네이버 국어사전 홈페이지, https://ko.dict.naver.com
  57. 두산백과 홈페이지, http://www.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