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성 삼덕리유적 출토 적색마연토기의 제작 특성 연구

Resarch 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Red-Burnished Pottery Excavated from Samdeok-ri, Goseong, Korea

  • 한이현 ((재)한울문화재연구원) ;
  • 김수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진홍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Han, Leehyeon (HanU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uk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in, Hongj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ang, Sungyoo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0.09.07
  • 심사 : 2020.11.03
  • 발행 : 2020.12.30

초록

고성 삼덕리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묘역식 지석묘와 석관묘가 발굴되었으며 적색마연토기, 석촉, 석검 등의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고성 삼덕리유적에서 출토된 적색마연토기는 약 50~160㎛ 두께의 안료층이 남아 있으나 대다수의 토기 표면에서 안료층의 박리, 박락현상이 관찰되었다. 적색마연토기의 태토는 중립의 석영, 장석, 각섬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철산화물의 불투명 광물도 확인되었다. 6호 석관묘에서 출토된 적색마연토기는 비짐으로 각섬석, 장석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다른 무덤에 부장된 적색마연토기와 차이를 보였다. 적색 안료는 태토와 유사한 광물 조성을 보이고 있으나 적철석(hematite)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고, 미립의 석영, 장석, 각섬석 등이 관찰되었다. 광물 조성으로 볼 때 소성 온도는 900℃ 내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덕리 일대 3km 이내에는 장석과 각섬석이 우세한 섬록암과 화강섬록암이 노출된 지역이 확인되므로 이 일대에서 토기 제작을 위한 원료를 채취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적색마연토기는 성형 후 안료를 물에 풀어서 토기 전면에 채색한 후 마연 기법으로 마무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태토와 안료층의 소결 상태를 고려할 때 채색 후 소성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성형-반건조-채색-마연'의 과정을 거친 후 소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토기에 도포하는 안료의 농도, 채색 시점과 방법에 따라 적색마연토기의 표면과 단면 상태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삼덕리유적 토기들은 안료층과 태토층이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나 안료가 태토층에 스며들어가 안료와 태토가 뚜렷이 구분되지 않는 토기편도 관찰되었다. 이는 미립질의 안료가 묽은 농도로 도포되었거나 성형 직후 도포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대부분의 적색마연토기에서는 안료층의 박락과 마모현상이 관찰되었고 안료층이 일부만 잔존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안료를 도포하고 마연 처리한 토기에서 마모에 의한 손상이 더 쉽게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어 삼덕리유적 적색마연토기도 매장 환경에서 풍화에 의해 마모와 박락이 진행된 것으로 생각되며, 매장주체부 출토품보다 고분 외곽에 뿌려진 잔편에서 이러한 손상이 가속화되어 나타났다.

Dolmens bearing the burial layout and stone coffin tombs of the late Bronze Age were excavated from Samdeok-ri, Goseong, Gyeonsangnsamdo, and grave items such as red-burnished pottery, arrowheads, and stone swords were also discovered. In the case of the red-burnished pottery that was found, it retains a pigment layer with a thickness of about 50 to 160㎛, but with most of the other items, exfoliation and peeling-off of pigment layers can be observed on the surface. The raw materials of the red-burnished pottery contained moderately sorted minerals such as quartz, feldspar, and hornblende, and partly opaque iron oxide minerals were also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raw materials of the red-burnished pottery from stone coffin tomb #6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ther pottery, containing large amounts of hornblende and feldspar. The pottery's red pigment was identified as hematite and showed similar mineral content of raw materials such as fine grained quartz, feldspar, and hornblende. The firing temperature is estimated to have been approximately 900℃, based on their mineral phase. The possibility exists that the raw materials had been collected from the Samdeok-ri area, because diorite and granite diorite with dominant feldspar and hornblende have been identified within 3km of that area. During the pottery manufacturing process, it is estimated that the pigment was pai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red-burnished pottery after it had been molded and then finished using the abrasion technique. In other words, the red-burnished pottery was made by the process of vessel forming - semi drying - coloring - polishing.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potter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pigment and the coloring method used after vessels were formed. Most of the excavated pottery features a distinct boundary between pigment and body fabric. However, in the case of pottery in which fine-grained pigments penetrate the body fabric so that layers cannot be distinguished,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fine-grained pigment layer was applied at a low concentration or immediately after vessel forming. Many cracks can be seen on the surface pigments in thickly painted pottery items, and in many case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pigment layers remain due to surface exfoliation and abrasion in the burial environment. It is reported that pottery items may be more easily damaged by abrasion if coated with pigment and polished, so it is believed that the red-burnished pottery of the Samdeok-ri site suffered from weathering in the burial environment. This damage was more extensive in the potsherds that were scattered outside the tomb.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남발전연구원, 2010, 청동기시대 후기문화 경남의 청동기시대 문화, 경남발전연구원, pp.38-103
  2. 국립김해박물관, 2019, 보도자료 - 신석기시대 사람들도 '옻'에 올랐을까(2019. 12. 11.)
  3. 김은정.정다운.조사라, 2019, 한반도 고대토기 생산기술의 복원연구-태국 북부지역 민족지사례 비교연구를 통해 야외고고학제35호, pp.65-92
  4. 남상원.김수경, 2014,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연구 백제학보 12권 12호, pp.5-30
  5. 박노영.지정만, 1963, 진동리 지질도폭설명서(1:50,000) 한국지질도, 국립지질조사소, pp.9-18
  6. 宋永鎭, 2006, 韓半島 南部地域의 赤色磨硏土器 硏究, 嶺南考古學 38호, 영남고고학회, pp.27-62
  7. 신경숙.오민미, 2010,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마연토기의 제작복원 야외고고학 제8호, pp.35-80
  8. 任鶴鐘, 1999, 新石器時代 朱漆土器 三例 考古學誌 第10輯, 韓國考古美術硏究所, 국립중앙박물관, pp.5-17
  9. 任鶴鐘, 紅陶의 成形과 燒成 實驗, 2012, 大東文化財硏究院
  10. 임학종.유혜선.장성윤, 2000, 신석기시대 주칠토기의 과학적 분석 고고학지 제11집, pp.39-63
  11. 장성윤.문희수.이기길.이찬희, 2009, 영광 군동.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25권1호, pp.101-114
  12. 조대연, 2011,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출토 토기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대한토지주택공사, pp.320-333
  13. 조현종.양삼렬, 1998, 송국리유적의 토기분석 신암리 I, 국립중앙박물관, pp.118-119
  14. 최몽룡.신숙정.이동영, 1998, 남한강유역 홍도의 과학적 분석-청동기시대 붉은간토기의 제작수법에 대하여- 국사관논총제82집, pp.1-45
  15. (재)한울문화재연구원, 2018, 고성 삼덕리유적, pp.49-248
  16. 한재욱, 2010, 강원지역 출토 적색마연토기의 재료학적 특성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北野博司.山本孝文譯, 2007, 土器野外燒成技術에 대한 實驗考古學的 硏究의 발자취 土器燒成의 考古學, 한국고고환경연구소, pp.55-86
  18. 庄田愼矢, 2006, 靑銅器時代土器燒成技法의實證的硏究 湖南考古學報23, pp.115-138
  19. De Bonis, A., Cultrone, G., Grifa, C., Langella, A., Leonem A.P., Mercurio, M., Morra, V., 2017, 'Differenct shades of red: The complexity of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olour of ceramics'. Ceramics International 43, pp.8065-8074 https://doi.org/10.1016/j.ceramint.2017.03.127
  20. Nodari, L, Marcuz, E., Maritan, L., Mazzoli, C., Russo, U., 2007, 'Hematite nucleation and growth in the firing of carbonate-rich clay for pottery production'. Journal of European Ceramic Society 27, pp.4665-4673 https://doi.org/10.1016/j.jeurceramsoc.2007.03.031
  21. Skibo, J.M., Butts, T.C., Schffer, M.B., 1997, 'Ceramics surface treatment and abrasion resistance: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4, pp.311-317 https://doi.org/10.1006/jasc.199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