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Garden and Restoration Proposal for the Original Garden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in Gapyeong

가평 이천보(李天輔) 고가(古家)의 정원 현황과 원형 복원을 위한 제안

  • Received : 2020.08.25
  • Accepted : 2020.11.01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It is not uncommon in Korea to se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garden remain intact as well as its form. Yi Cheon-bo's Historic House (Gyeonggi-do Cultural Heritage Item No. 55), located in Sang-myeon, Gapyeong-gun, Gyeonggi-do, is considered an example of very valuable garden heritage, although its family history, location, and remaining buildings and natural cultural assets are not fully intact. Along with Yi Cheon-bo's Historic Hous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the forest houses and gardens by highlighting the high value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through research into the typical layout of private household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Gapyeong County, comparative review of aerial photographs from 1954, and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the presence of Banggye-dongmun and Bansukam in the Banggyecheon area, where the location of the garden was well-preserved, was examined across the landscape of the outer garden, while the location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the appearance of feng shui, and the viewing axis were considered. Also, the appearance of the lost main house was inferred from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Sarangchae and Haengrangchae that remain in the original garden, and the asymmetry of the Sarangchae Numaru and the hapgak shape on the side of the roof. In addition, the three tablets (Pyeonaeks) of Sanggodang (尙古堂), Bangyejeongsa (磻溪精舍), and Okgyeongsanbang (玉聲山房) were used to infer the landscape, use, and symbolism of the men's quarters. Also,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rees that existed or existed in the high prices. Incidentally,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on boards and cultural properties of Yeonha-ri juniper (Gyeonggi-do Monument No. 61) was recorded to a much lesser extent than the actual required standard, and the juniper trees remaining in the front of Haengrangchae should also be re-evaluated after specul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original shape as a way of pursuing completeness of the garden through restoration of the lost women's quarters and shrine, it is estimated that the main house was placed in the form of a '口' or a 'be warped 口' on the right (north) side of the men's quarters. By synthesizing these results, a restoration alternative for Yi Cheon-bo's Historic House was suggested.

우리나라 사대부 민가 정원 중 그 형태는 물론 정원의 구조와 기능 등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이천보 고가(경기도문화재자료 제55호)는 명문가로서의 내력이나 장소성 그리고 잔존하는 건물과 자연문화재 등의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정원 유산으로 판단되지만, 현재는 사랑채를 제외하고는 그 진가를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천보 고가를 비롯하여 경기 북부와 가평군 관내 민가 정원의 배치 양식 등을 문헌 연구, 현장 연구, 1954년 항공사진 비교 검토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천보 고가의 가치를 조명하고, 이천보 고가의 정원 원형을 추론하는 등 산림채와 정원 복원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원의 장소성이 그나마 잘 보존된 반계천 일대의 반계동문(磻溪洞門) 암각서와 반석암의 존재를 통해 외원의 영역과 경관상을 살피고 이천보 고가의 입지 및 풍수 형국 그리고 조망축을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랑채에 걸린 상고당(尙古堂), 반계정사(磻溪精舍) 그리고 옥경산방(玉聲山房) 3개의 편액을 통해 사랑채의 경관성과 용도 및 상징성을 추론하였다. 더불어 내원에 현존하거나 존재했던 수목에 대해서는 실측 조사를 병행한 결과, 연하리향나무(경기도기념물 제61호)는 안내판이나 문화재 정보 등의 실제 규격보다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행랑채 전면에 잔존하는 향나무 또한 제원 조사 후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원에 남아 있는 사랑채와 이전된 행랑채의 배치와 형태 그리고 사랑채 누마루와 지붕 측면부 합각 형태의 비대칭성 등을 통해 소실된 안채의 모습을 유추하였다. 또한 소실된 안채 및 사당 등의 복원을 통해 정원의 완전성을 추구할 목적으로 원래 모습을 추정한 결과, 안채는 사랑채 우측(북쪽)에 '구(口)자' 또는 '튼구(口)자'형태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천보 고가에 대한 복원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가평읍지(加平邑誌)
  2. 朝鮮王朝實錄 英祖實錄 97권, 영조 37년 1월 5일 乙巳 3번째 기사 1761년 청 乾隆 26년 영중추부사 이천보의 졸기
  3. 강인애, 2004, 전통주택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강인애.신상섭, 2005, 전통주택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pp.55-67
  5. 경기도.가평군, 2009, 경기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이천보 고가
  6. 경기문화재단, 2005, 경기도건축문화유산, 제2권 전통민가편
  7. 김영완, 2005, 경기 지역 ㄱ자형 안채의 평면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철범, 2008, 小訥 盧相稷의 저술 및 문헌출간활동: 구한말 영남 지식인의 지식소통의 공간과 방식, 동양한문학연구 제27집: pp.191-209 https://doi.org/10.35374/DYHA.27.27.200808.007
  9. 김현영, 1991, 조선후기 사족의 촌락지배: 남원 둔덕방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Vol.12, pp.249-320
  10. 남연화.윤영활, 2004, 전통민가의 채 구성과 원림 보존에 관한 연구: 지정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pp.1-14
  11. 노재현.신상섭.조찬문(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임실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pp.11-23
  12. 문화재관리국, 1985, 문화재대관
  13. 민아람.이지현, 2019, 조선시대 민간 정원의 공간구성과 지리환경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디자인리서치, 4(2), pp.64-76
  14. 신상섭, 1991, 전통주거의 외부경관 구성체계에 관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유지아, 2001, 경기도지방의 전통민가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지아.박언곤, 2000, 한강 남.북지역의 현존 민가평면형식에 관한 비교 연구: 1900년 전후 경기지역에 건축된 민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계획계 논문집. 20(1), pp.337-340
  17. 윤일이, 2010, 한국의 사랑채. 부산 산지니, p.12
  18. 정종수, 2002, 문화재조경의 실태, 한국정원학회지 20(3), p.120
  19. 조성기, 2006, 한국의 민가. 파주 한울 아카데미, p.209
  20. 최성호, 2004, 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 전우문화사
  21. 한지만.이상해, 2001, 경기지역 민가의 배치형식과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17(9), pp.201-210
  22. http://encykorea.aks.ac.kr(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3. http://kostma.aks.ac.kr(한국학자료센터)
  24. http://map.ngii.go.kr(국토지리원)
  25. http://munhwa.ikhani.co.kr/(문화일보)
  26. http://people. aks.ac.kr(한국 역대 인물 종합정보시스템)
  27. http://www.gpc.or.kr/(가평문화원)
  28. http://www.jutek.kr/print/print.do?bbs_num=723(주택저널)
  29. https://cafe.naver.com/pungsoo/3626
  30. https://map.kakao.com(다음 카카오맵)

Cited by

  1. 조선 후기 민가 정원 쌍산재의 조영과 변화 과정 vol.39, pp.2, 2020,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