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확산과정과 특성

Develop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ation of Area-Based Heritage Sites in Japan

  • 성원석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 강동진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Sung, Wonseok (General Graduate School,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 Kyungsung University) ;
  • Kang, Dongjin (Dept. of Urban Planning and Eng., Kyungsung University)
  • 투고 : 2020.06.30
  • 심사 : 2020.10.20
  • 발행 : 2020.12.30

초록

우리나라의 면형 유산 보존제도는 1984년 제정된 「전통건조물보존법」이 시효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1996년에 폐지되었다. 일본은 1960년대 고도(古都)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66년 「고도보존법」을 제정하고 '역사적풍토보존지역'과 '역사적풍토특별보존지구'를 도입하였다. 면형 유산의 보존을 위해서는 1975년 「문화재보호법」의 개정과 함께 도입된 '중요전통적건조물군보존지구' 제도가 시초이다. 이후 2000년대 초반 면형 유산의 보존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유산과 유산 사이의 공간과 맥락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중요문화적경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또한 일본의 근대화와 관련된 각종 물적·비물적 자원을 포괄하는 '근대화산업유산군33'이 2007년에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역사적 가치를 가진 지역 풍경을 보호하기 위한 '아름다운일본의역사적풍토100선'이 선정되었다. 이후 2015년에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유·무형 유산을 통합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한 '일본유산' 제도가, 2016년에는 사라져 가는 농수산업의 계승과 육성을 위한 '일본농업유산', 2017년에는 20세기 일본의 근현대 기술의 증거물인 '20세기유산'까지 제도의 확산 과정을 이루었다. 결과적으로, 현재(2020년 9월) '역사적풍토보존지역'과 '역사적풍토특별보존지구'가 30개소와 60개소, '중요전통적건조물군보존지구' 120개소, '중요문화적경관' 65개소, '근대화산업유산군' 66개소, '아름다운일본의역사적풍토100선' 264개소, '일본유산' 104개소, '일본농업유산' 15개소가 지정되었다. 이러한 상황 인식 속에서, 1976년 이후 순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일본의 면형 유산 보존제도 전반의 특성 추출을 기본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를 조사하고 연구범위를 설정한다. 둘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확산과정을 조사하고, 제도 발전에 따른 제도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관계성 및 특성과 관련된 내용의 구체화를 위해 대표 사례 3곳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표 사례가 가지는 특성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도출한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두드러진 특징은 매년 신규유산이 탄생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유산들 간의 중첩 현상이 발생하며, 면형 유산의 보존은 물론 전통 산업, 문화 관광 등 연관 산업의 활성화와 지역 정체성의 강화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현재 우리나라가 시행하고 있는 '근대역사문화공간' 제도의 활성화에 시사점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uth Korea's area-based heritage preservation system originates from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Buildings Act" enacted in 1984. However, this system was abolished in 1996. As there was a need for protection of ancient cities in the 1960s, Japan enacted the Historic City Preservation Act in 1966, and 'Preservation Areas for Historic Landscapes' and 'Special Preservation Districts for Historic Landscapes' were introduced. For the preservation of area-based heritage sites, the 'Important Preservation Districts for Groups of Traditional Buildings' system introduced as part of the re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75 was the beginning. Then, in the early-2000s, discussions on the preservation of area-based heritage sites began in earnest, and the 'Important Cultural Landscape' system was introduced for protection of the space and context between heritage sites. Also, '33 Groups of Modernization Industry Heritage Sites' were designated in 2007, covering various material and immaterial resources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of Japan, and '100 Beautiful Historic Landscapes of Japan' were selected for protection of local landscapes with historic value in the same year. In 2015, the "Japanese Heritage"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integra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aspects located in specific areas; in 2016, the "Japanes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succession and fostering of the disappearing agriculture and fishery industries; and in 2017, "the 20th Century Heritage," was established, representing evide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ese technologies in the 20th century. As a result, presently (in September 2020), 30 'Historic Landscape Preservation Areas', 60 'Historic Landscape Special Districts,' 120 'Important Preservation Districts for Groups of Traditional Buildings," 65 'Important Cultural Landscapes,' 66 'Groups of Modernization Industry Heritage Sites,' 264 "100 Beautiful Historic Landscapes of Japan,' 104 'Japanese Heritage Sites,' and 15 'Japanese Agricultural Heritage Sites' have been designated. According to this perception of situations, the research process for this study with its basic purpose of extract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apan's area-based heritage preservation system, has sequentially spread since 1976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Japan's area-based heritage site preservation system and sets the scope of research through discussions of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the spread of the area-based heritage site preservation system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in order to draw upon their characteristics. Third, to concretize content related to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olves in-depth analysis of thre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sums them up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area-based heritage system. A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Japan's area-based heritage site preservation system drawn from this is that new heritage sites are born each year. Consequently, an overlapping phenomenon takes place between heritage sites, and such phenomena occur alongside revitalization of related industries, traditional industry, and cultural tourism and the improvement of localities as well as the preservation of area-based heritag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as sugges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system implemented by South Korea.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20R1A2C2004566).

참고문헌

  1. 강동진, 1999. 근대역사환경 보전의 패러다임 모색,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4(1), p.136
  2. 강동진, 2000, 일본 전통마을의 유지.관리방법 분석 -쯔마고마을과 시라카와마을을 사례로-, 한국조경학회, 28(4), p.93
  3. 강동진, 최동식, 2002, 역사지구의 개념 확대와 정립을 위한 기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4), pp.41-58
  4. 강동진, 2009, 산업 업종별 산업유산의 자원체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3), pp.173-191
  5. 강태호, 2005, 고도보존법과 역사문화도시 보존, 한국전통조경학회, -(3), pp.13-15
  6. 김병완.김영재, 2020, 근대역사경관의 보존과 집단기억: 오타루시 산업유산경관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2), pp.36-37
  7. 조용기, 2007, 고도보존법의 한.일간 비교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2(2), p.215
  8. 오세탁, 1982, 문화재보호법연구-문화재향유권의 법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pp.114-115
  9. 이정선, 2019, 일본 문화유산의 연속적 활용에 관한 연구- '군마 실크유산'과 세계유산, 일본유산 사업을 중심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52(1), pp.199-200
  10. 정석, 2009, 역사문화환경의 면적 보전제도 도입방안,한국도시설계학회, 10(4), pp.236-237
  11. 조성태, 2006, 지방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역사문화경관 관리 방안 연구- 일본 가나자와(金沢市)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p.34
  12. 千歳壽一, 2002, 飫肥における重要伝統的建造物群保存地区の現状と問題, 地球環境研究, -(4), p.49
  13. 甘粕 健, 1973, 文化財保存運動, ヅュリス卜, 544(-), p.29
  14. 氏家祐二, 2002, 歴史と造船の地 : 長崎-三菱重工業(株) 長崎造船所-, 日本造船学会誌, 869(-), p.638
  15. 市川拓也, 2017, 日本遺産'で地域活性化!-世界遺産とは異なる"可能性-, 大和総硏調査李報, (-), pp.91-93
  16. 飯塚理恵, 2019, 形を変えて受け継がれる小樽のシンボル -小樽運河-, 建設コンサルタンツ協会誌, 282(-), pp.10-12
  17. 鈴木富之 외 3, 2007, 甲州市勝沼町における観光ぶどう農園とワイナリーの地域的特徴, 地域研究年報, 29(-), pp.64-65
  18. 鈴木晃志郎, 2010, メディア誘発型観光現象後の地域振興に向けた地元住民たちの取り組み--飫肥を事例として, 観光科学研究, 3(-), pp.34-35
  19. 국토연구원, 2007, 고도(古都) 보존을 위한 역사문화환경 관리방안
  20. 문화체육관광부, 2005, 역사문화경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
  2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서울/북경/동경의 역사문화보전정책
  22. 강동진, 2008, 빨간벽돌창고와 노란전차-산업유산으로 다시 살린 일본이야기, 비온후
  23. 国土交通省, 2010, 産業遺産を活用した広域連携及び様な主体の連携による地域活性化方策に関する調査
  24. 尹東孝, 2000, 日本の近代化遺産, 岩波新書
  25. 大川市, 2013, 議会 第5回定例会会議録, 大川市
  26. 甲州市, 2019, 甲州市農業ビジョン, 甲州市
  27. 문화재청, http://www.cha.go.kr/
  28. 유네스코, https://whc.unesco.org/
  29. 일본유산, https://japan-heritage.bunka.go.jp/
  30. 일본 법제처, https://www.e-gov.go.jp/
  31. 일본 문화청, https://www.bunka.go.jp/
  32. 일본 관광청, https://www.jnto.go.jp/
  33. 일본 국토교통성, https://www.meti.go.jp/
  34. 일본 농림수산성, https://www.maff.go.jp/
  35. 일본 고슈시, https://www.city.koshu.yamanashi.jp/
  36. 일본 니치난시, https://www.city.nichinan.lg.jp/
  37. 일본 아스카고도재단, http://www.asukabito.or.jp/
  38. 잠복나가사키크리스천 유산, http://kirishitan.jp/
  39. 츠마고를사랑하는모임, http://www.tumago.jp/
  40. 오타루저널, https://www.otaru-journal.com/
  41. 오타루 관광협회, https://otaru.gr.jp/
  42.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
  43. 아사히신문, https://www.asah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