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시대 기독교통일교육에 대한 보편적학습설계(UDL) 적용 제고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DL to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 투고 : 2020.08.27
  • 심사 : 2020.09.29
  • 발행 : 2020.09.30

초록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이제 다문화라는 사회적 변화를 마주하게 되었고 이를 통일의 '개념'과 통일을 준비하는 '주체'에 대한 확장된 성찰과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문화주의에 기반을 둔 통일교육이 새롭게 제시되기 시작했으며 기독교통일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제안을 반영하는 추세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새로운 접근에 대한 방향 제시 및 소개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실천에 대한 체계나 가이드라인은 미미하다. 파편적으로 나열되는 정보는 개념정립에 있어 혼란을 되레 야기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 방안의 결여는 곧 미미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에 새롭게 등장하는 기독교통일교육의 현주소를 살피고 구체화함으로써 개념에 대한 혼란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다문화시대에 적합한 기독교통일교육의 실천 방안을 보편적학습설계를 통해 소개함으로써 구체적인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다문화 시대에 요구되어지는 기독교통일교육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2) 다문화적 접근의 기독교통일교육의 획일화 및 확산에 있어 보편적학습설계의 새로운 접근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보편적학습설계가 다문화적 기독교통일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방법론인지 알아보고 보편적학습설계가 다문화 기독교통일교육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획일화에 도움을 주는 적절한 모델인지 알아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다문화 기독교통일교육과 UDL 모두 이질감을 '다름'으로 인정하고 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에 집중한다는 것과 보편적학습설계의 이론과 가이드라인이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융통적으로 적용될 때 다문화 기독교통일교육의 다양성이 체계 속에서 획일화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multiculturalism, appropriately demanding broadened view and access to the study of Unification, especially in terms of who should be the subject. In congruence, recent Unification Education studies are proposing values stressed in Multiculturalism to function as the core ground, upon which other traits and contents are to follow. Similarly, Christian Education field is also reflecting the recent trend, welcoming 'everyone' to participate in preparing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However, most studies consist of suggesting and introducing directions for new approaches, not so much of dealing with systems or guidelines for practical practices. Information provided in fragments can rather cause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lack of specific guidelines can soon lead to poor performances. In this stud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s introduced as a methodology to be examined, whether it could effectively embody and systemize the newly emerged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generalize the concept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troduced in the multicultural era and 2) examine whether UDL is suitable for uniformizing and spreading the Multicultural approach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y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UDL is a suitable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hile uniformizing the diversities within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 thorough research, it was proved that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UDL in that both focus on accepting heterogeneity as something "different" rather than something "wrong." Also,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and guidelines of UDL can effectively unify while respecting the diverse methodologies used in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승철 (2010). 보편적 교수 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3(4), 1-29.
  2. 김남진.김용욱 (2017). 보편적 학습설계(UDL)와 차별화 교수의 관계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8(4), 157-182.
  3. 김용성.이학준.오재분.윤정하 (2019). 뇌 과학 이론에 기초한 보편적 학습설계 표상의 원리 및 교수 전략 탐색.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0(2) 391-425.
  4. 노석준 (2012). 접근 가능한 WBI설계.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원리로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의 적용 가능석 탐색. 한국교육포럼, 11(1), 97-125.
  5. 민정하 (2012). 공공신학에 기초한 다문화기독교통일교육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서울.
  6. 박미라 (2011). 다문화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 학생교육: 기독교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7, 243-270.
  7. 박성춘 (2016).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서울: 양서원.
  8. 배찬효.정동영 (2013). 보편적 학습 설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6(1), 45-67.
  9. 배한동 (2009). 새로운 통일교육론.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0. 송진숙 (2016).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다문화 여가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제고. 호텔리조트연구, 15(1), 113-129.
  11. 안미리 (2012). 21세기 교육을 위한 보편적 교수-학습전략 : Barrier Free and Border Free. 한국 교육시설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38.
  12. 양금희 (2016).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는 교회의 기독교 통일교육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46, 231-263.
  13. 유재덕 (2015). 기독교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색: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42, 241-270.
  14. 윤응진 (2012). 기독교통일교육은 평화교육이어야 한다. 기독교교육논총, 29, 25-56.
  15. 이가현 (2015). 삼위일체와 평화의 원리에 따른 기독교통일교육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서울.
  16. 이재열.조병희.장덕진.유명순.우명숙.서형준 (2014). 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국제비교. 한국사회정책, 21(2), 113-149. https://doi.org/10.17000/KSPR.21.2.201406.113
  17. 이제헌 (2014).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평화지향적 통일교육 방안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포항.
  18. 이학준.권순우.김용성 (2018). 청각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 보편적 학습설계(UDL) 원리 중심의 논의.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4), 283-300.
  19. 이학준.김용성.권순우.이선영 (2019). 온전한 통합교육: 마음의 소통과 보편적 학습설계.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0(2), 377-389.
  20. 이현우.한상진 (2107). 기독교적 남북통일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한 방향성 연구. 대학과 선교, (33), 153-177.
  21. 임창호 (2017). 한국교회 통일교육의 시스템화 가능성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51, 11-40.
  22. 정연주 (2015). 다문화적 접근에 기초한 기독교 청소년 통일 교육연구.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23. 조만준 (2017).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다문화와 평화, 11(3), 179-195.
  24. 조정아 (2007).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통일연구원, 16(2), 285-306.
  25. 최윤철 (2016). 통일 국민과 이주자의 사회통합. 통일인문학, 66, 49-83.
  26. 통계청 (2018). 국적 지역 및 체류자격별 체류외국인 현황.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에서 2020.06.08.인출.
  27. 황윤자.박현미.안미리 (2014). 사이버대학 이러닝 콘텐츠의 보편적 학습설계 현황과 개선방안, 평생학습사회, 10(2), 125-153.
  28. CAST (2008). UDL Editions. 2020.06.08 http://www.cast.org에서 인출.
  29. CAST (2011). UDL guidelines-version 2.0. 2020.06.08 http://www.udlcenter.org에서인출.
  30. Rose, D. H., Meyer, A., & Chuck. H. (2010). 보편적 학습설계. 접근 가능한 교육과정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안미리.노석준.김성남 역.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원저 2004 출판)
  31. Hall, T. E., Meyer, A., & Rose, D. H. (2012).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 Martiniello, M. (2008).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윤진 역. 파주: 한울아카데미. (원저 1997 출판)
  33. Meyer, A., Rose, D. H., & Gordon, D. (2014).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ory & practice. Wakefield: CAST Professional Publishing.
  34. Rose, D.H., & Meyer, A. (2002).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lexande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