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ristian Peace Education to strengthen Peace Capabilities

평화역량을 강화하는 기독교 평화교육

  • Received : 2020.08.27
  • Accepted : 2020.09.2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request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Globalization increases interdependence and unifies the global econom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s. The world is currently experiencing a period of unlimited competition without borders. Globalization has promoted growth and development, but has also caused problems. In the face of this absence of pea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peace and peace education can serve as a way to overcome the challenges facing modern society and to meet people's desire for peace. It examines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absence of peace due to problem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of peace and peace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fter that, the concept of Christian peace requir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peace capability to be strengthened in peace education will be presented, and how to proceed. The christian peace education model strengthens students' peace capabilities which can be used to build a peaceful future world. The purpose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s to develop a peaceful relationship with oneself, others, the world, and the environment. The goal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is to cultivate peaceful human beings by strengthening their peace capabilities, namely peace sensitiv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peace imagination.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at it presented an christian peace christian education model that strengthens learners' peace capabilities through a biblical and theological approach in the face of non-peaceful situations arising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 요청되는 기독교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정보통신 및 교통체계의 혁신적 발전으로 인해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세계경제가 단일화 되어가며 국경 없는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하였다. 세계화로 인하여 다양한 면에서 개발과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그에 따른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세계화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 양극화 현상, 다문화 상황, 환경의 위기는 평화 부재의 상황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을 마주하면서, 현대사회의 평화에 대한 도전과 요청에 기독교의 평화 이해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그 대안으로 기독교 평화교육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계화의 개념과 세계화 시대의 문제점으로 인한 평화 부재의 상황들을 살펴보고, 특히 기독교의 영역에서 바라보는 '평화'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 후, 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기독교 평화 개념과 평화교육에서 강화해야 할 평화역량을 제시하며 어떻게 진행해나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평화로운 미래 사회의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평화역량을 강화하는 기독교 평화교육의 목적은 자신, 타인, 세계 그리고 환경과의 평화로운 관계맺음을 지향하는 것이고, 교육 목표는 평화역량 즉, 평화감수성, 비폭력 의사소통, 평화 상상력을 강화하여 평화적 인간을 양성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교육의 분야에서 세계화 시대의 비평화적 상황들을 마주하는 가운데 평화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기독교 평화 개념을 재조명하고 평화역량을 강화하는 기독교 평화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수 편 (2007). 평화와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 김현숙 (2000). 후기 현대 사회와 기독교적 자아 정체감. 신학논단, 28, 283-303.
  3. 노희정 (2018). 한반도 평화시대를 위한 초등 통일교육의 방향. 초등도덕교육, 62, 193-213.
  4. 세계교회협의회 (2013). 정의로운 평화 동행.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5. 우한용 (1998). 상상력의 작동구조와 상상력의 교육. 국어교육, 97, 67-90.
  6. 유영권 (2015). 한국교회의 소통과 공감 능력에 대한 분석과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42, 47-71.
  7. 이강국 (2007). 가난에 빠진 세계. 서울: 책세상.
  8. 이삼열 (2003).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파주: 한울.
  9. 이인정 (2019).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62, 1-24.
  10. 이재기 (2004). 세계화.WTO.FTA 포커스. 서울:한올출판사.
  11. 이주명 (2005).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 서울: 필명.
  12. 장신근 (2007). 공적실천신학과 세계화 시대의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3. Allemand, S. & Ruano-Borbolan, J. (2007). 세계화: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의 숭리인가. 김태훈 역.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원저 2002 출판)
  14. Beck, U. (2000). 지구화의 길. 조만영 역. 서울: 거름. (원저 1997 출판)
  15. Bonhoeffer, D. (2010). 나를 따르라. 손규태.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37 출판)
  16. Bonhoeffer, D. (2010). 윤리학. 손규태.이신건.오성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49 출판)
  17. Casey, E. S. (1976). Imagining: A phenomenological study. 2nd ed. Bloomington &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8. Collins, C. (2012). 왜 세계는 불평등한가. 이상규 역. 서울: 이상. (원저 22012 출판)
  19. Giddens, A. (1998). 제3의 길. 한상진.박찬욱 역. 서울: 생각의 나무. (원저 1998 출판)
  20. Giddens, A. (2006). Sociology. 5th ed. Cambridge: Polity Press.
  21. Group of Lisbon. (2000). 경쟁의 한계. 채수환 역. 서울: 바다출판사. (원저 1995 출판)
  22. Habermas, J. (1979).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trans. Thomas McCarthy. Boston: Bencon Press.
  23. Harris, I. M. & Morrison, M. L. (2011). 평화교육. 박정원 역. 서울: 오름. (원저 1988 출판)
  24. Hoffman, M. L. (1981). Is altruism part of human natur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1), 121-137. https://doi.org/10.1037/0022-3514.40.1.121
  25. Huber, W. & Reuter, H. (1997). 평화윤리. 김윤옥.손규태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90 출판)
  26. Immel, K. (2009).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서정일 역. 서울: 현실문화연구. (원저 2007 출판)
  27. Jenkins, T. (2013). The transformative imperative: The national peace academy as an emergent framework for comprehensive peace education. Peace Education, 10(2), 172-196. https://doi.org/10.1080/17400201.2013.790251
  28. Johnson, M. (2008). 도덕적 상상력. 노양진 역. 파주: 서광사. (원저 1992 출판)
  29. Kincheloe, J. L. (2004). 버거의 상징: 맥도날드와 문화권력. 성기완 역. 서울: 아침이슬. (원저 2002 출판)
  30. Lederach, J. P. (2005). The moral imagin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Liedke, G. (1986).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기독교사상, 30(12), 140-148.
  32. Martin, H. & Schumann, H. (2003). 세계화의 덫. 강수돌 역. 서울: 영림카디널. (원저 1996 출판)
  33. Mittelman, J. H. (2000). The globalization syndrome: Transformation and resistan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Moltmann, J. (2014). 사랑과 정의의 하나님. 김균진 역. 부천: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35. Moltmann, J. (1990). 정의가 미래를 창조한다. 안명옥 역. 왜관: 분도출판사. (원저 1989 출판)
  36. Moltmann, J. (2017). 희망의 윤리. 곽혜원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2010 출판)
  37. Niebuhr, R. (1963). The responsible self. New York: Harper & Row.
  38.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 moral educ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Noddings, N. (2002). 배려교육론. 추병완.박병춘.황인표 역. 서울: 다른우리. (원저 1992 출판)
  40. Nussbaum, M. C. (2011).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Cambridge, Mas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1. Osmer, R. R. & Schweitzer, F. L. (2005). 공적 신앙과 실천신학. 연세기독교교육학포럼 역.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원저 2003 출판)
  42. Peters, R. T. (2004). In search of the good life: The ethics of globalization. New York: Continuum.
  43. Robertson, R. (1992). Globaliza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44. Russell, L. M. (2009). Just hospitality.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5. Stotts, J. L. (1973). Shalom: The search for a peaceable city. Nashville: Abingdon Press.
  46. Volf, M. (2012). 배제와 포용. 박세혁 역. 서울: IVP. (원저 1996 출판)
  47. Vygotskii, L. S. (2014). 상상과 창조. 비고츠키 연구회 역. 서울: 살림터. (원저 1930 출판)
  48. Wengst, K. (1987). Pax romana and the peace of Jesus Christ. London: SCM.
  49. Wink, W. (1992). Engaging the powers. Minneapolis: Fortress Press.
  50. Wolterstorff, N. (2007).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출 때까지. 홍병룡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원저 1983 출판)
  51. Wulf, C. (2013). Human development in a globalized world, education towards peace, cultural divers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vista Espanola de Pedagogia, 71(254), 7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