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students and parents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economic power on prior learning and that the environments of internet-based society change rapidly, it is worth examining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prior learning. In response, the study surveyed 186 first-year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Changwon on the basic status of science prior learning. By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tatus, 39.8% of the students surveyed said they had experience in prior learning in science. Among the students experienced, 56 students who started science prior learning after the start of winter vacation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specific status of science prior learning and the impact of science prior learning on science achievements. The semi-subject form of pre-learning in science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50.0 percent, and the motivation for pre-learning in science was the highest with 33.9 percent improvement in test scores. The confidence and learning intention were positive when conducting prior learning in a semi-subject form, and interest and value were positive when conducting prior learning in a self-directed form.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ffect of science prior learning, 71.4% of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science prior learning showed positive scientific achievement.
많은 학생 및 학부모가 선행학습에 쏟는 시간과 경제력이 적지 않다는 점과 인터넷 기반 사회의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선행학습의 실태와 그 효과를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창원지역 A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과학 선행학습의 기본적인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결과, 과학선행학습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조사대상자 중 39.8% (74명)이였다. 또한 경험대상자 중 중학교 3학년 겨울방학 시작 이후에 과학 선행학습을 시작한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과학 선행학습에 따른 과학성취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학습의 형태는 타의적 선행학습이 50.0%로 가장 높았으며, 선행학습의 시작동기는 시험점수 향상이 33.9%로 가장 높았다. 반타의적 형태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 자신감과 학습의향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적 형태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 흥미도와 가치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 선행학습을 받은 학생 중 71.4%의 학생이 과학성취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