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oyster industry support policy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it compares and confirms the satisfaction level of direct and indirect workers using this policy in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oyster industr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analysis by AHP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ntire sample, it i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production facilities of the production supply of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the purchase of raw materials of the production supply of th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and the aging of the structural risks of risk reduction.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workers in the ranking of importance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s of indirect workers, which consist of public officials,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and related professors, raw materials, production facilities, and high-quality products are produced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There are differences among workers in order of marine pollution of environmental risks, structural fish population reduction, and structural aging of risk factors.
본 연구는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굴 산업에 있어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중요도와 만족도를 고려한 굴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정책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AHP를 활용하여 정부의 굴 산업 지원정책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활용한 직·간접종사자의 만족도를 비교하여 우리나라 굴 산업 발전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지원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AHP 분석에 의한 중요도 분석결과는 중요도에 있어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경쟁력강화의 생산공급의 생산시설, 경쟁력강화의 생산공급의 원료구매, 위험요인해소의 구조적 위험의 노령화 순으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순위에 있어서 직접과 간접종사자간 의미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무원, 수협중앙회 직원, 관련 교수 등으로 구성된 간접종사자의 종합평가 결과를 보면, 경쟁력강화의 생산공급의 원료구매, 생산시설, 고품질화순으로 나타났으나, 생산과 유통에 직접적으로 직접종사자의 경우는 위험요인해소의 환경적 위험의 해양오염, 구조적의 어가인구감소, 위험요인해소의 구조적의 노령화 순으로 나타나 종사자간 차이를 보였다. 종사자간 만족도에 있어서도 생산과 유통에 있는 직접종사자 보다 지원정책을 집행하는 간접종사자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