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차유철.이희복.신명희(2014), "미디어와 마케팅 환경 변화에 따른 광고와 광고산업의 범위 재설정을 위한 연구", 광고학연구, 25(3), 59-85.
- 남승윤.박보람(2017), "유튜브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전략 연구-국내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 16(2), 63-81.
- 김유정.강경호(2019), "제품유형과 콘텐츠장르의 소비자 반응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혁신학회, 14(4), 97-117.
- 유승현.정영주(2020), "뉴스 유통의 변동과 지상파 뉴스 콘텐츠의 대응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상파방송 유튜브 뉴스 채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20(여름), 68-109.
- 허윤.이상우(2012), "다매체 환경에서의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 한국언론학보, 56(4), 29-54.
- 이승엽.이상우(2014),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매체 간의 경쟁관계에 관한 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3), 7-45.
- 노기영.이미영(2005), "블로그의 매체경쟁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9(3), 318-345.
- 정재민.박종구(2012), "경제뉴스의 경쟁 적소분석," 한국방송학보, 26(2), 205-246.
- Moriarty, S. and Schultz, D. (2011), "The Evo lution of IMC Theory," Paper resented at AAA Asia-Pacific, Brisbane.
- Kitchen, P. J., Brignell, J., Li, T. and Jones, G. S. (2004), "The Emergence of IMC: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4(1), 19-30. https://doi.org/10.1017/S0021849904040048
- Peltier, J. W., Schibrowsky, J. A. and Schultz, D. E. (2003), "Interactiv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Combining the Power of IMC, The New Media and Database Marke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2(1), 93-115. https://doi.org/10.1080/02650487.2003.11072841
- Cornelissen, J. P. and Lock, A. R. (2000), "Theoretical Concept or Management Fashion?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IMC,"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0(5), 7-15. https://doi.org/10.2501/JAR-40-5-7-15
- Eagle, L. C. and Kitchen, P. J.(2000), "IMC, Brand Communications, and Corporate Cultures: Client/Advertising Agency Co-Ordination and Cohes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4(.5-6), 667-686. https://doi.org/10.1108/03090560010321983
- Carlson, L., Grove, S. J. and Kangun, N. (1993), "A content analysis of environment advertising claims: A market method approach," Journal of Advertising, 22(3), 27-39. https://doi.org/10.1080/00913367.1993.10673409
- Carlson, L., Grove, S. J. and Dorsch, M. J. (2003), "Services Advertising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An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25(2), 69-82. https://doi.org/10.1080/10641734.2003.10505150
- Grove, S. J., Carlson, L. and Dorsch, M. J. (2002), "Addressing Services' Intangibility Through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6(5), 393-411. https://doi.org/10.1108/08876040210436876
- Grove, S. J., Carlson, L. and Dorsch, M. J. (2007), "Comparing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IMC) in Magazine Ads Across Product Type and Time," Journal of Advertising, 36(1), 37-54. https://doi.org/10.2753/JOA0091-3367360103
- 강경수(2011), "국내 신문고에 나타난 제품유형별 IMC 용정도의 차이에 한 연구", 광고연구, 89, 313-346.
- 강경수(2012), "IMC 관점에서 국내 TV광고의 내용분석 제품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9), 116-125.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16
- 황장선(2008). "IMC관점에서 본 옥외 매체의 활용 가능성 : 소비자 패널 조사,". OOH광고학연구, 5(1), 29-57.
- 이종만(2019). 유튜브 이용자의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강박적 유튜브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9), 512-52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512
- 변현진(2018), "유튜브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 특성과 인기 채널 분석 및 함의점 고찰," 조형디디어학, 21(4), 227-239.
- Constantinides, E.(2014), "Foundations of Social Media Marketing," Social & Behavioral Sciences, 148, 40-57.
- 김성재(2019), "탈문자적 문맹의 가속화와 상징적 자본의 변질,"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6, 91-117.
- Chatzopoulou, G., Sheng, C. and Faloutsos, M.(2010),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popularity in youtube," INFOCOM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Workshops, 1-6.
- 석보라.김활빈(2019), "유튜브(YouTube) 1인 미디어 뷰티 채널의 이용 동기가 채널 평가,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1(4), 168-198.
- 장민정(2019), "한국 전통복식의 유튜브(YouTube) 콘텐츠 현황 분석," 한복문화, 22(4), 115-123.
- 문은미(2019), "디자인 교육 동영상 개발을 위한 유튜브 콘텐츠 조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6), 41-50.
- 엄성원(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Youtube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경영과 정보연구, 39(2), 181-193.
- 심두보.노광우(2012), "유투브와 소녀시대 팬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125-13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125
- 박정이.임지은,.황장선(2018),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 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보, 20(2), 95-15
- 오대영(2019),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1), 97-115.
- Chen, T.(2015). "The persuasive effectiveness of mini-films: Narratie transportation and fantasy pronenes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14(1), 21-27. https://doi.org/10.1002/cb.1494
- 임현재(2017), 유튜브 마케팅 디지털북스.
- Paek, H. J., Kim, K., and Hove, T. (2010).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videos on YouTube: message sensation value, message appeal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viewer responses," Health Education Research , 25(6), 1085-1099. https://doi.org/10.1093/her/cyq063
- Krippendorff, K.(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 Krippendorff, K.(2011), "Computing Krippendorff's alpha-reliability. Retrieved from http://repository.upenn.edu/asc_papers/43.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2018), "2018 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