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2014).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 고길곤 (2017). 통계학의 이해와 활용(제2판). 경기도 고양: 문우사.
-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0].
- 김도은 (2019). 수업설계를 통한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함양 과정 분석.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
- 김응환 (2006). 표집오차(sampling error)와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의 용어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309-316.
- 김응환, 이석훈 (2015). 통계와 확률 교육. 서울: 경문사.
- 김창동, 장경윤, 김응환, 문광호, 이병헌, 이채형, 차순규, 박윤근, 이소영, 정지현, 이병하, 김성남, 주정오, 권백일, 장인선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교학사.
- 김현철 (2003). 동일조사에서 비율비교와 관련된 두 가지 흔한 오류. 응용통계연구, 16(1), 169-179. https://doi.org/10.5351/KJAS.2003.16.1.169
- 류희찬, 조완영, 이정례, 선우하식, 이진호, 손홍찬, 신보미, 조정묵, 이병만, 김용식, 임미선, 선미향, 유익승, 한명주, 박원균, 남선주, 김명수, 정성윤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천재교육.
- 리얼미터 (2019). (YTN 현안조사) 일본식 표현의 우리말 교체 여부에 대한 국민여론(2019.08.16.).
- 문수백 (2017).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활용(개정증보판). 서울: 도서출판 신정.
- 민경석 (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규모와 표집오차. 한국교육, 35(1), 171-190.
- 박경미 외 43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BD15120005.
- 백지선, 심규호 (2013). 가계금융조사를 활용한 단위무응답 조정효과 분석. 응용통계연구, 26(3), 375-387. https://doi.org/10.5351/KJAS.2013.26.3.375
- 신동열 (2012, 11월 23일). 최초의 여론조사 '1824년 미 대통령 선거'. 한국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hankyung.com
- 안수엽, 한동협 (2012). 통계학의 이해. 서울: 비즈프레스.
- 우정호, 박교식, 이종희, 박경미, 김남희,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김진환, 강현영, 이형주, 박재희, 전철, 오혜미, 김상철, 설은선, 황수영, 김민경, 최인선, 고현주, 이정연, 최은자, 김기연, 윤혜미, 천화정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두산동아.
- 윤현진, 김서령, 박선용, 이영하 (2009). 수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3-3.
- 이강섭, 황석근, 김부윤, 심성아, 왕규채, 송규식, 김진석, 김경돈, 주창수, 양인웅, 차주연, 정재훈, 김원일, 조보관, 김원중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미래엔.
- 이소영, 변영학, 장우영, 조희정 (2018). 유.뮤선전화 비율 등 바람직한 여론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 2017년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이영하, 이은호 (2010). 통계적 추론에서의 표집분포 개념 지도를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학교수학, 12(3), 273-299.
- 이은희, 김원경 (2015).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 분석. 학교수학, 54(3), 241-259.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2020). 선거여론조사기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고시 제2020-1호.
- 지영명, 유연주 (2019). 통계적 추리에서 표집 분포와 신뢰구간에 대한 이해 조사: 기초통계학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1(1), 125-153.
- 최민정 (2015).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 교사의 수학적 지식(MKT) 분석.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 최민정, 이종학, 김원경 (2016).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의 분석. 학교수학, 55(3), 317-334.
- 탁병주, 구나영, 강현영, 이경화 (2017).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6(1), 19-39.
-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 한가희, 전영주 (2018).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비교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47-266.
- 한국갤럽 (2019). 요즘 가장 좋아하는 TV프로그램은? -2019년 8월(2019.08.26.).
- 한국리서치 (2019). 한국리서치 주간리포트(제41호) 여론 속의 여론: 기획: 대학 및 교육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2019.08.20.).
- Bluman, A. G. (2014). 기초통계학(제5판) (강근석, 김대경, 백승규, 변종석, 이승수, 이영섭, 탁충습 역), 서울: 교우사. (원저 2003년 출판)
- Delmas, R. C. (2010). 수학적 추론과 통계적 추론.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이,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95-114)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 Garfield, Delmas, & Chance(2003). The Web-based ARTIST: Assessment Resource Tools for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 Sharma, S., Doyle, P., Shandil, V., & Talakia'atu, S. (2011).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with year 9 student. Research Inform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1, 43-60.
- Sharma, S. (2017). Definitions and models of statistical literacy: a literature revie, Ope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1), 118-133. https://doi.org/10.1080/23265507.2017.1354313
- Watson, J.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6년 출판)
- Watson, J. M. & Callingham, R. (2003).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2),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