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Analysis on Emo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에 대한 메타연구

  • Received : 2020.08.21
  • Accepted : 2020.09.1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emotion-relate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in Korea so far,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future emotion-relate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Emotion-related domestic research was collected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alyzed, and then it was used as data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e findings of the Eligio(2017) were used as counterpart research data. This study compares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op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emotion. Findings indicate that it has generally shown similar patterns to international research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rends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domestic studies. The future directions of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on emotion were proposed as follows. Since it is difficult to collect reasonable and reliable data on pure emotion due to the nature of emo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the combination of emotion and cognition. Also, it was recommended to utilize the concept of meta-emotion for future study on emotion-related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해온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국제 연구의 경향과 비교 분석한 후, 앞으로의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정서 관련 국내연구는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후 국제 비교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국제연구는 Eligio(2017)의 연구 결과를 사용하였다. 정서 관련 국내연구와 국제연구의 시기별 논문 발표 편수,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주제를 비교한 결과, 국내 연구의 수가 부족하여 경향을 판단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었지만, 국제연구와 대체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국내 정서 관련 수학교육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순수한 정서 관련 연구는 정서의 특성상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정서와 인지가 결합 된 형태인 정서 지능 개념을 도입한 연구를 강조하며, 미래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메타정서를 연구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호. (1997). 중 고교생의 수학적 성향 및 태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운암 김연식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총. p. 61-98.
  2. 고호경, 김동원, 이환철, 최태영. (2014).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른 수학학습 상담 발문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73-92.
  3. 김경회. (1998).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4. 김경희. (2004).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355-370.
  5. 김광수, 한미라, 박병기. (2013). 학업 정서의 다차원 구조탐색. 교육심리연구, 27(4), 961-987.
  6. 김민정. (2008).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과목 관심도와 정서지능 및 학습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7. 김민정. (2018).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대구.
  8. 김복권. (2017). 고등학생의 수학성취 수준별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427-450.
  9. 김선희. (2019). 수학교과에서 메타정의의 개면 탐색 및 교수 학습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연구. 수학교육학 연구, 29(2), 321-338.
  10. 김선희. (2020). 수학 교과에서 메타정의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과교육학연구, 24(2), 178-188. https://doi.org/10.24231/RICI.2020.24.2.178
  11.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 113-124.
  12. 김선희, 박정언. (2011). 수학 학습에서의 메타-정의 유형탐색. 학교수학, 13(3), 469-484.
  13. 김수미. (1992). 수학교육에서의 메타인지 개념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2), 95-104.
  14. 김은진. (2013). 학업상황의 정서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와 학습전략을 매개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15. 김종렬, 이은주. (2014). 한국판 성취정서-수학 척도(K-AEQ-M)의 타당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간발달연구, 21(1), 115-139.
  16. 남은영, 박소은. (2017).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수준에 따른 어머니-자녀 간 상호작용 분석. 兒童學會誌, 38(1), 255-266.
  17. 도주원, 백석윤. (2016).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563-581.
  18. 문승한, 김수용. (2015). 정서유형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차이. 교사교육연구, 54(2), 333-343. https://doi.org/10.15812/TER.54.2.201506.333
  19. 문용린. (1999). 인성 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 사대논총, 59, 31-98.
  20. 박상현,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정서 유형별 자기조절학습, 수학태도 및 수학성취도. 초등교육연구, 27(3), 49-73.
  21. 심혜원, 이외숙. (2015). 학습개선동기, 수학성취정서 및 수학학업성취의 관계 : 강남지역 남녀 중학생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39, 207-231.
  22. 안윤경, 김선희. (2011).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3), 295-311.
  23. 양명희. (2009).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조절효과. 교육심리연구, 23(1), 51-71.
  24. 양승지, 오영희. (2008). 그림책에 기초한 교구활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및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8(5), 27-56.
  25. 유지현. (2012). 학업적 정서조절 척도개발 및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모형.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6. 유지현. (2013).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27(3), 715-738.
  27. 유지현, 이숙정. (2012). 학업적 정서조절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26(4), 1137-1159.
  28. 유혜숙. (2001). 중학교 과학 실습 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9. 원숙연, 송하나. (2015). 부모상위정서철학이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6(2), 167-182 https://doi.org/10.5723/KJCS.2015.36.2.167
  30. 이기돈. (2016).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21-41.
  31.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32. 이승은. (2004). 유아용 감성지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33. 이승훈, 이세나. (2010). 영재 캠프 프로그램에서 수학 영재들의 정서 변화의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1). 107-122.
  34. 이옥경, 이진희. (2015). 유아 정서지식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단기종단적 예측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 24(3). 239-253.
  35. 이은희, 류성림. (2014).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6(1). 181-199.
  36. 이치훈. (2012). 초등영재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37. 이해미. (2018). 또래 협력적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능력, 또래 유능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38. 임지연, 남은영. (2019). 부모 간 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 상위정서 철학 및 우울 간의 관계 : 청소년 상위정서 철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9), 105-123
  39. 정순진, 이상미, 송윤진, 손효정, 이재욱, 문지혜. (2011). 유아 원예-수학 통합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1(10), 194-194
  40. 최난이. (2016).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7(4), 57-67. https://doi.org/10.5723/kjcs.2016.37.4.57
  41. 최승현, Lamb C. E. (1993). 수학적 문제해결에 대한 동기유발과 감정의 효과에 대한 고찰 : 수업 이수 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3(1) 159-165.
  42. 최승현. (1996). 감정의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예비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1) 55-62.
  43. 최예지. (2017). 수학 영재교육에서 정서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44. 최진숙. (2018). 감정이입적 동화를 활용한 수학화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내용이해도 및 감성지능,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전북.
  45.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평가 체제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4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12 결과 발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도자료.
  47. 허혜자. (1996). 수학교육에서의 정서적 경험에 관련된 용어의 고찰: 신념, 태도, 감정.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2). 147-156.
  48. 황연주. (2007). 수학활동을 통한 창의성 훈련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
  49. 황혜연, 이선영, 권순구, 봉미미. (2016).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 성취압력과 수학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학업성취의 관계: 수학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교육문제연구, 29(3). 1-31.
  50. 황혜정. (1999).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과 정서 행동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3(1), 51-69.
  51. Albert, I., & Hayward, P. (2002). Treatment of intrusive ruminations about mathematics.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0(2), 223-226. https://doi.org/10.1017/S1352465802002102
  52. Bratianu, C., & Orzea, I. (2009). Emergence of the cognitive-emotional knowledge dyad. Review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Management, 10, 893-901.
  53. Cabanac, M. (2002). What is emotion?. Behavioral Processes, 60(2), 69-83. https://doi.org/10.1016/S0376-6357(02)00078-5
  54. Daschmann, E. C., Goetz, T., & Stupnisky, R. H. (2011). Testing the predictors of boredom at schoo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cursors to boredom scal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421-440. https://doi.org/10.1348/000709910X526038
  55. Di Martino, P., & Zan, R. (2011).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 bridge between beliefs and emotions. ZDM-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3(4), 471-482. https://doi.org/10.1007/s11858-011-0309-6
  56. Eligio, U. (2017). An Overview of the Growth and Trends of Current Research on Emotions and Mathematics. Elsevier Inc.
  57. Else-Quest, N. M., Hyde, J. S., & Hejmadi, A. (2008). Mother and child emotions during mathematics homework. Mathematical Thinking & Learning, 10(1), 5-35. https://doi.org/10.1080/10986060701818644
  58. Feagin, S. L. (1995). The pleasures of tragedy. In A. Neill & A. Ridley(Eds.), Arguing about art (pp. 204-217). New York, NY: McGraw-Hill.
  59. Frenzel, A. C., Thrash, T. M., Pekrun, R., & Goetz, T. (2007). Achievement emotions in Germany and China-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academic emotions questionnaire-mathematic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8(3), 302-309. https://doi.org/10.1177/0022022107300276
  60.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I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61. Garofalo, J. & Lester, F. K. (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https://doi.org/10.2307/748391
  62. Goetz, T., Frenzel, A. C., Hall, N. C., & Pekrun, R. (2008). Antecedents of academic emotions: Testing the internal/external frame of reference model for academic enjoy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3(1), 9-33.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6.12.002
  63.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64. Gomez-Chacon, I. M. (2000). Affective influences in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2), 149-168. https://doi.org/10.1023/A:1017518812079
  65.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https://doi.org/10.1023/B:JOBA.0000007455.08539.94
  66. Gross, J. J. (2002). Emotion regulation :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 281-291. https://doi.org/10.1017/S0048577201393198
  67. Gyllenhaal, E. D. (2006). Memories of math: Visitors’ experiences in an exhibition about calculus. Curator: The Museum Journal, 49(3), 345-364. https://doi.org/10.1111/j.2151-6952.2006.tb00228.x
  68. Hannula, M. S. (2014).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69. Hannula, M. S. (2015). Emotions in problem solving. In Selected regular lecture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70. Johns, M., Inzlicht, M., & Schmader, T. (2008). Stereotype threat and executive resource depleti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emotion regul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7(4), 691-705. https://doi.org/10.1037/a0013834
  71. Kiani, M. (2016). Supporting At-Risk Student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Doctoral Dissertation. UC San Diego.
  72. Kleine, M., Goetz, T., Pekrun, R., & Hall, N. (2005). The structure of students' emotions experienced during a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ZDM-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37(3), 221-225. https://doi.org/10.1007/s11858-005-0012-6
  73. Lewis, G. (2013). Emotion and disaffection with school mathematic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1), 70-86. https://doi.org/10.1080/14794802.2012.756636
  74. Liljedahl, P. G. (2005). Mathematical discovery and affect: The effect of AHA! experiences on undergraduate mathematics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6(2-3), 219-234. https://doi.org/10.1080/00207390412331316997
  75. Martin, L. L., & Tesser, A. (1996). Introduction. In L. L. Martin & Tesser (Eds.), Striving and feeling: Interactions among goals, affect, and self-regulation(pp. 1-7). Mahwah, NJ: Erlaum.
  76. Mayer, J. D., Salovey, P., & Caruso, D. R. (2002). Mayer-Salovey Caruso Emotional Intelligence Test: User's manual. Toronto, ON: Multi-Health Systems.
  77. McLeod, D. B., & Adams, V. M. (1989).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New York: Springer-Verlag.
  78. Mendonca, D. (2013). Emotions about Emotions. Emotion Review, 5(4), 390-396. https://doi.org/10.1177/1754073913484373
  79. Merriam, S. (2001).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80. Miceli, M & Castelfranchi C. (2019). Meta-emotions and the complexity of human emotional experience. New Ideas in Psychology, 55, 42-49. https://doi.org/10.1016/j.newideapsych.2019.05.001
  81. Muis, K. R., Psaradellis, C., Lajoie, S. P., Di Leo, I., & Chevrier, M. (2015). The role of epistemic emotions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42, 172-185.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5.06.003
  82. Norman, E & Furnes, B. (2016). The Concept of ‘Metaemotion’: What Is There to Learn from Research on Metacognition?. Emotion Review, 8(2), 187-193. https://doi.org/10.1177/1754073914552913
  83. Panksepp, J. (2005). Affective neuroscience: the founda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Reprint] ed.). Oxford [u.a.]: Oxford Univ. Press.
  84. Parke, B. N. (1989). Gifted students: Who they are and what they need. NY: Ally and Bacon
  85. Pugmire, D. (2005). Sound sentiments: Integrity in the emotion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86. Reeve, J. (2001). 동기와 정서의 이해 (정봉교 외 역). 서울: 박학사.
  87. Rosenberg, M. (1990). Meta-emotion.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3(1), 3-12. https://doi.org/10.2307/2786865
  88. Rule, A. C., & Harrell, M. H. (2006). Symbolic drawings reveal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 mathematics attitudes after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6), 241-258.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6.tb17913.x
  89. Ruppel, F., Liersch, S., & Walter, U. (2015).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academic success. Journal of Public Health (Germany), 23(1), 15-24. https://doi.org/10.1007/s10389-015-0654-y
  90. Schutz, P. A., Distefano, C., Benson, J., & Davis, H. A. (2004).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emotional regulation during test taking. Anxiety, Stress and Coping: A International Journal, 17(3), 253-269. https://doi.org/10.1080/10615800410001710861
  91. Skemp,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Hillsdale, NJ : L. Erlbaum Associates.
  92. Tulis, M., & Ainley, M. (2011). Interest, enjoyment and pride after failure experiences? Predictors of students' state-emotions after success and failure during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al Psychology, 31(7), 779-807. https://doi.org/10.1080/01443410.2011.608524
  93. Zambo, D., & Zambo, R. (2006). Using thought bubble pictures to assess students' feeling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2(1), 14-21. https://doi.org/10.5951/MTMS.12.1.0014
  94. Zan, R., Brown, L., Evans, J., & Hannula, M. S. (2006).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n introd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13-121. https://doi.org/10.1007/s10649-006-90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