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심덕섭, 하성욱, "기업가적 리더십이 혁신분위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7권, 제2호, pp.65-79, 2020.
- 이덕로, 김태열, "직무특성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선택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7권, 제3호, pp.443-475, 2008.
- T. M. Amabile,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No.2, pp.357-376, 1983. https://doi.org/10.1037/0022-3514.45.2.357
- 조선배, 김석영, 변정우, "호텔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1호, pp.89-102, 2010.
- 안석기, 이태섭, "군 조직의 창의성 향상에 관한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pp.183-209, 2013. https://doi.org/10.22883/JDPS.2014.29.4.006
- 이용권, 전기석, "군대조직의 코칭리더십 역량모델 개발과 요구도 분석," HRD연구, 제20권, 제4호, pp.57-92, 2018.
- 육군본부, 임무형 지휘-육군의 지휘철학, 2018.
- 전기석, 윤만영, "임무형지휘 개념의 심리학적 이론기반에 대한 고찰," 한국군사학논총, 제8권, 제1호, pp.91-119, 2019.
- J. R. Hackman and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 J. R. Hackman and R. Oldham, "Work design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Staw, B. M. and L. L. Cummings(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2, pp.247-278, CT, JAI Press, 1980.
- K. W. Thomas and A. Velthouse,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No.4, pp.666-681, 1990. https://doi.org/10.5465/AMR.1990.4310926
- 고득영, 유태용,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성격과 조직혁신 풍토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15-238, 2012.
- J. A. Conger and R. N. Kanungo, "Towards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2, No.4, pp.637-647, 1987. https://doi.org/10.5465/amr.1987.4306715
- G. M. Spreitzer,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5, pp.1442-1465, 1995. https://doi.org/10.2307/256865
- M. J. Xerri and Y. Brunetto, "Forstering innovative behavior: The importance of employe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nternational J.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4, No.6, pp.3163-3177, 2013. https://doi.org/10.1080/09585192.2013.775033
-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In B. Staw & L. L. Cumming(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123-167, 1988. https://doi.org/10.1016/j.riob.2015.09.001
- C. E. Shalley, "Effects of productivity goals, creativity goals, and personal discretion on individual creativity," J.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179-185, 1991. https://doi.org/10.1037/0021-9010.76.2.179
- O. Janssen, "The joint impact of perceived influence and supervisor supportiveness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J.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8, pp.573-579, 2005. https://doi.org/10.1348/096317905X25823
- A. M. Grant, "The significance of task significance : job performance effects, relational mechanisms, and boundary condi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3, No.1, pp.108-124, 2008. https://doi.org/10.1037/0021-9010.93.1.108
- 정세영, 김수임, 김영채, "일상의 창의력: 그 체제의 요소조직과 실제적 함의," 사고개발, Vol.15, No.1, pp.1-17, 2019.
- 김국진, 강지선, "직무자율성과 목표명확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8권, 제4호, pp.1-32, 2019.
- T. M. Amabile,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No.2, pp.357-367, 1983. https://doi.org/10.1037/0022-3514.45.2.357
- E. Glassman, "Managing for creativity Back to Basics in R&D," R&D Management, Vol.16, No.2, pp.175-183, 1986. https://doi.org/10.1111/j.1467-9310.1986.tb01170.x
- 최병순, 군 리더십, 서울: 북코리아, 2016.
- 김윤재, 남궁선, 박스잔, "요양보호사의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3호, pp.199-208, 2016.
- 진윤희, 김성종,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51-46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51
- 최석봉, "종업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자율성, 그리고 혁신행동: 매개된 조절효과 모델," 기업경영연구, 제25권, 제4호, pp.65-82, 2018.
- 최예나, "조직프렌드십 관리로서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자율성이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시민대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 행정학보, 제33권, 제1호, pp.49-71, 2019.
- E. L. Deci and R. M. Rya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5, No.1, pp.54-67, 2000.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 J. Zhou, "Feedback Valence, Feedback Style, Task Autonom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Interactive Effects on Creative Performance," J. of Applied Psychology, Vol.83, No.2, pp.261-276, 1998. https://doi.org/10.1037/0021-9010.83.2.261
- 심덕섭, 하성욱, "직무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산업혁신연구, 제29권, 제3호, pp.95-124, 2013.
- 안관영,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창의성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효과,"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71-195, 2011.
- 최지원, 이희수, "HR담당자의 직무특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7호, pp.1219-1246, 2019.
- 류정란, "상사의 태도와 직무 특성이 창의적 성과를 일으키는 과정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제33권, 제3호, pp.129-154, 2014.
- 제연실, 공무원의 직무특성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A.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NJ: Prentice Hall, 1986.
- C. Lee and P. Bobko, "Self-efficacy beliefs: comparison of five 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9, No.3, pp.364-369, 1994. https://doi.org/10.1037/0021-9010.79.3.364
- 국방부,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법률 제16034호, 2018.
-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Freeman and Company, 1997.
- 김종길, "해양경찰의 직무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테러학회보, 제10권, 제4호, pp.171-186, 2017.
- 송정수, 양필석,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HRD 연구, 제10권, 제1호, pp.223-246, 2008.
- 권정희, "호텔식음료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16권, 제3호, pp.17-41, 2012.
- G. Salomon, "Television is 'easy' and print is 'tough': The differential investme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as a function of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No.4, pp.647-658, 1984. https://doi.org/10.1037/0022-0663.76.4.647
- 고은정, 이성진, 김상수,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pp.163-185, 2018.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9
- 박영주, 전주성,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준비도, 학습민첩성, 직무자율성, 학교조직문화, 학교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원교육, 제34권, 제3호, pp.143-166, 2018.
- 이승연, 박수경,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검증: 정부출연연구소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2권, 제1호, pp.85-118,2019.
- G. Chen, S. Gully, and D. Eden, "General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oward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tinction between correlated self‐evalu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375-39, 2004. https://doi.org/10.1002/job.251
-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https://doi.org/10.2307/256701
-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No.2,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M.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993.
- 이현응,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HRD연구, 제16권, 제3호, pp.225-24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