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Freshmen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
  • 오은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사) ;
  • 김선희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교원) ;
  • 박혁규 (대전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
  • Received : 2020.07.22
  • Accepted : 2020.08.13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freshm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6.0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Depression and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 the factors affecting were self-injury attempt experience, gender. The results of regression model II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pression and gender. It is intend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a program related to predicting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freshmen.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음주문제 및 자해시도 경험 정도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C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참여한 대학신입생 마음건강실태 조사에서 최종 326부로, 수집된 데이터는 t-test,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자해시도의 경험과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I 결과,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해경험과 성별이며, 우울과 불안을 투입한 회귀모형 II 결과 우울, 성별이었다. 이처럼 대학신입생의 우울, 성별, 자해시도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높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요인과 관련된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희,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사상체질과 자아상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564-577, 2013.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564
  2. 고명주, 최보영,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24권, 제6호, pp.81-104, 2017.
  3. 권명순, 이보영,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스마트폰중독,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1권, 제3호, pp.540-553, 2017. https://doi.org/10.5932/JKPHN.2017.31.3.540
  4. 김남선, 이규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7권, 제2호, pp.77-83, 2012.
  5.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2020.
  7.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31권, 제2호, pp.563-580, 2012.
  8. H. Doweiko, Concepts of Chemical Dependency,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90.
  9. 유숙경, 장성화, "스마트폰 중독, 불안, 자아분화와 대학생의 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71-184, 2019.
  10. 윤현서, 권명순, 유정순,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정신건강과 신체건강,"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2권, 제3호, pp.411-423, 2018. https://doi.org/10.5932/JKPHN.2018.32.3.411
  11. 전호선, 장승옥,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03-129, 2014.
  12. J. Matar Boumosleh and D. aalouk, "Depression,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 sectional study," Public Library of Science, Vol.12, No.8, pp.1-14, 2017.
  13. 안주아,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행태와 중독-우울, 충동성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 및 중독이 대인관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128-162, 2016.
  14. 장선희, 하영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우울, 자아존중감, 충동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1호, pp.269-280, 2019.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69
  15. 김경숙, 이덕남, "대학생의 자기통제 및 충동성이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24권, 제6호, pp.183-188, 2019.
  16. 김종임,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7호, pp.192-202, 2019.
  17. 공정현, 오수미, 오은진, "대학생의 부모애착, 대인관계능력, 정신건강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제8권, 제4호, pp.1102-1120, 2017.
  18. 백선숙, 조주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8호, pp.248-256, 2017.
  19. 전보라, 윤소정, "대학 신입생, 그들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대학생활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3호, pp.731-742, 2017.
  20. 금명자, 남향자,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105-127, 2010.
  21. M. Kwon, D. J. Kim, H. Cho, and S. Ya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Version for Adolescents," PLoS ONE, Vol.8, No.12, pp.1-7, 2013.
  22. D. E, Nease, J. M, Malouin, "Depression Screening: A Practical Strategy,"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52, No.2, pp.118-124, 2003.
  2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327, 1994.
  24. R. L. Spitzer, K. Kroenke, J. B. W. Williams, and B. Lowe,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6, No.10, pp.1092-1097, 2006. https://doi.org/10.1001/archinte.166.10.1092
  25. 이송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대인관계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49-159, 2019. https://doi.org/10.5762/kais.2019.20.4.149
  26. 최은영,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제5호, 제1권, pp.287-295, 2019. https://doi.org/10.17703/JCCT.2019.5.1.287
  27.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67-98, 2013.
  28. 이동훈, 양미진, 김수리, "청소년 자해의 이해 및 특성에 대한 고찰," 청소년상담연구, 제18호, 제1권, pp.1-24, 2010.
  29. 박광희, "대학생 우울에 관한 예측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제38호, 제6권, pp.779-788, 2008. https://doi.org/10.4040/jkan.2008.38.6.779
  30. 조선희, 전경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스트레스연구, 제24호, 제1권, pp.13-22, 2016.
  31. 김지윤, 조영희, 김성연, 이동훈,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2호, pp.971-99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