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mbolic Aspects Reappearance in Korean Family Films which Float between 'Stay' and 'Change' -Symbols Reproduced by the Films and -

'유지'와 '변화' 사이에 위치한 한국 가족영화의 상징적 재현 -영화 <하녀>, <마부>에 재현된 상징들에 대하여-

  • 김노익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차장)
  • Received : 2020.09.02
  • Accepted : 2020.10.06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symbolism of cross symptoms of different classes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based on the imagery of and , both of which are Korean films made in the same era of the 1960s. The study referred to a number of Korean family movie films in the 1960s, in particular and , which are notably different in ways of expression and in social class of the subject matter, and identifies how the films express the mixed aspects of the cross modernization period. The film uses a grotesque expressionist method to voyeuristically look into a newly emerging middle class family, and the deconstructive aspect of a family unit whose excessive desire leads to its own ruin; thus, the film presents a new perspective into the various social issues that emerge in the near future. In contrast, engages realistic depictions to describe in detail the deep conflict of pain and hope within the hardships of life from the urban poor through a deep family conflict. Ultimately, the two films expose the various social issues through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that appear from the mixed aspects of the cross modernization period, in other words, the conflicting images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본고는 1960년 동시대 제작된 한국영화 두 편 <하녀>와 <마부>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계층에 따라 근대화 전이과정에서 나타난 교차징후의 상징성에 관해 탐구하였다. 이에 표현방식과 주제를 다루는 부분에서 사회적 계층의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하녀>(1960)와 <마부>(1961)를 대상으로 영화가 재현하고 있는 근대화 전이과정의 혼재된 양상은 어떠한 형상을 취하고 재현을 통해 영화가 던져주는 당시의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영화 <하녀>는 새로운 계층으로 등장한 중산층의 내면을 관찰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억압과 욕망으로 인해 해체양상을 드러낸 집단의 이면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 새로운 인식을 만들었다. 반면 <마부>는 사실적 묘사를 바탕으로 빈민층이 겪는 고단한 삶 속의 고통과 희망의 충돌을 보여주면서 주체성을 상실한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인식으로 표현했다. 결국 두 편의 영화는 당시 근대화의 유입에 따른 혼재된 상황, 즉 구질서와 새로운 질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돌적 징후들로 인하여 생산되는 사회적 모순에 의한 사회문제에 대하여 우리에게 재인식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태혜신, "한국사회 근대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동과 한국창작무용 변천 양상,"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116, 2009.
  2. 박승관,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세계의 변동," 한국정치연구, 제12권, 제1호, pp.154-155, 2003.
  3. 김미현, 한국 영화사: 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p.154, 2013.
  4. 권승태, "미장센과 몽타주의 기호학적 통합-계열체적 시스템과 통합체적 과정으로서 영화," 영상문화, 제25호, pp.147-149, 2014.
  5. 오장근, "시각적 정체성과 기호적 브리콜라주 - 가브리엘 샤넬(Gabrielle Chanel)의 패션 룩을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제48권, p.86, 2016.
  6. 이유숙, 한국의 전통적 가족주의와 부부간의 사랑,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가정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p.11, 1998.
  7. 김주현,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상허학보논문지, 제16집, p.382, 2006.
  8. 서의석, 김수정,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에 재현된 교차징후적 상징성," 현대영화연구, 제37권, p.104, 2019.
  9. 주창규, 역사의 프리즘으로서 '映畵란 何오' : 충무로 역사의 문화적 근대성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345, 2004.
  10. 주창규, 역사의 프리즘으로서 '映畵란 何오' : 충무로 역사의 문화적 근대성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p.231-233, 2004.
  11. 이대범, 정수완, "하녀연작에 나타난 압축적 근대화의 담지체로서의 외부인," 씨네포럼, 제28호, p.39, 2017.
  12. 주창규, 역사의 프리즘으로서 '映畵란 何오' : 충무로 역사의 문화적 근대성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p.243, 2004.
  13. 박승관,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세계의 변동," 한국정치연구, 제12권, 제1호, pp.154-155, 2003.
  14. 허은, "1960년대 미국의 한국 근대화 기획과 추진: 주한미공보원의 심리활동과 영화," 한국문학연구, 제35권, 제35호, p.197, 2008.
  15. 임호준, "훼손된 민족과 공고한 가부장-전후 한국과 스페인 가족 멜로드라마의 사회적 무의식-," 문학과영상, 제17권, 제3호, p.593, 2016.
  16. 서의석, 김수정,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에 재현된 교차징후적 상징성," 현대영화연구, 제37권, p.76, 2019.
  17. 서의석, 김수정, "1960년대 한국 가족영화에 재현된 교차징후적 상징성," 현대영화연구, 제37권, p.86, 2019.
  18. 김형경, "여성은 결핍된 존재가 아니다," 경향신문 경향칼럼, 2014.3.25.
  19. 김소영, "유예된 모더니즘 - 한국영화들 속에서의 패티시즘의 논리," 문화과학사, 제1호, pp.374-380, 2001.
  20. 전상진, 김영수, "근대로의 이주-세대문제와 근대화,"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4권, 제2호, pp.322-324, 2004.
  21. Alan Kemp, Abuse in the family : An introduction,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연구회 역, 가족학대.가족폭력, 나남출판, p.60, 2001.
  22. 태혜신, "한국사회 근대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동과 한국창작무용 변천 양상,"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12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