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traregional regional disparities. The 16 metropolitan area, the Capital region and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were put in the spatial scope and the time range from 2005 to 2016.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data were used to show regional growth and intraregional disparity. Panel data for each spatial unit were established, panel unit root test and panel cointegration test were conducted to check the stability of the data. The DOLS method was us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traregional disparity, and the VECM model and Granger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causality. The result of analysis of 16 metropolitan area units showed that the intraregional disparity increases as regional economic growth progresses. When th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increased by 1%, the intraregional disparity increased by 1.258%, and there are short-term and long-term causality. Both the Capital region and the southeastern region had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traregional disparity, but the disparity in the Capital region showed an increase and the southeastern region showed a decr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gional disparity is increasing nationwide, but the Capital region and the southeastern region showed different stages of growth.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 간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16개 광역지자체, 수도권, 동남권을 공간적 범위로 하였으며 2005년부터 2016년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하였다.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는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공간단위별 패널자료를 구축한 다음 자료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패널단위근 검정과 패널공적분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 격차 간 관계는 DOLS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인과성 검증을 위해서 VECM모형과 그랜져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16개 광역지자체 단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역경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지역 내부 격차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 총생산이 1% 증가할 때 지역 내부 격차는 1.258% 증가하였으며, 단기 및 장기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동남권은 모두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 내부 격차 증감이 상호 간 인관관계성이 있었으나, 수도권은 격차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동남권은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내 격차가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대표하는 광역경제권인 동남권의 양상은 서로 다름을 보여주었으며 서로 상이한 성장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