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Chunhyang's Character in the 30th Edition of and Theatre Play

경판30장본<춘향전>과 연극<성춘향>에 나타난 춘향의 인물 성격 비교

  • Pyo, Won-Soub (Department of Theater, Cheongju University) ;
  • Kim, Jung-Hyun (Che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atre Studies Department)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In the 30th edition of , Chunhyang is conventionally presented as a woman who tries to protect her chastity and it eventually bears the fruits of her love. On the other hand in , Chunhyang is reinterpreted as a woman who strives to protect feminist self-consciousness and beliefs, even in unreasonable social situations. By comparing the two different works, we can see differences in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how to overcome various obstacles, such as irregularity, gender discrimination, and identity conflict. By reinterpreting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classic novel into the emotions of the modern characters, we can see the how the characters grow when trying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find a solution, even though there is no change yet. This can be seen a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become different as time goes by. As the times go by, the world's values and inclinations also change, and the irrationalities of the world will also go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fusion of culture into history, even though it's irrational but we become familiar with it and will clearly understand the absurdities, and we can look forward to changes in the process.

경판30장본<춘향전>과 연극<성춘향>을 기존의 관습적 분석과 텍스트를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비교 분석하여 서사구조, 연극공연에서 나타난 춘향의 행동, 태도, 사랑에 나타난 성향 등을 비교 분석하여 경판30 장본<춘향전>의 춘향과 연극<성춘향>의 춘향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인물 변모와 정서를 비교함으로써 고전소설이 가지고 있는 인물에 현시대의 정서를 가진 인물을 부합함으로써, 같은 텍스트와 같은 배경이지만 현재성이 다른 인물이 등장함으로써 현대 시대의 부조리함, 여성차별, 등을 풍자함으로써 메시지를 직설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서사적 사건 비교 분석 결과에 나타난 경판30장본<춘향전>에서 정절을 지키며 변 사또의 횡포에 저항하는 열녀 춘향이라는 관습적인 주제 관념에서 벗어나 평범한 서민의 삶 속에서 남녀차별, 신분갈등, 부조리한 사회라는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갖고 지키는 춘향을 연극이라는 특수성을 결부시켜 '페미니시트적 자의식과 신념을 지키는 춘향'이라는 새로운 주제의식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partially supported by the Cheongju University Research Scholarship Grant in 2019-2020.

References

  1. 표원섭, 송갑석(2017). 공동창작을 위한 뷰포인트 연기 훈련방법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1(5):189.
  2. 김종식(2000). 영화 및 TV 드라마 <춘향전>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장병헌 (1993). 판소리 문학론, 새문사.
  4. 송현호 (2000). 한국 현대 소설론, 민지사.
  5. 이상택 (2003). 한국 고전소설의 이론1, 새문사.
  6. 도정님, 이승원(2019). 충남 예산 연극사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4):112.
  7. 이상택 (2009). 한국 고전소설의 이론2, 새문사.
  8. 조광국(2002). 법제적 질서와 사회경제적 변화의 충돌 측면에서 본 춘향전 완판84장본의 작품적 가치. 한국어 교육학회지, 108:193-195.
  9. 김낙형(2018).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연출의 표현특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2(8):191.
  10. 조광국(2000). 기녀담 기녀 등장소설 연구, 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