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rical Structure Change Phenomenon of K-Pop Songs : Focusing on Dance Music

K-Pop 노랫말의 운율구조 변화 현상 : 댄스음악을 중심으로

  • Seo, Keun-Young (Department of K-Pop,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 서근영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계열 K-Pop전공)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English is a stress-timed language that has a phonetic system in which the speech is restructured by stress changes.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 syllable-timed language in which each syllable is pronounced at almost the same length and intensity, and Korean and English have distinctly different metrical systems in general speech. However, as the language of the lyrics in K-Pop music is mixed in both languages, Korean and English, the Korean lyrics in K-Pop music have a metrical system by stress changes as in English. The writer's view is that the change in the metrical structure of Korean lyrics is inevitable in order to sustain the new Korean Wave. Therefore, in this study, dance music - a major genre of K-Pop music that focuses on rhythm expression - is classified into 1998, 2003, and 2009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Korean Wave, and the metrical structure of each period i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current K-Pop metrical structure features are derived and the K-Pop Korean writing method is proposed that deviates from the existing limited writing method which allocates one syllable per note. The author hopes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writing lyrics in Korean songs in K-Pop, as well as a way to encourage the use of Korean lyrics.

영어는 강세 박자 언어로서 강세 변화에 의한 발화의 재구조가 이루어지는 음운체계를 갖는다. 반면 한국어는 각각의 음절을 거의 똑같은 길이와 강도로 발음하는 음절 박자 언어로 일반적 발화 속에서 한국어와 영어는 분명하게 다른 운율체계를 갖는다. 그러나 K-Pop 음악 속에서 노랫말의 언어가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로 혼용되면서 K-Pop 음악 속에서의 한국어 노랫말은 영어처럼 강세변화에 의한 운율체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한국어 노랫말의 운율구조 변화 현상을 신한류 지속화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 현상으로 보는 것이 논자의 입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Pop 음악의 주요 장르이자 리듬표현에 중점을 두는 댄스음악을 한류 변화 양상에 따라 1998년, 2003년, 2009년으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노랫말 운율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K-Pop 운율구조 특징을 도출하여 한 음표당 하나의 음절씩 배당하여 작사하던 기존의 제한적 작사법에서 벗어난 K-Pop 한국어 작사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K-Pop에서 한국어 노랫말로 작사할 때의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더불어 한국어 노랫말 사용의 장려 방안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향(2004). 영어 발화의 재구조화와 노랫말 구절형성의 연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성아(2008). 강세 박자와 음절 박자 언어에 대한 제고: 한국인 영어 화자의 리듬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24(3): 473-493.
  3. 안병섭(2008). 국어 운율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서근영(2019). 이중언어 사용자와 K-Pop 노랫말 딕션과의 연관성: 90년대 후반 재미교포 힙합가수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8): 267-280.
  5. 고정민(2009).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서울: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6. 문화관광부(2006). 2005 문화산업백서: 연차보고서, 서울: 문화관광부.
  7. 박희지(2012). K-Pop 특성과 K-Pop 아이돌의 패션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석사학위논문.
  8. 최서원(2019). 3세대 K-Pop 아이돌 전략 분석: EXO, 트와이스,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승연, 장민호(2019). K-pop 음악의 글로벌 성공 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4): 1-15.
  10. 변미영(2011).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 현황과 과제. KOCCA 포커스, 31(3).
  11.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2019 음악 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12. 임학순(2010). 필리핀 청소년들의 K-pop 소비 요인 및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0(1): 85-112.
  13. 박준언(2015). 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영어 변이형들과 코드전환 사용. 이중언어학회, 61: 95-124.
  14. 서근영(2020). K-Pop 딕션 변화 연구: 빌보드 진입 가수의 딕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신현수(2005).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 소리둥지.
  16. 멜론차트 순위집계 방법. https://faqs2.melon.com/customer/faq/informFaq.htm?faqId=QUES20160825000007/ 2020.09.03 https://faqs2.melon.com/customer/faq/informFaq.htm?faqId=QUES20160825000013/ 2020.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