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Withdrawal and the Community Spirit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일영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11.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s aim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withdrawal and the community spirit within path which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predicted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ce. For verify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2,000 cases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nel Study(KYPS) as a research target. In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f AMOS 18.0 was applied as an analysis method, and sobel test was applied for util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 were as follows through the presented research method. Firstly, this study has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direct path that th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predicted the quality of the life of adolescence. Secondary,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direct path of the social withdrawal and the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intervention methods for the quality of the life of adolescence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경로과정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제시한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에서 배포한 아동·청소년패널(KYPS) 4차년도 자료에서 고교 1년생 총 2,000명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SEM)이 적용되었으며, 매개경로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 방식을 응용하였다. 제시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적접경로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인식이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을 매개하는 간접경로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질을 위한 개입방법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oss, C.E., & Mirowsky, J.(2001).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3), 258-276. https://doi.org/10.2307/3090214
  2. 이운경, 윤기봉, 박보경, 도현심(2018). 사회적 위축 및 부모의 과잉간섭과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6(2): 205-217.
  3. 신승배(2018).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 29(1): 195-217.
  4. 보건복지부(2013). 2013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
  5. Fagan, A.A., Wright, E.M.(2012). The Effects of Neighborhood Context on Youth Violence and Delinquency: Does Gender Matter?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0(1): 64-82. https://doi.org/10.1177/1541204011422086
  6. 이원식(2018).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3): 75-10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3.75
  7. 이선경(2018).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현주(2016). 청소년의 종교기관 출석빈도, 공동체의식, 사회.정서적 적응과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기독교와 타종교의 비교. 기독교교육논총, 48: 79-111.
  9. Gapen, M., Cross, D., Ortigo, K., Graham, A., Johnson, E., Evces, M., Ressler, J.K., & Bradley, B.(2011).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Community Cohesion and PTSD Symptoms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s in an Urban Health Setting.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1(1): 31-37. https://doi.org/10.1111/j.1939-0025.2010.01069.x
  10. 윤미설(2017).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에 따른 정서적 부적응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휘경, 손선주(2018). 부모의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41: 195-219.
  12. Antaramian, P.(2009). Stability of Adolescents'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Report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7(5): 421-425. https://doi.org/10.1177/0734282909331744
  13. Keyes, C.L.M.(2005).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merica's youth: Toward comprehensive assessment.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4: 1-32.
  14. Ross, C.E.(2000).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Adult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 177-187. https://doi.org/10.2307/2676304
  15. 곽현근(2013).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주거 관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27(1): 239-269. https://doi.org/10.24210/KAPM.2013.27.1.009
  16. 김현정(2017). 지역사회의 질이 주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송수경(2016). 주거환경 및 근린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당 신도시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경옥(2015b). 청소년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5: 251-286.
  19. 이승우(2014). 근린생활권내 공동체 의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미설, 이동형(2017).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에 따른 정서적 부적응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8(3): 463-487.
  21. 김해성, 안영철, 송진영(2018). 청소년의 자원 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1): 305-325.
  22. 박재숙(2011). 초기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참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4): 47-69.
  23. 최형임, 문영경(2013).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5: 189-209.
  24. 김명자, 손은령(2018).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성취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9): 1-20.
  25. 유민상(2016).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김이선, 손명아(2018).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지역사회 경험이 거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학, 19(3): 199-228.
  27. 김기현, 김영춘(2018). 지역 애착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823-836.
  28. 노병일, 곽현근(2005). 동네의 맥락적 특성이 주민의 정신보건에 미치는 영향: 동네빈곤, 무질서, 네트워크 형성을 중심으로. 보건과사회과학, 17: 5-23.
  29. 정일영(2012). 동네무질서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관계와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0(4): 1135-1168.
  30. 최경옥(2015a).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Aneshensel, C.S., & Sucoff, C.A.(1996). The neighborhood Contex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7: 293-301. https://doi.org/10.2307/2137258
  32. Chaskin, R. J.(1997). Perspectives on Neighborhood and Community: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ocial Service Review, 71(4): 521-547. https://doi.org/10.1086/604277
  33. 민소영(2015).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7(3): 57-82. https://doi.org/10.20970/KASW.2015.67.3.003
  34. 신이선(2012). 아동의 환경적 특성과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희영, 김봉화(2015). 빈곤아동의 사회자본과 심리사회적 적응 연구: 임파워먼트 매개 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7(4): 117-142.
  36. 이남율(2017). 사회적 자본이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구지역 공동주택 거주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김원필(2015). 대학기숙사 물리적 주거공간환경이 기숙사 거주학생들 간 인지된 공동체의식 및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육시설논문지, 22(5): 3-10.
  38. 이라영, 신남수(2009).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환경 구성요소와 거주자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3): 235-246.
  39. 최민호(2018). 지역사회의 자본요인에 대한 평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 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2006).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 I: 결과부문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4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6).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VII: 사업보고서.
  42. 김선희, 김경연(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43. 권혜원(2004). 중학생의 민주 시민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민정식(2017).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공동체 의식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153-164.
  45. 조미경, 김종두(2017). 공동체 형성을 통한 융합 인성교육.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2): 137-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