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ber of Job Offers and Satisfaction

첫 일자리 제안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08.14
  • Accepted : 2020.12.2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possibl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job offers and the job satisfac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using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tudy, where the number of job offers of young workers are collected in the third wav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job offers is negatively related to every year job satisfaction, this effect is smaller for higher earning and older individuals, and there is a gender heterogeneity. We discuss that having more job offers does not necessarily increase the workers' utility, which is a general monotonic assumption in the traditional economics. We suggest that having a large number of job offers allowing them to choose the best option can be inefficient itself, and therefore it is better to focus on qualitative matching rather than increasing just the absolute number of job opportunities.

본 연구는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 때 개인의 효용이 꼭 증가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노동시장의 관점에서 보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3차 부가조사에서 수집한 취업제의를 받은 개수와 매년 수집되는 노동자의 직업만족도 변수를 각각 선택대안의 수와 개인의 효용에 대한 대리변수로 사용하여 일자리선택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제의의 수는 개인의 소득을 통제한 경우 직업만족도와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관계에는 성별, 나이, 소득에 따른 이질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효용에 있어서 취업제의의 수가 끼칠 수 있는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61523-01)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권기욱. 「직원 이직률과 기업성과의 관계: 고성과자와 비고성과자의 이직률을 고려한 탐색적 연구」. 「노동정책연구」 16권 1호(2016. 3): 1-26. https://doi.org/10.22914/JLP.2016.16.1.001
  2. 김동규.한진욱. 「골프 클럽의 선택 대안의 수, 정보탐색, 소비자혼란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1권 4호(2016. 8): 111-126.
  3. 김용성. 「고학력 청년층의 미취업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일자리 탐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 34권 3호(2012. 1): 67-94.
  4. 김현수.정세은. 「비교 소득과 한국의 노동시장의 성별 이질성 분석」. 「EU학연구」 24권 2호 (2019. 8): 41-71.
  5. 나인강. 「이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5권 1호(2011. 2): 23-48.
  6. 류가연.손용석.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영화예매 시 선택전략 유형과 조절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8권 6호(2013. 12): 69-92.
  7. 문영만.홍장표. 「청년취업자의 기업규모별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산업노동연구」 23권 2호(2017. 6): 195-230.
  8. 박광표.김동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용관계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9권 1호(2019. 3): 59-91. https://doi.org/10.22914/JLP.2019.19.1.003
  9. 박지우.여정성. 「선택대안 과부하: 다양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구매 후 감정적 반응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5권 6호(2014. 12): 93-113.
  10. 박지혜.전용관. 「신규 대졸취업자의 최종학교교육 기여도, 직업기대수준, 급여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19호(2009. 9): 51-64.
  11. 박현숙.김월호. 「관광상품 선택과부하가 예상된 후회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1권 6호(2019. 6): 21-34.
  12.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연구」. 「노동경제논집」 23권(2000): 133-154.
  13. 안준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초기 안정성에 관한 연구」. pp. 1-59. 한국고용정보원, 2015.
  14. 양애선.강윤희. 「중환자실 신규 간화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호과학」 25권 2호(2013. 12): 47-58.
  15. 양윤.김혜미. 「대안 제시 형태, 대안 수의 크기, 정보처리 양식이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9권 2호(2018. 5): 429-450
  16. 이병희. 「노동시장 이행 초기 경험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2권 1호(2002. 3): 1-18.
  17. 임다희.조일형.권기헌.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금 및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6권 3호(2014. 12): 529-554.
  18. 제갈돈.김태형.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1권 3호(2007. 11): 7-34.
  19. 조동훈. 「대졸자 청년층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산업관계연구」 28권 4호(2018. 12): 151-172.
  20. 하환호.이영일. 「상품 구색에 따른 선택 어려움과 예상된 후회감이 구매연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9권 6호(2011. 11): 1-10.
  21. 하환호.현정석. 「대안의 수와 제시 형태가 소비자의 선택, 비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5권 2호(2004. 7): 29-47.
  22. 황광훈. 「첫 일자리 이탈 영향요인 분석」. 「노동경제논집」 43권 2호(2020. 6): 41-74.
  23. Batt, R., and A. J. S. Colvin. "An Employment Systems Approach to Turnover Human Resources Practices, Quits, Dismissals,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 (4) (November 2017): 695-717. https://doi.org/10.5465/AMJ.2011.64869448
  24. Blau, G. "Testing a Two-dimension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9 (2) (August 1994): 288-312. https://doi.org/10.1006/obhd.1994.1061
  25. Brasel, S. A. "Overwhelming Alternatives." Stanford University (2004).
  26. Eckardt, R., Skaggs, B. C., and M. Youndt. "Turnover and Knowledge Loss: Anexamination of the differential impact of production manager and workerturnover in service and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51 (7) (November 2014): 1025-1057. https://doi.org/10.1111/joms.12096
  27. Fasolo, B. Carmeci, A. F., and R. Misuraca. "The Effect of Choice Complexity on Perception of Time Spent Choosing: When Choice Takes Longer but Feels Shorter." Psychology & Marketing 26 (3) (March 2009): 213-228. https://doi.org/10.1002/mar.20270
  28. Gingras, I. "Dealing With Too Much Choice." Stanford University (2003).
  29. Gourville, T. J. and D. Soman. "Overchoice and Assortment Type: When and Why Variety Backfires." Marketing Science 24 (3) (August 2005): 382-395. https://doi.org/10.1287/mksc.1040.0109
  30. Hancock, J. I, Allen, D. G., Bosco, F. A., McDaniel, K. R., and C. A. Pierce. "Meta-analytic Review of Employee Turnover as a Predictor of firm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39 (3) (March 2013): 573-603. https://doi.org/10.1177/0149206311424943
  31. Hausknecht, J. P. and C. O. Trevor. "Collective Turnover at the Group, Unit, and Organizational Levels: Evidence, Issu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Management 37 (1) (January 2011): 352-388. https://doi.org/10.1177/0149206310383910
  32. Iyengar, S. S. and M. R. Lepper. "When Choice is Demotivating: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6) (December 2000): 995-1006. https://doi.org/10.1037//0022-3514.79.6.995
  33. Kwon, K., Chung, K., Roh, H., Chadwick, C. and J. J. Lawler.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tex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Turnov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 Human Resource Management 51 (1) (January 2012): 47-70. https://doi.org/10.1002/hrm.20433
  34. Light, A. and K. McGarry.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The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 (2) (May 1998): 276-286. https://doi.org/10.1162/003465398557519
  35.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 (1976): 1297-1343.
  36. Mogilner, C., Rudnick, T., and S. S. Iyengar. "The Mere Categorization Effect: How the Presence of Categories Increases Choosers' Perceptions of Assortment Vareity and Outcome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5 (2) (August 2008): 202-215. https://doi.org/10.1086/588698
  37. Mortensen, Dale, "Job Search and Labor Market Analysis." Or1ey Ashenfe1ter and Richard Layard, (eds.), Handbook of Labor Economics 2 (1986): 849-919.
  38. Neumark D. "Youth Labor Markets in the U.S.: Shopping Around vs Staying put." NBER Working Paper No.6581 (May 2002).
  39. Pissarides, Christopher A. "Equilibrium Unemployment Theory." The MITPress, Cambridge (2000).
  40. Reutskaja, E and R. M. Hogarth. "Satisfaction in Choice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Alternatives: When "Goods Satiate"." Psychology and Marketing 26 (3) (March 2009): 197-203. https://doi.org/10.1002/mar.20268
  41. Schwartz, B. "The paradox of choice: Why more is less." New York: Harper Collins (2004).
  42. Settle, R. B., and L. L. Golden. "Consumer Perceptions: Overchoice in the Market Pla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 (March 1974): 29-37.
  43. Wanberg, C.R., Kanfer, R., and J.T. Banas. "Predictors and Outcomes of Networking Intensity among Unemployed Job Seek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4) (August 2000): 491-503. https://doi.org/10.1037/0021-9010.85.4.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