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festyle Chang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Kang, Jin-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college) ;
  • Bak, Ah-Ream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college) ;
  • Han, Sueng-Ta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Howon University)
  • 강진호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박아름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 한승태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20.05.20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life style change experience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3, 2020 to March 30, 2020 and was conducted on five undergraduate residing in Jeonju. We valued individual's subjective experiences and analyzed them by applying on of the qualitative studie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phenomena as they are. The study found that the lifestyle changes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were derived from three components: Psychological change, Environmental change, and Behavioral change. Though the participants felt uneasy and terrified by COVID-19 through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change, they expressed relief and anticipation fo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lete healers. Experience of environmental change has experienced social distance, changes in academic operation, and difficulty in finding jobs to prevent infection. Behavioral changes have experienced a matrix of mask purchases and thorough management of personal hygiene, which is considered to protect oneself from COVID-19 while also being considerate to others. It is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mediation programs for problems arising from the practice of social distance.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심리적 변화 경험, 환경적 변화 경험, 행동적 변화 경험이었다. 심리적 변화 경험으로는 매일 매스컴을 통해 확진자 소식 및 사망자 소식 등을 접함으로 불안과 공포 우울의 감정을 느꼈으나, 완치자 증가 소식 등을 접함으로 안도감과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환경적 변화 경험으로는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학업 운영 변화를 경험하였다. 행동적 변화로는 마스크 구매 행렬 및 개인위생 관리 철저를 경험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로부터 본인을 보호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배려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초기 참여자들은 관망자에서 적극적인 행동자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실천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심리적·행동적 중재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현정희, 이정현, 박영준, 정은경(2020). 한국 초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 28명의 역학적 특성. 주간 건강과 질병, 13(9): 464-474.
  2. 문현철(2020). 해외 감염병재난 대응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대응규정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1): 155-170.
  3. Zunyou, Wu., & Jennifer, M. M.(2020). Characteristics of and Important Lessons From the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Outbreak in China: Summary of a Report of 72 314 Cases From the Chines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23(13): 1239-1242. https://doi.org/10.1001/jama.2020.2648
  4. 김우주(2016).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학술발표초록집, (1): 13-14.
  5. Choi, S. H., & Ki, M. R.(2020). Estimating the reproductive number and the outbreak size of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 South Korea. Epidemiology and Health, Doi:https://doi.org/10.4178/epih.e2020011.
  6. 행정안전부. http://www.mois.go.kr/
  7. 국가정보법령센터. http://www.law.go.kr/
  8. 교육부. http://www.moe.go.kr/
  9.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40-149.
  10. 진보영, 김신미(2015). 비말감염 예방을 위한 대학생의 기침예절 지식과 이행 수준.
  11. 김남순(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3호.
  12. Colazzi, P. F.(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3.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88
  14. You, Y. J., Lee, M. H., & Paik, E. R.(2011). A Study on Family Burden and Needs for Family Suppor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0(1): 209-234. https://doi.org/10.18541/ser.2011.02.10.1.209
  15. 김옥선, 오진환, 이경혜(2016). 간호대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불안, 지식, 감염가능성, 감염 예방가능성, 감염예방행위 이행 수준의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3): 59-69. https://doi.org/10.15207/JKCS.2016.7.3.059
  16. 이동훈, 김지윤, 강현숙(2016).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35(2): 355-383.
  17. 손선영(2011). 혈액종양 청소년의 질병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1(5): 603-612.
  18. World Health Organization.(2003).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Status of the outbreak and lessons for the immediate future. Geneva, Switzerland.
  19. Mihashi, M., Otsubo, Y., Yinjuan, X., Nagatomi, K., Hoshiko, M., & Ishitake, T.(2009). Predictive factors of psychological disorder development during recovery following SARS outbreak. Health Psychology, 28(1): 91. https://doi.org/10.1037/a0013674
  20. Choi, J, S., & Kim, J, S.(2016). Factor Influencing Preventive Behavior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among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Nurse Education Today, 40: 168-172. https://doi.org/10.1016/j.nedt.2016.03.006
  21. Kim, J, S., & Choi, J, S.(2016).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related knowledge, preventive behaviours and risk perception among nursing students during outbreak.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5(17-18): 2542-2549. doi:10.111/jocn.13295.
  22. 최원석, 양평섭, 박진희, 김효상, 강준구, 김혁황, 강은정(2020).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4): 1-23.
  23. 진보영, 김신미(2015). 비말감염 예방을 위한 대학생의 기침예절 지식과 이행 수준.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7(4): 348-355.
  24. 김민정, 이상엽(2016). 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교육과 의과대학생의 개인 위생 실천도. 의학교육논단, 18(2): 99-105. https://doi.org/10.17496/KMER.2016.18.2.99
  25. 김옥선, 전미양, 방소연(2010). 신종인플루엔자 유행 시 일반인의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과 예방행위 조사.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15(2): 8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