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Study of Local Cultural Policy by Village Mural

마을벽화로 본 지역문화정책 비판적 고찰

  • Received : 2020.09.03
  • Accepted : 2020.09.24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consider the local cultural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y village mural. Village murals, which began to be painted in the late 1990s, have been a nationwide cultural phenomenon for decades. In particular, it was consistently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various local cultural policie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working on the project for two purposes: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ctivating tourism' but it has largely focused on 'activating tourism'. This study grasped the concrete status of major village murals across the country through field surveys, one of the case study methods.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official document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operating in the village mural project were analyzed for the policy basis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plan. As a result of on-site surveys, most of the village murals across the country had problems such as uniform subject matter, low level representation, and poor follow-up management. This is partly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abilities of organizations and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village mural project, but fundamentally, it is due to the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at focused on short-term visual tourism rather than long-term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ere carried out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and that there were problems in the actual work, such as requiring specific topics, subject matter, designs and colors. As a result, the village murals 'objectify' the residents and 'romanticized' the place, resulting in a unified visual repres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 should be strictly managed, but in actual work, the vertical integration structure should be eased by simplifying various documents and procedures, as well as rich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place, selection of various topics, and original subject matter and expressions.

본 연구는 마을벽화를 통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지역문화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1990년대 말부터 그려지기 시작한 마을벽화는 지난 십수 년 동안 전국적인 문화현상이 되어왔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가 시행하는 다양한 지역문화 정책의 중요 요소로 꾸준히 활용되었다. 정부와 지자체는 '주거환경 개선'과 '관광 활성화'라는 두 개의 목적으로 이 사업을 전개하여 왔으나 대체로 '관광 활성화'에 치중되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의 하나인 현장조사를 통하여 전국의 주요 마을벽화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공문서 분석을 통하여 마을벽화 사업에 작동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근거와 행정적 관리 방안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전국 대부분의 마을벽화는 획일화된 소재, 낮은 수준의 재현, 부실한 사후관리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마을벽화 사업에 참여한 단체나 예술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른 것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장기적인 주거환경 개선보다는 단기적인 시각적 관광물에 치중한 정부와 지자체의 사업에 기인한 것이라고 하겠다. 정부와 지자체의 사업은 수직계열화에 의하여 전개되었으며 실제 작업에 있어서 구체적인 주제와 소재, 도안과 색채 등을 요구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하여 마을벽화는 해당 주민을 '대상화'하고 해당 지역을 '낭만화'하였으며 그 결과 획일화된 시각 재현물이 전면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과 회계는 엄격히 관리하되 실제 작업에서는 각종 문서와 절차의 간소화하여 수직계열화 구조를 완화하고 아울러 대상지에 대한 풍부한 문화적 이해, 다양한 주제의 선택, 독창적인 소재와 표현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경관법 항목 (law.go.kr/법령/경관법/(13726,20160106.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20일)
  2. 국가법령정보센터, 도시재생법 항목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9567#0000.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20일)
  3. 국토교통부, 건축문화경관과, '경관포털'(http://www.beautifulcountry.or.kr/scenery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20일)
  4. 대전세종연구원 편(2018), 지역환경 개선 차원에서 도시벽화의 활용에 대한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5.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편(2013), 마을미술프로젝트 사후실태조사 자료집,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6.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편(2015), 2015마을미술프로젝트사업신청서,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7.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편(2019), 2019마을미술프로젝트공모신청서,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8.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편(2020), 2020마을미술프로젝트사업신청서,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9. 문화체육관광부, 2009년 4월 2일자 보도자료
  10.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 6월 3일자 보도자료
  11. 문화체육관광부.기획재정부, 2020년 6월 4일자 공동 보도자료
  12. 서울시, 서울정보소통광장, 서울형 도시재생 항목(https://opengov.seoul.go.kr/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20일)
  13. 서울연구원 편 (2013), 도시재생특별법 제정에 따른 서울의 대응과제와 방향, 서울연구원
  14. 예술경영지원센터 편(2007년), 2006 소외지역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미술 사업 평가보고서, 예술경영지원센터
  15. 이재형 작가 홈페이지(https://www.leejaehyung.com/7210318.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20일)
  16. (재)아름다운맵 편(2013), 2009년-2011년 마을미술프로젝트 사후관리실태조사 자료집, (재)아름다운맵
  17. 한국광해관리공단(2014), 정선 벽화마을 조성사업 과업 지시서, 한국광해관리공단
  18. 한국농어촌공사 예산지사(2017), 금곡마을 새뜰마을사업 벽화조성 공사 공고문, 한국농어촌공사 예산지사
  19. (주)홍익기술단 홈페이지(http://hieng.co.kr/sub/sub01_01.php. 자료 검색일 2020년 6월 15일)
  20. 김동수(역), 아미엥에서의 주장, 루이 알튀세르(1991), 솔
  21. 김상현(역), 불편한 인터넷, 솔 레브모어, 마사 누스바움 편저(2012), 에이콘출판
  22. 박광식(역), 이미지의 문화사, 피터 버크(2005), 심산
  23. 이영민 외(역), 문화, 장소, 흔적, 존 앤더슨(2013년), 한울
  24. 오상훈(역), 관광객, 딘 맥켄널(1994), 일신사
  25. 임은미 외(역), 질적 연구방법, 우베 플릭(2009), 한울아카데미
  26. 신경식 외(역), 사례연구방법, 로버트 인(2016), 한경사
  27. 권범철(2019), 신자유주의에서 도시 커먼즈의 흡수, 공간과사회, 제29권 3호, 59
  28. 김주영(2015), 낭만과 현실 사이에서, 비교문화연구, 통권 21권 2호, 45
  29. 김한상(2018), 비언어적 질적 자료;시청각 자료를 중심으로,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 방법론, 최종렬 외 엮음, 휴머니스트, 291
  30. 안인기(2013), 태백 상장동 마을벽화로 본 공공미술의 역할, 미술과교육, 통권 14권 3호, 89-91
  31. 이상훈(2018),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민의 사회적 배제 현상 분석, 관광학연구, 42권3호, 136
  32. 장순재(2017), 경관법 제정의 기본방향 및 주요내용, 국토 2007년 11월, 국토연구원, 126
  33. 정윤정.김진아(2016), 이화동 마을벽화 훼손 사건을 통해 본 공공미술의 문제, 인문콘텐츠 (42), 98
  34. 강신욱, 청주시, 난개발 수암골 정체성.관광명소 지구단위 계획 추진, 뉴시스, 2019년 9월 16일
  35. 엄재진, 도심 상권 활성화 이끄는 도시재생사업, 매일신문, 2015년 10월 19일
  36. 이완종, 수암골 이대로는 안 된다, 중부매일, 2017년 1월 8일
  37. 박윤수, 미술계 화두로 등장한 공공미술, 여성신문, 2007년 10월 19일
  38. 주관수, 도시재생법 제정 그 의의와 한계, 한겨레신문, 2013년 5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