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to Customers Attitude for the Goods and Service Introduced in Review UGC

체험형 1인 미디어콘텐츠에서 소개하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영향요인 연구

  • 손재영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 Received : 2020.05.28
  • Accepted : 2020.06.23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o customer attitude on the goods and service introduced in UGC(User Generated Contents) and explor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hypothetical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area of which are media consumption, social media and effect of advertising. In this study examined 4 in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reliability, BJ attractiveness and customer innovation. Methodologies ar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Result showed that reliability, BJ attractiveness and customer innov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β value, the biggest one is customer innovation, the second one is BJ attractiveness and the third one is reliabilit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on customer attitud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is well-aligned with the prior studies. The information factor's influence, however, is disputable because some prior studies shows that it is not significant when the research samples are recently developed channel such as mobile or social media commerce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oot causes why the information factor is not significant in some research case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d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in reliability, BJ attractiveness and attitude are sta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atings of Chinese customers are higher. This result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edia commerce environment between Korea and China. Information and customer innovat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콘텐츠 내에서 소개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요인별로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 간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 독립변인으로 정보성, 신뢰성, BJ 매력성, 소비자혁신성을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혁신성, BJ 매력성, 신뢰성의 순서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성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체로 소셜 미디어나 디지털 광고의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정보성의 영향은 관련 연구에서 소비자나 채널의 특성에 따라 유의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경우가 엇갈리게 보고되고 있어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요인별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신뢰성, BJ 매력성, 태도 항목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점수가 더 높았고 평균 차이는 유의하였다. 이는 체험형 1인 미디어콘텐츠가 연계되는 미디어커머스 환경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성과 소비자혁신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향후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 및 실험방식 도입을 통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준(2016), 인터넷 개인방송의 성공요인 분석: 아프리카 TV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복준.장석준(2018), TV홈쇼핑과 스마트 미디어 재구매 의도의 관계 요인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127-147.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127
  3. 김상훈.강지윤(2005), 소비자 특성이 추구편익 및 내구재 속성의 중요도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혁신성, 대인적 민감도,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0(4), 209-226.
  4. 김현진.강명주(2018), 휴먼브랜드의 속성이 20대 소비자의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인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2), 885-895. https://doi.org/10.37727/jkdas.2018.20.2.885
  5. 량최정.방호열(2017), 소비자혁신성과 제품 속성이 스마트기기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역연구 13(4), 417-434.
  6. 박현희.이금.전중옥(2010), 비주얼 머천다이징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비교문화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4), 439-449. https://doi.org/10.5805/KSCI.2010.12.4.439
  7. 손재영(2019), 유료 지식콘텐츠 플랫폼 발전 양상의 한중 비교,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4, 241-269
  8. 심성우(2014), 인터넷 개인 게임 방송과 저작권-아프리카 TV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5(2), 1-51.
  9. 안대천.김상훈(2012), SNS 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10. 안은정.이형탁(2016), 휴먼브랜드 애착의 영향요인과 결과, 마케팅연구 29(3), 119-146.
  11. 오윤수(2011),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특성변수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종철.황순호(2018), 1인 크리에이터 방송 이용자의 시청만족 및 구독의도에 관한 연구 - 자아일치성과 소비자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 연구 19(6), 137-157.
  13. 이광원.류범.류승완(2018), 1인 미디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이 소비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연구 15(2), 187-199. https://doi.org/10.22865/JITA.2018.15.2.187
  14. 임성욱.윤성필(2009), 멀티플렉스 상영관 고객 만족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3(1), 35-42.
  15. 황민우.정헌배(2007), 소비자혁신성과 신제품 수용도 및 감성적 소비가치 요소의 관계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77, 145-172.
  16. Li, J.(2015), 재한 중국 학생들의 눈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Bauer & Greyser(1968), Advertising in America: The consumer view, Boston: Havard University Press.
  18. Ducoffe(1996),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6(5), 21-45.
  19. Engel, Blackwell & Miniard(1995),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20. Fishbein & Ajzen(1975),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Addison Wessley.
  21. McMillan & Hwang(2002), Measure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direction of communication, user control, and time in shaping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31(3), 29-42.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74
  22. Pollay & Mittal(1993), Here's the factors: Determinants and segments in the consumer criticism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57(July), 99-114. https://doi.org/10.2307/1251857
  23. Rogers(1995), Diffusion of Innovation(4th edition), New York: Free Press.
  24. 메조미디어(2018), 2018 디지털 동영상 이용행태 조사.
  25. 더피알(https://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94, 자료검색일 2020.01.28.)
  26. 시사저널(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099, 자료검색일 2020.03.23.)
  27. 한국일보(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7101659791642, 자료검색일 2020.01.28.)
  28. 이코노미조선(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7/2020011702487.html, 자료검색일 2020.01.28.)
  29. 柚柚科技(https://youyou-tech.com/2019/11/13/%E5%BC%A0%E5%A4%A7%E5%A5%95%E5%8F%8C%E5%8D%81%E4%B8%80%E5%86%8D%E5%88%9B%E5%A5%87%E8%BF%B9%E5%85%A8%E6%97%A5%E5%A5%B3%E8%A3%85%E6%88%90%E4%BA%A4%E9%A2%9D%E7%A0%B43%E4%BA%BF/, 자료검색일 202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