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군 간부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 김정희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J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Joong-Ang Sangha University)
  • 투고 : 2020.02.27
  • 심사 : 2020.05.14
  • 발행 : 2020.05.31

초록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The sample included 552 Republic of Korea Arm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who were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gi-Do.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ifferential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NCOs, including sub-factors, was above the mean level; in terms of the ranking per sub-factor, the scores were in the order of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The experience frequency of the targets and the evaluation was lowes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the military, and the evaluations were in the order of public media, school, and military. Second, The differential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ogy of the popula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showed that the duration of education(personal factor), marital status(family factor), existence of a foreign relative(family factor), and existence of experience of managing multicultural personnel as soldiers under command(military-related fa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and public media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the existence of education within the military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military, school, and public media,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multicultural educational plans that may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and NCOs as a way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composition in the arm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운선(2014). 고등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이 다문화수용성태도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대구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3(3). 31-49.
  2. 강혜경(2015).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1-16.
  3. 계선자.강혜경.정미선(2009). 다문화가족의 결혼생활 관련요인 분석 : 용산구 다문화가족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31-57.
  4. 국방부(2016). 장병 다문화교육용 교재: 다문화시대 선진강군. 국방부.
  5. 권현오(2018). 경찰관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금혜령(2013).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경호(2013).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문화간 감수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교육, 22, 77-104.
  8. 김광억(2009). 다문화사회 추세에 대비한 군복무 발전방향. 한국사회과학, 31, 85-101.
  9. 김동환(2010). 이 문화적응 훈련에 관한 이론적 고찰. 경상논총, 3(1), 57-74.
  10. 김만하(2019). 한국군 간부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연구: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심경(2010). 다문화가정 장병에 대한 현역병사의 태도.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영준(2016). 다문화가정 자녀 입대에 따른 군(軍)내 한국어 교육 방안. 한국교육연구, 4, 41-59.
  13. 김옥순.김진호.신인순.안선영.이경화.이채식.전성민.조아미.최상호.최순종 역(2009).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Bennett, C. I.(2009). Compri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서울: 학지사
  14. 김정수.박진옥(2015). 장교 후보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군대에 관한 태도. 민족문화논총, 61, 121-146.
  15. 김정아.정정희(2015). 보호직공무원의 다문화 인식과 인권감수성 관계 연구. 보호관찰, 15(2), 169-196.
  16. 김환남.이선애.이은경(2013).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를 활용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123-144.
  17. 나태종.노양규(2014). 다문화군대에 대비한 한국군의 병영정책 발전방안. 다문화교육연구, 7(4), 55-80.
  18. 민무숙.안상수.김이선.선보영.이명진(2012).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19. 민무숙.안상수.김이선.김금미.조영기.류정기(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20. 박선미.성민선(2011). 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적 인식에 미친 영향. 사회과교육, 50(3), 1-15.
  21. 박성혁.모경환.김명정(2009). 다문화군대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교육 연구와 실천, 1, 1-14.
  22. 박안서(2011). 다문화 장병 입영에 따른 병영 환경 조성방안. 국방정책연구, 26(4), 177-207. https://doi.org/10.22883/JDPS.2011.26.4.007
  23. 박외자(2016). 청소년의 내적 발달자산과 인권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용호.신혜연.배현경.조대연(2013). 군 지휘관 대상 다문화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탐색적 모델 연구. HRD연구, 15(1), 57-81. https://doi.org/10.18211/KJHRDQ.2013.15.1.003
  25. 병무청(2016). 병역자원현황(1996-2015). 병무통계연보.
  26. 성미애(2011).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63-81.
  27. 소연희(2018). 중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문화 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 교원교육, 34(3), 167-193.
  28. 신유경.장진경(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109-122.
  29. 신재희(2015). 예비중등교사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희경(2015). 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조사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안상수.김이선.마경희.문희영.이명진(2015).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32. 양철호.박상록(2017). 현역장병의 군 사고예방을 위한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3(7), 1-15.
  33. 유승범(2012). 다문화 시대의 군 인력관리 개선 방안: 장병들의 다문화감수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윤인진.송영호(2009).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1), 579-591.
  35. 이경민(2017). 국내 다문화수용성 연구동향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수경(2017). 예비교사의 공감능력, 문화간감수성,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효능감 간의 관계. 교원교육, 33(2), 263-281.
  37. 이인숙.조주연(2015). 간호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다문화건강학회지, 5(1), 1-9.
  38. 이지영(2013). 중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장연진.구혜영(2013). 농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구조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3), 193-216.
  40. 장인실.김명희(2011). Bennett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50, 123-146. https://doi.org/10.17253/SWUERI.2011.50..005
  41. 장인실.이혜진(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다문화교육연구, 3(1), 55-87.
  42. 전은령.변상해(2012). 다문화 군 조직 실태 및 조직문화 변화에 따른 정책 대안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4, 225-231.
  43. 정명호(2013). 다문화환경 대비 한국 군 대응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정명희.박외병(2014). 대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7(2), 81-105.
  45. 정석원.정진철(2012). 청소년의 다문화교육경험과 사회적 친밀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5(1), 51-68.
  46. 정현석(2019). 군 장병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분석에 따른 전력향상 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조기형.홍석조(2010). 한국군 다문화군대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신안보연구, 166, 133-166.
  48. 조미성(2014).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조영달.박윤경.이정우.이경수(2007). 다문화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인식 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50. 조현웅(2016). 미군의 다문화 군인관리 제도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 장병 관리 방안. 전략논단, 23, 99-125.
  51. 진병규(2018). 한국군 장병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차성란(2009).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문화 통합의 지향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85-101.
  53. 최경일.조성심(2017).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매개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2), 375-383. https://doi.org/10.14400/JDC.2017.15.2.375
  54. 최만식(2013). 교원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5. 최미숙.김경숙(2008). 다문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반편견 인식 및 다른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2), 65-79.
  56. 한수진.정진경(2012). 초등학생의 다문화경험과 문화 간 감수성의 관계. 아동과 권리, 16(1). 173-194.
  57. 한은경.서유진(2020). 정신건강복지센터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행동, 태도,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59-72.
  58. 황성동.임혁.윤성호(2012).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64(1), 125-150.
  59. Allport, G. W.(1954).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 Addison-Wesley.
  60. Banks, J. 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nd ed). Boston : Allyn & Bacon.
  61. Sleeter, C. & Grant, C.(2003).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4nd ed). Hoboken, NJ :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