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네일매장의 점포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단독 매장을 중심으로 -

The nail store's store attributes on revisit intensity - focus on independent stores -

  • 임윤경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투고 : 2020.02.27
  • 심사 : 2020.05.10
  • 발행 : 2020.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at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ption of nail store attributes has on intent to revisit (focus on independent stores) by performing quantitative research. The importance of nail stores is increasing with sales amounts and the number of workers, however, previous research in this area is not complete. The reason that this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done before the quantitative research is due to the scant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matter. As the nail market is steadily increasing, determining the factors to make a successful and influential store leading to revisits is very meaningful both academically and in business. For the quantitative study, consumers from 20 years old to less 60 years old who had purchased nail service at independent nail stores were included in the survey. Quota sampling was adopted in the areas where the independent nail stores were located from May 10th to May 30th, 2019, and 26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ose containing insincere respondences were excluded. The most important nail store attribute was reliability (store name value, relationship with workers and A/S) and then the physical environment, economics, product, and promptness. The result depended on demographic factors- younger and lower-income respondents put a premium on the physical environment, promptness, and economics, on the other hand, older and higher-income respondents placed a priority on reliability.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is that all store attributes (reliability, physical environment, economics, promptness, produc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il store attribute importance on revisit intention. Promptness, economic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revisit int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희. (2007). 네일관리에 대한 인식 및 네일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숙, 정갑연, 장용운. (2016). 네일케어 업체의 서비스 특성이 관계의 질 및 고객층성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지, 13(1), 45-76.
  3. 김선영, 박미경. (2014). 네일 샵 고객의 네일 서비스 요인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2(4), 555-564.
  4. 김선영, 한삼성, 김영희, 유왕근. (2018). 네일샵의 SNS특성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지, 14(2), 219-225.
  5. 김신희, 이재하. (2017). 네일샵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8(1), 243-256.
  6. 김윤, 방기정. (2016). 네일 샵의 서비스 보상이 만족 및 고객평가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9), 255-265.
  7. 김윤희, 김미영.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체계와 쇼핑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183-194.
  8. 김은영. (2011). 유형별 네일샵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뷰티산업연구, 5(2), 5-24.
  9. 김진숙, 김은영, 유미금. (2013). 네일 미용분야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뷰티산업연구, 7(2), 57-72.
  10. 김현숙, 이은영. (1992). 점포 이미지에 의한 패션점포의 유형화. 한국의류학회지, 16(2), 155-168.
  11. 김혜영, 황선순. (2007). 네일샵의 유형이 네일서비스 매뉴얼에 대한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예술학회지, 8(1), 135-153.
  12. 박승영, 김종택, 이효성. (2008). 부정적 호텔 고객특성과 특1급 호텔 직원의 개인특성이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학회지, 4(1), 14-73
  13. 서경자, 김미영. (2018). 소비자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네일서비스의 심리적효과의 차이. 복식문화학회지, 26(4), 519-530.
  14. 여성소비자신문. (2019). 셀프 네일.페디 전성시대 '빅스톤' 트렌드 인기에 힘입어 매출 급상승. 자료검색일 2019. 7. 24, 자료출처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78157
  15. 여성신문. (2019). 아우라뷰티, 네일아트 전용머신 '네일스퀘어' 론칭. 자료검색일 2019. 6. 30, 자료출처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76535
  16. 염현정, 김정원. (2019). 네일관리상품에 대한 네일샵 입지별 소비자 이용의도 차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4), 555-564.
  17. 유혜경, 이민선. (2018).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점포에 대한 애착이 점포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2), 191-201. https://doi.org/10.5805/SFTI.2018.20.2.191
  18. 윤진경, 어수연. (2018). 뷰티샵 서비스 스케이프와 보상서비스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2), 481-492.
  19. 이미선, 안종숙. (2012). 네일샵의 경영형태 비교를 통한 프랜차이즈 선택동기와 경영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지, 201-211.
  20. 이애주, 박대환, 박진우. (2003). 외식업체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연구지, 12(1), 191-213.
  21. 이정원. (2014). 메이크업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지영. (2016). 네일서비스 7Ps 요인이 네일샵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7(3), 203-214.
  23. 이주호. (2009). 장소이미지, 체험가치, 그리고 재방문의도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학식, 임지훈. (2011). SPSS 18.0 매뉴얼. 서울: 집현재.
  25. 이현숙, 조진아. (2009). 네일관리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2), 381-390.
  26. 임현철. (2006). 호텔 베이커리 브랜드 이미지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지, 9(2), 20-169.
  27. 전태유, 박노현. (2010).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과 관계품질의 매개적 역할. 상품학연구, 28(2), 17-29.
  28. 조판래. (2003). 점포속성과 소비자속성이 미용서비스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전국사업체조사 9차 개정(2006-2016).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8. 10. 20, 자료출처 http://www.kosis.kr
  30. 채서일. (2009).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앰북스.
  31. 최병길. (2011). 슬로우 투어리즘의 만족과 재방문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최성식. (2017). HMR산업에서 점포속성이 점포 및 상품이미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품질의 조절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최태호, 전진화. (2007). 외식업체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지, 10(4), 22-151
  34. 통계청. (2010). 전국사업체조사 9차 개정(2006-2016). 자료검색일 2018. 10. 20, 자료출처 http://www.kosis.kr
  35. Bloemer, J., de Ruyter, K., & Peeters, P. (1998). Investigating drivers of bank loyalt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imag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16(7), 276-286. https://doi.org/10.1108/02652329810245984
  3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Seven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37. Gitelson, R. J., & Crompton, J. L. (1984). Insights info the repeat vacation phenomenon. Annals Tourism Research, 2, 199-217. https://doi.org/10.1016/0160-7383(84)90070-7
  38. Jacoby, J., & Muzursky, M.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s. Journal of Retailing. 62(2), 145-165.
  39. Cronin, J, J., & Taylor, S. A. (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https://doi.org/10.2307/1252296
  40. Kelly, R. F., & Stephenson, R. (1967). The semantic differential; An information source for designing retail patronage appeals. Journal of Marketing. 31, 43-47. https://doi.org/10.1177/0022242967031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