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stalk and the inchworm sign on preoperative MRI for detecting superficial bladder cancers,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between the stalk and the inchworm sig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40 patients (505 tumors) who had undergone radical cystectomy. The tumors were classified as follows: superficial or invasive tumors indicated by the stalk or inchworm sign on 3.0 Tesla MRI. We evaluat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stalk and inchworm signs, by comparing each finding with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T stage. We compared diagnostic performance between them statistically. Results The stalk and inchworm signs showed high specificity (93% and 91%, respectively), positive predictive values (89% and 90%, respectively), and acceptable accuracy (70% and 74%, respectively), but low sensitivity (54% and 61%, respectivel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60% and 63%,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s (p > 0.05). Conclusion Superficial bladder cancers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invasive tumors using the stalk or inchworm sign on MRI.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표재성 방광암(T1 또는 그 이하 병기)을 확인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의 stalk sign 및 inchworm sign의 진단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방광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240명의 환자들(505개의 종양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모든 종양은 3.0 테슬러 자기공명영상에서 T2 강조영상의 stalk sign 또는 확산강조영상의 inchworm sign을 발견함으로써 표재성 종양 및 침윤성 종양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수술 후 병리학적 T 병기와 비교함으로써 통계학적으로 진단적 의의를 평가하였고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Stalk sign 및 inchworm sign은 높은 특이도(93%, 91%), 양성예측도(89%, 90%), 정확도(70%, 74%)를 보였으나 낮은 민감도(54%, 61%)와 음성예측도(60%, 63%)를 보였다.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에서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결론 수술 전 T2 강조영상의 stalk sign과 확산가중영상의 inchworm sign을 발견함으로써 표재성 방광암을 쉽게 진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