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oon Thought and Prophecies of Jeong Gam: Emphasizing the Chinese Poetic Sources Transfigured by Jeungsan

대순사상과 『정감록』의 관계 - 증산이 변용한 한시 전거(典據)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0.09.27
  • Accepted : 2020.12.0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It has been suggested that Jeungsan's prophetic poem that starts with the verse "For about seven or eight years, there will be a castle in the ancient country [七八年間古國城] ⋯" originally comes from Prophecies of Jeong Gam (鄭鑑錄). Despite Jeungsan, himself, obviously having been critical of that text, this claim has become the basic grounds for discourse suggesting that Jeungsan was not only interested in Prophecies of Jeong Gam but also considerably influenced by the text. However, the claim itself was formulated due to misunderstandings of the Chinese poems that had been included in A Compilation of Secret Prophecies Hidden in the Family-clan of Seogye (西溪家臧訣). These poems pursue a different ideological orientation than the poem from Prophecies of Jeong Gam. Ultimately, the Chinese poem in the verse 84 the chapter titled, Prophetic Elucidations in The Canonical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cannot provide a basis for the claim that Jeungsan was strongly influenced by Prophecies of Jeong Gam. This claim that Prophecies of Jeong Gam made a deep impact on Jeungsan and Daesoon Thought was based on three other texts outside of those that appear within verse 84 of Prophetic Elucidations. The first supposedly-related line is: "Heaven opens at the period of the Rat (Ja 子), Earth opens at the period of the Ox (Chuk 丑), humankind starts at the period of the Tiger (Ihn 寅)." This line comes from from Shao Kangjie's Book of Supreme World Ordering Principles (皇極經世), and the line could be quoted idiomatically as an expression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ly, attempts to relate Daesoon Thought to Prophecies of Jeong Gam are a distortion that arise from the assumption that Jeungsan had a significant interest in Prophecies of Jeong Gam. The second related line is "At the foot of Mount Mother (母岳山), a golden icon of Buddha has the ability to speak [母岳山下 金佛能言]." That line is nearly identical to the verse "On the summit of Mount Mother, a golden icon of Buddha has the ability to speak [母岳山頭 金佛能言]." Yet, Jeungsan changed '頭 (du, the summit)' to '下 (ha, the foot or under)' and express his own unique religious prophecy. This allusion to the prophecies of Jeong Gam is actually a criticism designed to disprove the earlier prophecy. Third, is the verse, "The form of Buddhism, creation of daoism, and propriety of Confucianism [佛之形體仙之造化儒之凡節]," which is characteristically related to Daesoon Thought. This verse can only be found in the prophetic text, Prophecies of Chochang (蕉蒼訣), and it is provided a main source when alleging that Prophecies of Jeong Gam was an influence on Daesoon Thought. However, considering the context of Prophecies of Chochang and the year of its publication (it is assumed to be compiled after 1950s), this does not hold water as Jeungsan had already passed into Heaven several decades before that time. This disqualifies the verse from being a basis for asserting Prophecies of Jeong Gam as an influence on Daesoon Thought. Contrary to the original assertion,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evidence that Prophecies of Chochang absorbed aspects of Daesoon Thought, which were simply revised in a novel way. There is no truly compelling evidence underpinning the argument that Prophecies of Jeong Gam had a unilateral impact on Daesoon Thought. There seems to be a great deal of confusion and numerous misinterpretations on this matter. Therefore, the claim that Daesoon Thought, as developed by Jeungsan,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n dynastic revolution and feng shui contained in Prophecies of Jeong Gam should be re-examined at the level of its very premise.

칠팔년간고국성(七八年間古國城)으로 시작하는 증산의 비결시는 그 원형이 『정감록』에 수록된 것이라 주장되고 있다. 증산이 『정감록』에 대해 비판적이었음이 명확히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이 주장은 "증산이 『정감록』에 심취했고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라는 담론의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이 주장은 『정감록』과 사상적 지향점이 다른 비결서인 『서계가장결』에 수록되어 있던 한시를 『정감록』의 비결시로 오인함으로써 비롯되었다. 결국, 예시 84절의 한시는 더는 증산에 대한 『정감록』의 깊은 영향을 주장하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증산이 『정감록』의 깊은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은 예시 84절의 한시 외에도 세 가지 문헌을 그 근거로 한다. 첫째는 "천개어자 지벽어축인기어인[天開於子 地闢於丑 人起於寅]"의 어구로 소강절의 『황극경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어구는 조선에서는 숙어처럼 쓰이던 매우 일상적인 용어였다. 따라서 『정감록』과 대순사상이 이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정감록』과 증산을 관련짓는 것은 증산이 『정감록』에 심취하였다는 예단에서 비롯된 왜곡인 것이다. 둘째는 "모악산하(母岳山下)에 금불(金佛)이 능언(能言)하고"라는 어구이다. 이는 정감비결의 "모악산두 금불능언[母岳山頭 金佛能言]"의 어구와 거의 같다. 하지만 증산은 두(頭)를 정반대의 하(下)로 뒤집고 자신만의 종교적 예언을 덧붙인다. 비결을 전복하여 비결을 비판하고 해체하는 것이다. 셋째는 "불지형체선지조화유지범절(佛之形體仙之造化儒之凡節)"이라는 대순사상의 특징과 관련된 어구이다. 『초창결(蕉蒼訣)』이라는 비결서에 유일하게 발견되어 대순사상에 대한 『정감록』의 영향을 입증하는 주요 근거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초창결』의 내용과 필사 시기 등을 통해 분석하면 『초창결』은 1950년대 이후 편집된 비결서이기에 이 어구도 대순사상에 대한 정감 비결의 영향을 입증하는 근거는 될 수 없다. 오히려 역으로 『초창결』이 대순사상의 편린을 흡수하여 새롭게 편집되었음을 시사하는 많은 증거가 발견된다. 결국, 증산과 대순사상에 대한 『정감록』의 일방적인 영향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따라서 증산의 『정감록』에 대해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모습은 잘못된 사실관계에 기반하여 구축된 허상인 것이다. 그러므로 증산에 의해 전개된 대순사상이 정감 비결의 풍수도참적 역성 혁명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은 원점에서 재검토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증산의 생애와 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9.
  3. 「南師古秘訣」
  4. 「南蕉窓訣」
  5. 「道宣秘訣」
  6. 「杜師聰秘訣」
  7. 「無學秘記」
  8. 「北窓秘訣」
  9. 「秘訣輯錄」
  10. 「備邊司謄錄」
  11. 「西溪家藏訣」
  12. 「西溪先生文集」
  13. 「西山大師秘訣」
  14. 「承政院日記」
  15. 「英祖實錄」
  16. 「仁祖實錄」
  17. 「鄭鑑錄」
  18. 「鄭鑑錄」 (1913)
  19. 「鄭鑑錄解題」
  20. 「蕉窓錄」
  21. 「蕉窓錄」 (1961)
  22. 「土亭家藏訣」
  23. 細井肇 編著, 「鄭鑑錄」, 東京: 自由討究社, 1923.
  24. 김방룡, 「증산사상의 연구 동향과 대순사상의 학문적 과제」,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5
  25. 김성환, 「한국 선도의 맥락에서 보는 증산사상」,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8
  26. 김신회, 「'정감록' 기억의 형성과 예언서 출현: 1739년 이빈(李濱)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84, 2018. https://doi.org/10.22943/han.2018..84.007
  27. 김용주 편, 「鄭鑑錄」, 京城: 漢城圖書株式會社, 1923.
  28. 김진영 외 역주, 「명창 장자백 창본 춘향가」 서울: 박이정, 1996.
  29. 김탁, 「증산 강일순이 인용한 한시 연구」, 「한국종교」 19, 1994.
  30.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증산교와 민간신앙의 만남- 비결신앙」, 「월간천지공사「 68, 1995.
  31. 김탁, 「한국종교사에서의 증산교와 민간신앙의 만남」, 「신종교연구「 2, 2000.
  32. 김탁, 「조선의 예언사상「, 성남: 북코리아, 2016.
  33. 김탁, 「정감록 출현의 역사적 과정과 의의」, 「충청문화연구「 20, 2018.
  34. 김탁, 「일제강점기의 예언사상「, 성남: 북코리아, 2019.
  35. 백승종,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9) 1923년 일본인들의 정감록 처형」, 《서울신문》, 2005. 5. 19.
  36. 백승종,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20) 현대판 정본 정감록의 배후를 찾아라」,《서울신문》, 2005. 5. 26.
  37. 백승종,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29) 이득윤과 '서계이선생가장결」,《서울신문》, 2005. 7. 28.
  38. 백승종, 「한국의 예언 문화사」, 서울: 푸른역사, 2006.
  39. 안춘근 편, 「정감록집성「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1.
  40. 윌리엄 페이든, 「비교의 시선으로 바라본 종교의 세계「, 이진구 옮김, 파주: 청년사, 2004.
  41. 이병욱, 「불교와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141
  42. 이종관, 「청주 사림의 학맥과 서계 이득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2.1092
  43. 최중현, 「「격암유록」 이용세본의 저본(底本)들에 관한 소고」, 「신종교연구」 10, 2004.
  44. 최중현, 「저본들과의 비교에서 드러나는 「격암유록」 편집내역」, 「신종교연구」 19, 2008. https://doi.org/10.22245/jkanr.2008.19.19.268
  45. 한승훈, 「조선후기 변란의 종교사 연구: 추국 자료로 본 반란과 혁세 종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46. 현병주 편, 「批難鄭鑑錄眞本」, 京城: 槿花社, 1923.
  4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