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Appraised through the Hyeonggi Theory in Fengshui

풍수 형기론(形氣論)으로 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2.08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verall Fengshui figuration and geomantic features of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Mt. Geumgang)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Hyeonggi (Energy of Form) Theory in Fengshui.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mountain landscape viewable from the surface, examined the influence of Qi (Energy) flowing inside it, comprehended the flow of its vitality in terms of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gauged the depth of the energy produced from mountain streams to determine fortune and misfortune. There is a special significance to this site due to Sangje's teaching that "⋯ it will be prosperous with 12,000 Dotonggunja (Dao-empowered Sages)," and it is also known as a efficacious grounds for cultivation among ascetics due to it housing the royal mausoleum of Dojeon (interpreted by some as Maitreya). Concern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geomantic symbolism and growth-supporting land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it corresponds to Fengshui theory, and in keeping with this, the topography and conditions are likewise examined. The mountain range and its energy pathways (veins) harmonize with the pure water energy coming from the East Sea. The mountain terrain of Mount Geumgang, and the geomantic location, topography, and energy pathways that influence Daesoon Jinrihoe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re all explored.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extends through Mount Geumgang to Sinseonbong Peak, and one range extends to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whereas the other range extends through Sangbong Peak down to Misiryeong Valley and Mount Seorak.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aesoon Jinrihoe has always strongl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temple complexe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order has always selected locations that exhibit optimal conditions which suit the construction of sacred spaces. The determinations in this paper were made through an academic approach that drew upon various theories of Fengshui while examining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The in-depth analysis was specifically based on Hyeonggi Fengshui.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looked into the surroundings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In particular, the mountains and flow of nearby bodies of water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to show how the surrounding topography corresponds to the principles of Fengshui. An integral approach combining all major theories of Fengshui revealed that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starts from Sinseonbong Peak, and its energy flows through the main mountain range, going through numerous geographical changes of yin and yang. When the range flows down, the water flows accordingly, and where the water whirls, the mountains are shaped accordingly. Eventually, this energy reach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s and bodies of water,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the order of nature, it can be judged that the most prominent geomantic feature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corresponds to traditional theories of Fengshui in that it forms a configuration wherein optimal water energy supports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Yang and harmonizes the Blue Dragon with the White Tiger.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도장을 풍수학의 형기학적인 관점에서 전반적인 풍수의 국세와 특징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겉으로 드러난 산의 형세를 보고, 그 안에 흐르는 기의 세력을 살펴 산천에서 발생하는 기운의 강약과 후박 등을 통해 생기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길흉을 살펴보았다. 이곳은 특히 "일만 이천의 도통군자로 창성하리라"라는 상제님의 말씀이 서려있는 곳이며, 미륵불과 도전님의 능소가 있다는 점에서 수도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도장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풍수론에 부합한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상징성과 생왕지지에 대해 탐색하고, 그에 따른 지세와 형국, 동해의 맑은 수기가 어울린 용맥과 지맥, 금강산의 산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입지와 지세, 지맥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은 금강산을 거쳐 신선봉으로 이어지고 그 중 한 줄기는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졌고, 다른 한 줄기는 상봉을 거쳐 미시령과 설악산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따라서 대순진리회의 여러 도장들 가운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을 형기풍수론을 토대로 살펴봄으로써, 대순진리회가 종교 건축물의 입지조건으로서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강력히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풍수지리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그 본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이 자리하고 있는 현장을 중심으로 산과 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변의 지세가 어떤 형태로 풍수의 이치에 부합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제반 풍수이론에 근거하여 볼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은 신선봉을 필두로 하여 주맥이 행도 과정에서 산줄기가 흘러내리면 물이 따라 흐르고, 물이 휘돌아 흐르는 곳에 산이 따라 이어지는 수많은 지리적 음양변화를 거치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져 내렸다. 자연의 이치라 할 수 있는 산과 물의 유기적인 관계로 볼 때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가장 두드러진 풍수적 특징은 음양합덕에 부합한 빼어난 수세와 청룡과 백호가 조화를 이룬 국세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풍수이론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주역」
  5. 「고려사절요」, 서울: 동국문화사, 1964.
  6. 「신증동국여지승람」, 서울: 동국문화사, 1964.
  7. 김동규 역저, 「인자수지(人子須知)」 前.後, 서울: 명문당, 2008.
  8. 김두규 역해, 「호순신의 지리신법」, 서울: 장락, 2001.
  9. 민병삼, 「증산사상의 다층적 분석」, 「증산의 풍수물형과 해원사상」, 서울: 청홍, 2015.
  10. 민병삼, 「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 세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35
  11. 박봉주, 「한국풍수이론의 정립」, 서울: 관음출판사, 2002.
  12. 박성태, 「신 산경표」, 서울: 조선일보사, 2004.
  13. 신영대, 「풍수지리학원리」, 서울: 경덕출판사, 2004.
  14. 신영대, 「풍수지리로 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대순사상논총」 33, 2019.
  15. 양균송, 「감룡경.의룡경」, 김두규 옮김, 서울: 비봉출판사, 2009.
  16. 양균송, 「감룡경의 완전한 이해」, 남궁승 옮김, 서울: 대훈, 2009.
  17. 유중림, 「산림경제」, 서울: 솔, 1997.
  18.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19.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20.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21.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문사철, 2013.
  22. 이순지, 「천문류초(天文類抄)」, 김수길.윤상철 옮김, 서울: 대유학당, 2013.
  23. 이중환, 「택리지」, 이익성 옮김, 서울: 을유문화사, 1972.
  24. 이중환, 「택리지」, 노도양 옮김, 서울: 명지대학출판사, 1979.
  25. 이중환, 「완역정본 택리지」, 안대회.이승용 외 옮김, 서울: 휴머니스트, 2019.
  26. 이정립, 「증산사상의 이해」, 전주: 인동, 1986.
  27.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28. 차선근, 「대순진리회에서 신정론 문제」,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257
  29. 채성우, 「명산론」, 김두규 옮김, 서울: 비봉, 2002.
  30. 최선웅 도편, 「대동여지도 축쇄본」, 서울: 진선출판사, 2019.
  31. 최창조 역, 「청오경.금낭경」, 서울: 민음사, 2001.
  32. 홍만선, 「산림경제」, 서울: 경인문화사, 1983.
  33. 趙九峰, 「地理五訣」, 臺南: 大山書店, 2000.
  34. 徐善繼.徐善述, 「地理人子須知」,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2000.
  35. 王其亨 主編, 「風水理論硏究」, 天津: 天津大學出版社, 2004.
  36. 張子微, 「玉髓眞經」 上.下, 臺北: 武陵出版社,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