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magination Applied to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As Observed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in Investiture of the Gods and of Kang Jeungsan in The Canonical Scripture

  • 투고 : 2020.05.27
  • 심사 : 2020.08.01
  • 발행 : 2020.08.31

초록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 서사와 대순진리회 경전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을 서사적 상상력의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봉신연의』 문중서사에 고조선 신화의 뇌신(雷神) 이미지와 한국 선도 전통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있고, 그러한 문화적 맥락이 다시 『전경』 강증산 서사에서도 곳곳에 나타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표현된 '봉신(封神)'이라는 개념의 본질을 『전경』 강증산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解冤)' 사상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봉신연의』에서 문중이 속해 있는 '절교(截敎)'라는 집단이 가지는 이류(異類) 포용의 특성을 『전경』에서 강증산이 추구하는 '상생(相生)'의 가치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에는 은(殷)을 포함한 동이계 종족의 설화와 문화에 대한 '망탈리테(mentalité)'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해당 신격이 태생적으로 한국 고유의 선도(仙道) 전통 및 한국 도교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in Daesoon Jinrihoe), in terms of narrative imagination, by investigating the narrative of Wen Zhong (聞仲) in Investiture of the Gods (Fengshenyanyi 封神演義) and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姜甑山)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This examination occurs along three dimensions: Firstly, I look into the cultural contexts of the image of the Thunder God (雷神) in Gojoseon (古朝鮮) mythology and the Korean seondo (仙道) tradition both of which are reflected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t the same time, I also argue that the cultural contexts examined above are able to be found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Secondly, I consid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oncept of "deifying" (封神)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nd its connection to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haewon 解冤)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Thirdly, I consider the traits of embracing heterogeneous things (異類) in the religious group "Jiejiao" (截敎) that Wen Zhong belonged to in relation to the values of "mutual beneficence" (sangsaeng 相生) that Kang Jeungsan pursued. In this study's conclusion, I posit that the "mentalité" of Dong-yi (東夷) culture and tales including Yin (殷) is identifiable in narrative imagination applied to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This means that the nature of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seondo and Korean Daoism.

키워드

참고문헌

  1. [明] 許仲琳, 「封神演義」, 北京: 中華書局, 2009.
  2.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3.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經集注」
  4. 「論衡」
  5. 「東明王篇」
  6. 「三國遺事」
  7. 「史記」
  8. 「說文解字」
  9. 「夷堅志」
  10. 「漢書」
  11.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원의 양상과 해원」, 「대순사상논총」 4,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7
  12. 구중회, 「옥추경 연구」, 서울: 동문선, 2006.
  13. 노신(魯迅), 「중국소설사략」, 조관희 옮김, 서울: 살림, 2000.
  14. 뤼시앙 레비브륄, 「원시인의 정신세계」, 김종우 옮김, 파주: 나남출판, 2011.
  15. 리웬구어(李遠國),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앙 연구」,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29
  16.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와 도교의 신앙체계에 관한 비교」, 「신종교연구」 24, 2011. https://doi.org/10.22245/jkanr.2011.24.24.129
  17. 박마리아,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 중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관한 비교」, 「동아시아 신종교의 흥기와 전파 그리고 현대사회」, 대만: 「전경」 번체본 출간기념 학술행사발표집, 2012.
  18. 박용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 신격 연구」,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71
  19. 브라이언 보이드, 「이야기의 기원」, 남경태 옮김, 서울: 휴머니스트, 2013.
  20. 안동준, 「한국 도교문화의 탐구」, 파주: 지식산업사, 2008.
  21. 안 신, 「강증산의 해원사상에 대한 이해- 영화 <화평의 길>(1984)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109
  22. 우실하,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에 대하여」, 「정신문화연구」 29-2, 2006. http://uci.or.kr/G704-000772.2006.29.2.008
  23. 위꿔칭(于國慶), 「대순진리회 구천상제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 신앙 비교」,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57
  24. 유수민, 「'현대의 신화' 창조-중국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의 나타(哪吒) 캐릭터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중어중문학」 78, 2019. https://doi.org/10.46612/kjcll.2019.12.78.249
  25.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상생' 이념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18, 2004.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4.18..001
  26. 이능화, 「조선무속고」, 서영대 역주, 파주: 창비, 2018(5쇄).
  27. 이재봉, 「「장자(莊子)」의 신명(神明)에 대한 고찰」, 「대동철학」 49, 2009. http://uci.or.kr/G704-000875.2009..49.001
  28. 정대진, 「신인조화의 이해」, 「대순사상논총」 3,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3..010
  29. 정재서, 「동양적인 것의 슬픔」, 서울: 살림, 1996.
  30. 정재서,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31. 정재서, 「동아시아 상상력과 민족 서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4.
  32. 정재서, 「강증산의 중국신화 수용과 그 의미」, 「대순사상논총」 25上,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
  33.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 -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99
  34. 허신(何新), 「신의 기원」, 홍희 옮김, 서울: 동문선, 1999.
  35. 卿希泰, 「中國道敎史」 第3卷,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6.
  36. 富育光, 「薩滿論」, 瀋陽: 遼寧人民出版社, 2000.
  37. 王瑤, 「中古文學史論」,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86.
  38. 陸思賢.李迪, 「天文考古通論」, 北京: 紫禁城出版社, 2000.
  39. 李建武, 「再考「封神演義」的闡敎和截敎」, 「明淸小說硏究」, 2008(4).
  40. 齊裕焜, 「明代小說史」,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1997.
  41. 胡萬川, 「「封神演義」中"封神"的意義」, 「'93中國古代小說國際硏討會論文集」, 北京: 開明出版社, 1996.
  42. 胡文輝, 「「封神演義」的闡敎和截敎考」, 「學術硏究」, 1990(2).
  43. Liu Tsun-yan, Buddhist and Taoist Influences on Chinese Novels, Wiesbaden: Kommissionsverlag, O. Harrassowitz,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