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rend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Flower Jewelry

플라워 주얼리의 디자인 트렌드와 표현기법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Yeon H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The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
  • Kim, Mi Jin (Mellia,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Catholic University) ;
  • Yun, Suk Young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Catholic University) ;
  • Choi, Byung Jin (Department of Horticulture, Daegu Catholic University)
  • 김연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김미진 (멜리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윤숙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최병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Received : 2020.08.04
  • Accepted : 2020.08.18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found Flower Jewelry works in the monthly magazine specializing in flower decoration for nine years from 2011 to 2019.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ype of expression, method of expression, type and number of plant materials used, and the type and number of non-plant materials used for the flower jewelry found, i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trend of flower jewelry in Korea. By expression type, a total of 96 works were analyzed as 20.83% for headdresses, 57.29% for necklaces, 5.21% for earrings, 6.25% for lists, and 10.42% for other works(χ2=94.833, p<.00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use of expression techniques, headdresses, necklaces, and lists for each work were produced using five to six different expression techniques and earrings were produced using two to four 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 coupling techniques 34.43%, flower and leaf utilization 30.17%, visual techniques 16.63%, collectivization techniques 14.12%, technical highlighting techniques 4.26%, and other 0.39% (χ2=455.222, p<.001).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s were framing techniques 16.63% and knotting techniques 16.44%. Plant materials used in flower jewelry were found to be 22.61% for Phalaenopsis spp., 13.48% for Gomphrena globosa, 9.57% for Gloriosa rothschildiana, 7.39% for Epidendrum cinnabarinum, 6.96% for Chamelaucium uncinatum and 4.78% for Craspedia globosa (χ2=718.104, p<.001). In the case of branch, the most common was used with 70.00% of the Cornus walteri, and 10.00% of Actinidia arguta, Celastrus orbiculatus, and Salix pseudolasiogyne were used respectively (χ2=10.800, p=.013). In the case of foliage, 24.65% Aspidistra elatior, 24.62% Asparagus asparagoides, 11.54% Senecio rowleyanus, and 6.15% Ceropegia woodii (χ2=269.385, p<.001). In the case of berries, 44.44% of the fruits of the Smilax china, 33.33% of the Hypericum patulum, and 11.11% of the Phytolacca americana were found (χ2=11.444, p =.022). Non-planting materials used in the manufacture of flower jewelry were found to be 47.34% of 2mm aluminium wire, 33.73% of copper wire and 10.06% of 1mm aluminum wire (χ2=186.704, p<.001). The figure was 53.57% for pearls, 12.50% for ribbons, and 4.14% for spangles and feathers.

본 연구는 2011~2019년의 9년간 화훼장식 전문 월간지에 나타난 플라워 주얼리 작품을 추출하고, 추출된 플라워 주얼리 작품을 대상으로 표현유형, 표현기법, 사용된 식물재료와 비식물재료의 종류와 수 등을 작품별, 연도별로 분석하여 국내 플라워 주얼리의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표현유형별로 살펴보면 머리장식의 경우 20.83%, 목걸이의 경우 57.29%, 귀걸이의 경우 5.21%, 리스트의 경우 10.42%, 기타 6.25%로 총 96작품으로 분석되었다(χ2=94.833, p<.001). 표현기법의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각 작품당 머리장식, 목걸이, 리스트는 5~6가지의 표현기법, 귀걸이는 2~4가지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사용된 표현기법은 소재 결합기법 34.43%, 꽃과 잎의 이용기법 30.17%, 시각적 기법 16.63%, 집단화 기법 14.12%, 테크닉 강조기법 4.26%, 기타 0.39%로 나타났다(χ2=455.222, p<.001). 가장 많이 사용된 기법은 프레이밍 기법 16.63%, 노팅기법 16.44%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워 주얼리에 사용된 식물 재료는 절화의 경우 호접란 22.61%, 천일홍 13.48%, 글로리오사 9.57%, 에피덴드럼7.39%, 왁스플라워 6.96%, 골든볼 4.78% 등으로 나타났다(χ2=718.104, p<.001). 절지의 경우 말채나무 70.0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래덩굴, 노박덩굴, 능수버들이 각각 10.00% 사용되었다(χ2=10.800, p=.013). 절엽의 경우 엽란 24.65%, 아스파라거스 스마일락스 24.62%, 콩란 11.54%, 러브체인 6.15% 등으로 나타났다(χ2=269.385, p<.001). 열매의 경우 청미래덩굴의 열매 44.44%, 하이페리쿰 33.33%, 미국자리공 11.11% 등으로 나타났다(χ2=11.444, p=.022). 플라워 주얼리 제작에 사용된 비식물재료는 2mm 알루미늄와이어 47.34%, 카파와이어 33.73%, 1mm 알루미늄와이어 10.06% 등으로 나타났다(χ2=186.704, p< .001). 와이어 이외에 진주 53.57%, 리본 12.50%, 스팽글과 깃털 4.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직종설명서, http://meister.hrdkorea.or.kr. 2019
  2. 권혜숙, 이부영, 「국제기능올림픽 화훼장식 종목에 표현된 형태 분석-핸드타이드와 절화장식을 중심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7집, 2017, pp191-205.
  3. 김지영, 「화훼장식 기능경기대회 작품에 나타난 표현기법과 화훼조형의 사용 분석 및 인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4. 박미옥, 구본학 「국제기능올림픽 대회가 화훼장식 작품의 상징성에 미친 영향」, 화훼디자인학 연구, 제27집, 2012, pp19-37.
  5. 박연희, 「현대적 바디플라워의 표현경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송민숙, 박태욱, 「현대바디 플라워 디자인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pp371-374.
  7. 여화선, 정윤정, 「파티공간연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프레스톤 베일리의 화예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29(3), 2014, pp61-72.
  8. 이란경, 「바디플라워의 표현유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9. 이승은, 「현대패션에 표현된 신체장식의 미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0. 임미정, 「파티문화에 다른 화훼디자인 사례분석-기업파티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정윤정, 「화예디자인 구성요소를 활용한 파티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정진아,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국내 절화 도매시장 거래 변화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3. 화훼장식 직종설명서, http://meister.hrdkorea.or.kr. 2019.
  14. 화훼장식학회,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학」 부민문화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