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hile networks of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conne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ICT-based infrastructure, diplomatic activities are also evolving into various diplomatic forms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diplomacy befor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public diplomacy activities that focus on subjects other than the government and new diplomatic areas are accelerat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public diplomacy that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type of new diplomatic styl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global governance. The analysis was attempted based on data generated mainly on the main contents of various diplomatic activities by each entity, and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diplomacy was sought. In particular, the subject of diplomacy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most of all, various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ased on the world stage due to changes in diplomatic means. Most of all, they understood that all the people are playing the role of private diplomacy, and that the roles and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are becoming stronger. Global governance needs to be built to revitalize public diplomacy, and support policies need to be continued by expanding the role of public diplomacy and various topics.
ICT기반의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세계 많은 국가들의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외교 활동도 이전까지의 전통외교와는 차별화된 다양한 외교양식으로 진화되고 있다. 특히 그 과정에서 정부 이외의 주체와 새로운 외교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외교의 활동이 가속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외교양식의 대표적 유형으로 등장한 공공외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글로벌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각 주체별 다양한 외교활동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해 현황 분석을 시도하고 공공외교의 트랜드를 토대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외교의 주체가 더욱 더 다양해지고 있고, 무엇보다 외교 수단의 변화로 인해 세계무대를 토대로 다각적인 활동들이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국민들 모두가 민간외교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지방정부 차원의 역할과 역량도 더 강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공공외교의 활성화를 위해 글로벌 거버넌스구축이 필요하며, 공공외교의 역할과 다양한 주제로 확장하여 지원정책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